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 보호구역 내 보행 사고 감소를 목적으로 확대 설치 중인 대각선 횡단보도에 대해 교통안전성 측면에서의 설치 효과 분석을 진행하고, 권장 설치 기준 및 운영 방안을 제안하였다.

먼저 교통안전 측면에서의 효과 분석을 위해 대각선 횡단보도 설치 전·후에 대한 사고 분석을 수행하였다. 어린이 보호구역 여부, 대각횡단길이 및 사고 유형 등으로 구분하였으며, 단순비교와 비교그룹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전체, 중상이상, 차대사람 및 횡단 중 사고 등 모든 사고 유형이 감소하였으며, 특히 어린이 보호구역의 경우 사고 감소 효과가 보다 큰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현장 조사를 통해 대각선 횡단보도 설치 전‧후에 대한 안전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평가 결과 차량당 보행자 상충률은 최대 18% 감소하였고, 차량 신호위반율 및 보행자 무단횡단율은 거의 변화가 없었다.

마지막으로 사고 분석 및 안전성 평가 결과를 기반으로 보행자 기준의 교통조건 및 기하구조 등에 대한 권장 설치 기준과 대각선 횡단보도에 대한 교통안전표지 개선안을 제시하였고, 대각선 횡단보도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시간제 운영 및 비보호 좌회전 운영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보호구역 내 대각선 횡단보도의 설치·운영 방안을 현장에 적용함으로써 어린이 교통사고 사망자 감소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In this study, an effect analysis in terms of traffic safety was conducted on scramble crossings being installed, and criteria for installation and operation were presented.

An crash analysis was performed before and after installing scramble crossings. In the analysis, it was divided into the school zone zones, diagonal traverse lengths, and types of crashes, and then it was analyzed using naive B/A test and C-G method. The analysis confirmed that all types of crashes, including total, fatal injuries, and crossing crashes, were reduced, and that the reduction effect of crash was particularly greater in the case of the school zones. In addition, the safety assessment was conducted before and after installation through on-site investigation. As a result of the assessment, the pedestrian conflict rate per vehicle decreased by up to 18%, the vehicle signal violation rate and pedestrian jaywalking rate remained unchanged.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crash analysis and safety assessment, installation criteria and operation plans for scramble crossings were proposed.

It is expected that the installation criteria and operation plan of scramble crossings in the school zones derived from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reduction of children's crashes deaths by applying them to the site.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중국인 해상 밀입국 범죄의 현황과 대책 = Current status and countermeasure of the crimes of the Chinese people sea ocean illegal entry 노연상 p. 139-177

입법(안)을 통한 데이트폭력에 대한 논의 = A study on dating violence through a law revision bill 박호현, 김명대 p. 7-35

대각선 횡단보도 설치 및 운영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scramble crossings : focusing on the school zone / 어린이 보호구역을 중심으로 홍경식, 김다예 p. 115-138

디지털 증거의 압수·수색 과정에서 원격 참여를 통한 참여권 보장 = A study on remote participation in the seizure and search procedure of digital evidence 송행진, 권헌영 p. 75-113

디지털증거 압수수색 과정에서 피압수자 등의 참여 범위 = Scope of participation of the person under arrest, etc. in the process of confiscation and search for digital evidence 이규봉, 권헌영 p. 37-74

변사자(變死者) 채혈(採血)에 관한 법률적 고찰 = Legal review on the blood collection of unnatural deaths 김진영, 이도경, 이준엽 p. 435-471

학업중단 청소년의 흡연 : Adolescent smoking behavior among school dropouts : impact of child abuse / 아동학대 피해 경험을 중심으로 정연주, 강지현 p. 407-434

경찰 단계 소년사건에 대한 선도조건부 훈방의 법제화 방안 = A study on the legalization of the authority of the police to release juvenile delinquencies under proper guidance conditions 심명섭 p. 375-405

광역단위 자치경찰제 도입에 관한 경찰관들의 인식 연구 =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police officials about the introduction of the metropolitan autonomous police system 장민규, 류준혁 p. 341-374

아시아 개발도상국 대상 사이버범죄대응 교육 모형 개발과 적용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cybercrime response training model for developing countries in Asia 박요한, 신지호 p. 313-339

국가별 경찰기관의 체력검사 종목 및 평가기준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physical fitness examination items and evaluation criteria of the national police agency 김필승 p. 283-311

미국의 자치경찰제도와 그 시사점 : U.S. municipal police system and its implications : focusing on police agencies in the State of California / 캘리포니아주를 중심으로 염윤호, 김형훈 p. 249-282

성폭력 범죄에 대한 지역경찰 현장 출동의 긴급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urgency of the local police field dispatch for the crime of sexual violence : through chi-square analysis of crimes against women and adolescents / 여성·청소년 대상 범죄의 교차분석을 통해 이창용, 박정선 p. 217-248

신상정보등록 대상 성범죄자의 재범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factors which give influences the registered sex offenders' recidivism 장현석, 한영선, 홍명기 p. 179-215

참고문헌 (1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경찰청. (2012), 교통노면표시 설치·관리 매뉴얼 미소장
2 경찰청. (2017), 교통신호기 설치·관리 매뉴얼 미소장
3 경찰청. (2011), 교통안전표지 설치·관리 매뉴얼 미소장
4 도로교통공단. (2019), 2017년 OECD회원국 교통사고 비교 미소장
5 한국교통연구원. (2016), 도로교통 안전사업의 효과 분석 및 제도적 개선방안 미소장
6 김강휘·김원호. (2007), “대각선 횡단보도의 설치기준에 관한 연구(차로수, 교통량, 보행교통량, 우회전비율 변화를 중심으로)”,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 57: 502-511 미소장
7 장용준·김형진·손봉수. (2007), “대각선 횡단보도의 차량 지체도 분석”,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 55: 402-411 미소장
8 한여희·김영찬·양충헌. (2011), “대각선 횡단보도 설치 타당성 검토를 위한효과분석 과정 수립”, 대학교통학회지, 29(4): 78-83 미소장
9 FHWA. (2009), Manual on Uniform Traffic Control Devices (MUTCD) 미소장
10 Government of South Australia. (2008), Traffic Management Operational Instructions - Scramble Pedestrian Crossings 미소장
11 NewYork City DoT. (2017), Exclusive Pedestrian Signal Phase Treatments Study, Prepared in response to Local Law 92 미소장
12 Australia Roads and Traffic Authority. (2008), Traffic Signal Design: Section 2-Warrants 미소장
13 Pedestrian Scramble Operations: Pilot Study in Calgary, Alberta, Canada 네이버 미소장
14 Li Chen, Cynthia Chen, Reid Ewing, “The Relative Effectiveness of Pedestrian Safety Countermeasures at Urban Intersections-Lesson from a New York City Experienc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2012 미소장
15 taas.koroad.or.kr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