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1
〈사고와 표현〉 교육의 흐름과 의사소통교육의 확장적 방향 탐색 = An exploration of expansive directions for communication education and the flow of "Thought and Expression" education / 나은미 1
목차 1
1. 도입 1
2. 대학(사고와 표현)교육의 흐름3 2
2.1. 사례 연구 중심의 양적 팽창과 시스템 구축 시기 2
2.2. 학술공동체 중심의 연구 확장과 다양한 글쓰기 교육의 출현 시기 3
3. 대학 의사소통교육의 확장적 방향 탐색 10
(1) 성찰적 사고와 표현 교육 14
(2) 학술적 사고와 표현 교육 16
(3) 직업적 사고와 표현 교육 16
4. 마무리 및 남은 문제 17
참고문헌 18
국문초록 20
ABSTRACT 20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구자황(2014). “대학글쓰기 교육의 반성과 전망”, 반교어문연구 36, 반교어문학회, 163-180. | 미소장 |
2 | 김애순(2010). 청년기의 갈등과 자기 이해, 시그마플러스. | 미소장 |
3 | 김영희(2010). “자기 탐색 글쓰기의 효과 및 의의”, 작문 연구 11, 한국작문학회, 45-109. | 미소장 |
4 | 김윤정(2018). “대학생의 취업 목적 자기소개서 쓰기 양상과 교육 방안 연구-워드 클라우드의 핵심어 활용을중심으로”, 문화와 융합 40(8), 한국문화융합학회, 403-444. | 미소장 |
5 | 나은미(2014). “대학 신입생의 글쓰기 능력에 대한 학생 자신의 인식 분석-한성대학교 2014년 신입생을 대상으로”, 한성어문학 33, 한성어문학회. | 미소장 |
6 | 나은미(2018). “취업 목적 장르의 정체성과 자기소개 및 면접 교육의 설계”, 리터러시연구 24, 한국리터러시학회, 131-159. | 미소장 |
7 | 박재윤, 이정미, 김택형(2010). “미래교육비전연구” 연구보고서RR2010-08, 한국교육개발원. | 미소장 |
8 | 박정하(2013). “대학 글쓰기 교육 이대로 좋은가”, 사고와 표현 6(2), 한국사고와표현학회, 7-33. | 미소장 |
9 | 박찬수(2014). “실용적 글쓰기 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자기소개서 스기 학습을 중심으로”, 어문연구 81, 어문연구학회, 237-258. | 미소장 |
10 | 옥현진(2013). “문식성 재개념화와 새로운 문식성 교수‧ 학습을 위한 방향 탐색”, 청람어문교육 47, 청람어문학회, 61-86. | 미소장 |
11 | 원진숙(2005). “대학생들의 학술적 글쓰기 능력 신장을 위한 작문 교육 방법”, 어문논집 51, 민족어문학회, 55-86. | 미소장 |
12 | 이상은, 소경희(2019). “미래지향적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OECD 역량교육의 틀 변화 동향 분석: ‘Education 2030’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37(1), 한국교육과정학회, 139-164. | 미소장 |
13 | 이윤빈(2012). “대학 신입생 대상 ‘학술적 글쓰기’의 장르적 의미와 성격”, 작문연구 14, 한국작문학회, 159-200. | 미소장 |
14 | 임선애(2017). “대학 글쓰기 센터 운영의 현황과 과제”, 리터러시 연구 21, 한국리터러시학회, 133-156. | 미소장 |
15 | 정희모(2006). “대학 글쓰기 교육의 과정 중심 방법의 적용”, 현대문학의 연구 29, 한국문학연구학회, 483-513. | 미소장 |
16 | 지현배(2012). “대학생의 자기소개서 쓰기의 특징과 지도 방안”, 교양교육연구 6(3), 한국교양교육학회. | 미소장 |
17 | 진은진(2016). “대학 글쓰기에서 자기소개서 쓰기 수업 사례와 과제”, 우리문학연구 50, 우리문학회. | 미소장 |
18 | 최규수(2005). “대학 작문에서 자기를 소개하는 글쓰기의 현실적 위상과 전망-대학생에게 자기 성찰의 글쓰기는어떻게 이루어지는가의 문제”, 문학교육학 18, 문학교육학회, 563-585. | 미소장 |
19 | 한국교육개발원 현안 보고 OR 2016-10. OECD ‘교육 2030 : 미래 교육과 역량’을 위한 현황분석과 향후 과제. | 미소장 |
20 | 한국교육과정 평가원 이근호 외(2017). 미래사회 대비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국가 교육과정 구상, 진한엠앤비. | 미소장 |
21 | 라이홀드 니버 지음, 이한우 옮김(2019).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 문예출판사. | 미소장 |
22 | 아니스 바와시, 메리 요 레이프 지음, 정희모 옮김(2015). 장르: 역사 이론 연구 교육, 경진출판. | 미소장 |
23 | 페터 비에리, 문항심 옮김(2015). 자기 결정-행복하고 존엄한 삶은 내가 결정하는 삶이다, 은행나무. | 미소장 |
24 | Miller, C. (1986). “Genre as social action”, Quarterly Journal of Speech 70, 151-167. | 미소장 |
25 | Swales, J. (1990). Genre Analysis, Cambridge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4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