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묵암 이종일과 동학, 천도교, 그리고 3·1독립만세운동의 연속성 = Continuity of Donghak, Cheondogyo and March 1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thoughts of Mukam Lee Jong Il / 안외순 1

국문초록 1

I. 서론 3

II. 자료와 관련하여 7

III. 3·1운동과 묵암의 위상 9

IV. 묵암의 동학-천도교-3·1운동의 계승 논리와 성격 19

1. 동학에 대한 묵암의 인식 19

2. 천도교인(동학인)으로서의 실천관 23

V. 결론 33

참고문헌 35

Abstract 37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뉴 패러다임의 정치철학적 함의와 실천적 적용 = The politico-philosophical implications of the new paradigm and its practical application 최민자 p. 163-203

보기
1960년대 이후 태안지역 동학농민혁명 기념(선양)사업 분석과 현대적 의의 = Analysis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commemoration project(Shenyang) in Taean since the 1960s and its modern significance 문영식 p. 119-159

보기
동학가사 「용담가」의 문학적 성격과 그 의의 = The literary character of the Donghak lyrics “Yongdamga”(용담가) and its significance 최천집 p. 303-340

보기
용담할매, 근수당 최윤(謹守堂 崔潤)에 대한 소고 = Essay on “Yongdam Grandma,” Geunsu-dang Choi Yoon (謹守堂 崔潤) 이상임 p. 205-248

보기
1920년대 전반 북간도의 천도교와 민족운동 = National movement of Cheondogyo and Cheondoists in North Gando, 1920~1925. 조규태 p. 267-301

보기
동학사상에 내재한 사유 지평의 확장성 = Expansion of the horizon of thinking inherent in Donghak 김영철 p. 249-265

보기
동학농민혁명 희생자와 홍주의사총 관계 연구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ictims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and the Hongju righteous army tomb 성주현 p. 83-118

보기
태안지역의 동학포덕과 조직화 그리고 동학농민혁명 = Donghak Podeok and organization in Taean region and Donghak Peasant Revolution 임형진 p. 7-43

보기
묵암 이종일과 동학, 천도교, 그리고 3·1독립만세운동의 연속성 = Continuity of Donghak, Cheondogyo and March 1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thoughts of Mukam Lee Jong Il 안외순 p. 45-82

보기

참고문헌 (3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沃坡備忘錄』3卷(沃坡記念事業會편, 『沃坡李鍾一先生論說集』(1,2,3), 서울: 敎學社, 1984. 미소장
2 沃坡記念事業會 편, 『沃坡 李鍾一先生의 警世의 偉業과 生涯』, 서울: 옥파기념사업, 1995. 미소장
3 이현희 편, 「默菴 李鍾一 先生 備忘錄」, 『韓國思想』 16, 1978. 미소장
4 이현희 편, 「默菴 李鍾一 先生 備忘錄(2)」, 『韓國思想』 17, 1979. 미소장
5 이현희 편역, 「默菴 李鍾一 先生 備忘錄(3)」, 『韓國思想』 18, 1981. 미소장
6 박은식, 『韓國獨立運動之血史』, 서문당, 1920. 미소장
7 李炳憲 編著, 『3·1運動祕史』, 시사신보사, 1959. 미소장
8 『張孝根日記』,『한국사논총』, 성신여대 사범대, 제1집, 1976. 미소장
9 《동아일보》1925.9.1. 미소장
10 《제국신문》《조선일보》1925.9.1. 미소장
11 길창근, 「沃坡 李鐘一의 敎育思想에 대한 考察」, 『社會科學硏究』 9(1), 2000. 미소장
12 김범수,이유진, 『옥파 이종일선생 이야기』, 창작시대, 2009. 미소장
13 김삼웅, 『33인의 약속』, 산하, 1997. 미소장
14 김용덕, 「북학사상과 동학」, 『사학연구』 16, 1969. 미소장
15 김용호, 『沃坡李鍾一硏究: 新村情神, 先改情神의 提唱者』, 敎學社, 1984. 미소장
16 김창수, 「3ㆍ1運動과 沃坡 李鍾一」 『중앙사론』 212005(1995). 미소장
17 김홍주, 『(구한말) 선각자 옥파 이종일』, 세광문화기획사, 2010. 미소장
18 묵암기념사업회 편, 『默菴 李鍾一先生 警世의 偉業과 生涯』, 默菴紀念事業會, 1979. 미소장
19 朴杰淳, 「3ㆍ1 獨立宣言書 公約三章 起草者를 둘러싼 論議」, 『한국독립운동사연구』제18집, 1994. 미소장
20 沃坡 李鍾一의 思想과 民族運動 소장
21 박걸순, 『이종일. 생애와 민족운동』,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 연구소, 1997. 미소장
22 박춘석, 『옥파 이종일』, 태안향토문화연구소, 2008. 미소장
23 박찬승, 「3ㆍ1독립선언서 인쇄과정과 판본의 검토」,『동아시아문화연구』80, 2020. 미소장
24 성주현, 『민중에게 다가간 독립운동가 이종일』, 역사공간, 2017. 미소장
25 심형준, 「민족대표 33인의 일원인 이종일의 상징화 사례 연구:「묵암비망록」, 데마고기, 상징화 주체와 전략의 변화」 『宗敎硏究』 Vol. 78, 한국종교학회, 2018. 미소장
26 옥파기념사업회 편, 『沃坡 李鍾一의 思想과 民族獨立運動』, 옥파기념사업회, 1995. 미소장
27 의암손병희선생기념사업회,『의암손병희선생전기』,의암손병희선생기념사업회, 1967. 미소장
28 이현희, 「 『默菴備忘錄』 解題」 『韓國思想』 161978a. 미소장
29 이현희, 「天道敎와 民衆運動: <默菴備忘錄>과 <東菴日記>를 중심으로」 『廣場』, Vol. 63, 1978b. 미소장
30 이현희, 「동학과 민족운동」, 『동학학보』 9, 2005. 미소장
31 이현희, 「의암 손병희와 3ㆍ1운동」, 『동학학보』 17, 2009. 미소장
32 임형진, 「묵암 이종일과 3ㆍ1운동」, 『민족학연구』 8, 2009. 미소장
33 전기영, 「沃坡 李鍾一의 敎育思想」, 『중앙사론』 5, 1987. 미소장
34 정영희, 「默菴 李鍾一의 近代敎育運動」, 『역사와실학』 26, 2004. 미소장
35 정운현. 「종일, 언론인 출신으로 천도교 비밀조직을 이끈 독립선언서 인쇄 책임자」『3ㆍ1혁명을 이끈 민족대표 33인』, 역사인, 2019.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