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1

〈사고와 표현〉 교육의 흐름과 의사소통교육의 확장적 방향 탐색 = An exploration of expansive directions for communication education and the flow of "Thought and Expression" education / 나은미 1

목차 1

1. 도입 1

2. 대학(사고와 표현)교육의 흐름3 2

2.1. 사례 연구 중심의 양적 팽창과 시스템 구축 시기 2

2.2. 학술공동체 중심의 연구 확장과 다양한 글쓰기 교육의 출현 시기 3

3. 대학 의사소통교육의 확장적 방향 탐색 10

(1) 성찰적 사고와 표현 교육 14

(2) 학술적 사고와 표현 교육 16

(3) 직업적 사고와 표현 교육 16

4. 마무리 및 남은 문제 17

참고문헌 18

국문초록 20

ABSTRACT 20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군대조직문화에서 리더신뢰, 직무특성, 자아효능감 및 회복탄력성이 조직침묵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leader trust, job characteristics, self-efficacy, and resilience on organizational silence in the military culture 이만희, 전기석 p. 881-900

보기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의 해석상 쟁점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nterpretational issues of the Act o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Criminal Investigation Office of Senior Public Officials 김기갑, 김상운 p. 867-880

보기
경찰공무원 육아휴직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of the parental leave system for police officials 성수영, 김상운 p. 847-866

보기
중소기업 직원의 리더 신뢰와 자기효능감 간 회복 탄력성의 조절효과 검증 = The moderating effect of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ust in leader and self-efficacy among SME employees 송영선, 이희수, 임창현 p. 829-846

보기
몽골에서의 한국문학교육과정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 조사 =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Korean literature education in Mongolia 게렐치맥 p. 809-826

보기
언어치료 분야의 원격치료 연구 동향 분석 = A review of the use of telepractice in speech language pathology 이은선, 최소영, 황민아 p. 785-807

보기
베트남의 친족 개념과 친족어를 통해 살펴본 호칭어 사용 양상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oncept of relatives in Vietnam and the use pattern of Vietnamese address terms using kinship terms 구본석 p. 765-783

보기
서울말 기식음의 모음간 약화 현상 사례 연구 = Weakening phenomenon between vowels of Seoul dialect aspiration 박지윤 p. 749-763

보기
'오→우' 고모음화의 공손성과 공손 전략 = Politeness and politeness strategies of 'o → u' vowel rising 배혜진 p. 733-748

보기
<사고와 표현> 교육의 흐름과 의사소통교육의 확장적 방향 탐색 = An exploration of expansive directions for communication education and the flow of "Thought and Expression" education 나은미 p. 709-729

보기
북한사람'에서 '남한사람' 되어가기 : Becoming South Korean from being North Korean : focusing on concept of leisure perceived by Female North Korean defectors / 여성들이 인식하는 여가개념을 중심으로 전주람, 곽상인 p. 693-707

보기
곰 토템과 언어문화의 유연성 연구 = A study on the motivation of bear Totem and language culture 최정숙, 정호완 p. 671-692

보기
경기옛길 스토리텔링 방안 연구 : Study on storytelling plan of Gyeonggi old road : focusing on the story of the Uiju-gil old road on the Gyeonggi Old Road website / 경기옛길 홈페이지의 의주길 옛길 이야기를 중심으로 변지선 p. 657-670

보기
마하바라타 동물 에피소드에 나타난 '잔인하지 않음(ānṛśamsya)'의 덕목 연구 = The virtue of "non-cruelty (ānṛśamsya)" in the animal episodes of Mahabharata 김진영 p. 643-655

보기
를 중심으로"> 대학 교양 글쓰기 수업 연구 : University liberal arts writing class : focusing on Hanshin University's "Basics of Writing" / 한신대학교 <글쓰기의 기초>를 중심으로 송주현 p. 625-641

보기
질병서사에 나타난 만성통증 은유 = Metaphors in illness narratives of South Koreans with chronic pain : 질병경험, 자아 그리고 아픈 나의 삶을 중심으로 김향수 p. 583-600

보기
여성 구술 생애사의 서사화 방식 연구 : Narrative style of women's oral history : focusing on "My mother's story" and "I was fed by my mother" / 『내 어머니 이야기』(김은성)와 『나는 엄마가 먹여 살렸는데』(김은화)를 중심으로 최은영 p. 563-581

보기
디지털 글쓰기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Domestic research trends in digital writing using text network analysis : 언어 네트워크 분석과 토픽 모델링 분석을 중심으로 이지영 p. 603-624

보기
Elizabeth between inferiority and superiority : 열등감과 우월감 사이의 엘리자베스 : 제인 오스틴의 오만과 편견을 중심으로 / Jane Austen's Pride and Prejudice Yeon Jeong Kim p. 543-561

보기
이청준 문학의 주체 전환을 향한 신화적 모색 = A mythical search for the change of subject in Lee Cheong-jun's literature : focus on 「Death of Magi」, 「The Third God」 : 「마기의 죽음」, 「제3의 신(神)」을 중심으로 송은정 p. 521-542

보기
2세대 신여성의 이상과 좌절의 서사 = Female characters in Choi Jung-hee's novels 김윤경 p. 503-520

보기
김우진 문학의 사상적 토대형성 : Ideological foundation and literature of Woo-Jin Kim : focusing on his diary / 일기를 중심으로 이동순 p. 487-501

보기
대승 4무량심의 확대과정과 그 의미 = The feature of mahāyāna Buddhism practice in the process of the expansion of the four immeasurables(Catvāri Brahmavihārāḥ) 강명희 p. 469-484

보기
심리치유 관점에서 본 유식30송과 아들러 개인심리학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thirty vesis of consciousness only and alder's psychotherapy methods 경은정 p. 453-468

보기
『불교진흥회월보』의 전개와 문예 지면의 경향성 = The orientation of "Buddhism Promotion Association Monthly Magazine" and the inclination of literature and arts pages 김종진 p. 429-451

보기
1인 미디어의 질적 성장을 위한 고찰 = Qualitative growth of one-person media 신원선 p. 409-425

보기
미디어교육에 있어서 노인의 자기주도학습 : Old adult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in media education : based on in-depth interview with media instructors / 노인학습자의 동기, 자기관리, 자기 모니터링에 대한 미디어 강사와의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전제아 p. 383-407

보기
퍼포먼스의 일상화, 일상의 퍼포먼스화 : The daily life of performance, the performance of daily life : performance practice and <not-remembering Dance> series of the theatre company Shinsegae / 극단 신세계의 <망각댄스> 시리즈와 퍼포먼스의 수행적 실천 김기란 p. 365-381

보기
TV드라마에 나타난 인공지능 재현 양상 연구 : A study on the aspect of reproducing artificial intelligence seen in TV drama : mainly on the basis of <Na Holro Geudae> / <나 홀로 그대>를 중심으로 김민영 p. 347-363

보기
영화에 표현된 동양인 혐오 이미지에 대한 비평적 관점 = A critical view of asian hate image expressed in movies 최정수 p. 329-346

보기
교회 문화센터의 특성과 과제 : Characteristics and tasks of the church cultural center : a study on the activation of cultural welfare / 문화복지 활성화를 위한 일 고찰 전명수 p. 307-326

보기
실용음악교육에 대한 특수교사 인식 및 연수 프로그램 모형 개발 연구 = Development of training program model -perceptions of special teachers regarding applied music education 강윤정, 강래형 p. 287-305

보기
온라인 방식을 사용한 청소년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통합예술심리치료 프로그램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n using online integrated arts psychotherapy program for stress reduction in adolescents : based on ARC model / ARC 모델에 근거하여 오세현, 김윤희, 한영희, 남현우 p. 261-285

보기
몸의 현상학과 문화예술교육 : Body phenomenology and culture and arts education -focused on Merlot Ponty theory / 메를로 퐁티 이론을 중심으로 이유리 p. 247-259

보기
주크박스 뮤지컬 패턴에 대한 고찰 = Analysis of Jukebox musical pattern : 국내 어트리뷰트 뮤지컬을 중심으로 이기환, 이인호 p. 225-246

보기
이미지 사고를 활용한 창의융합 교육의 의미 탐색 = A research on the creative and convergent education based on image thinking 최현선, 권효숙 p. 203-221

보기
교사 직업군의 명리학적 특성 고찰 = Myeongli science for teachers' vocational groups 김태수, 김만태 p. 175-201

보기
Toward being culturally and linguistically responsive teachers : focusing on teacher knowledge and professional learning Yunjeong Choi, Hyojeong Kim p. 155-173

보기
예비교사를 위한 기본공감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pre-service teacher's basic empathy scale 이윤옥 p. 137-154

보기
'책 만들기(book-art)'를 활용한 중학교 국어 교과서 단원 구성 방안 연구 = A study about method of unit-composition of middle school Korean textbook using 'book-art' 이은미 p. 117-135

보기
대학생 핵심역량진단 경험에 대한 수준별 특성 연구 :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level of their core competency : a case of local national K university / 지방거점 국립 K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신미숙, 최지연, 이희제 p. 95-114

보기
고등교육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효과 = The effect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on higher education 박태인, 정소미 p. 73-94

보기
지각된 대학교육서비스 품질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분석 = The effect of perceived educational service quality on campus life adjustment 안정민 p. 55-71

보기
"S"대학교 신입생 대학생활 적응 및 재학만족도 지원 교과과정 연구 : Curriculum for adapting to college life and improving satisfaction of 'S' university freshmen : comparison of C·H·A·R·M education effects before and after / COVID19 전후 C·H·A·R·M 교육 효과 비교 유은미 p. 31-54

보기
대학 온라인 원격수업에 대한 운영 및 만족도 연구 : A study on the operation and satisfaction of online distance learning in a university : focusing on the case of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distance learning / 실시간, 비실시간 원격수업을 중심으로 강성배 p. 15-30

보기
전신 크라이오테라피 및 하지 마사지 복합 적용이 프로축구선수의 경기 후 회복기 내 혈중 젖산 농도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combined application of whole-body cryotherapy and lower body massage on blood lactate concentration during recovery period following match in professional soccer players : pilot study / 예비연구 이승재, 정제순, 김주영 p. 1059-1072

보기
향교소장 일제강점기 문헌 자료의 조사 현황과 과제 = Literature data of Japanese colonial era at Hyanggyo : current status and tasks 장순순 p. 1037-1057

보기
수학 교구의 관점에서 「주판」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abacus" from the perspective of a mathematical tool 민귀영, 김윤해 p. 1019-1036

보기
개항기 신문매체를 통해 본 19세기 말의 '의리(義理)' 개념 = The concept of "Uiri (義理)" at the end of nineteenth century through newspaper media during the open port period 문경득 p. 1001-1018

보기
16주간 트레드밀 운동이 난소절제 쥐 해마의 신경전달물질 및 신경가소성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16 weeks treadmill exercise on neurotransmitter and neuroplasticity protein expression in ovariectomized rats 기태원, 김제원, 윤진환 p. 981-1000

보기
긍정심리미술프로그램이 발달장애근로자의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art program on self-efficiency and job satisfaction of worker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based on PERMA model / PERMA모델기반으로 김원순 p. 957-978

보기
베트남인 학부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특성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academic self-efficiency among Vietnamese international undergraduate students 박현진 p. 937-955

보기
유니버설 디자인 관점에서 관광지 환경 분석 : Analysis of tourist environment from a universal design perspective : focusing on major tourist spots in Daegu / 대구광역시 주요 관광지를 중심으로 이경찬, 김기완 p. 901-935

보기
프랑스 신좌파(New Left)의 몰락에 대한 고찰 : Analysis on the decline of French new left centering around leftist intellocracy / 좌익 인텔로크라시를 중심으로 김복래 p. 1073-1094

보기

참고문헌 (2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구자황(2014). “대학글쓰기 교육의 반성과 전망”, 반교어문연구 36, 반교어문학회, 163-180. 미소장
2 김애순(2010). 청년기의 갈등과 자기 이해, 시그마플러스. 미소장
3 김영희(2010). “자기 탐색 글쓰기의 효과 및 의의”, 작문 연구 11, 한국작문학회, 45-109. 미소장
4 김윤정(2018). “대학생의 취업 목적 자기소개서 쓰기 양상과 교육 방안 연구-워드 클라우드의 핵심어 활용을중심으로”, 문화와 융합 40(8), 한국문화융합학회, 403-444. 미소장
5 나은미(2014). “대학 신입생의 글쓰기 능력에 대한 학생 자신의 인식 분석-한성대학교 2014년 신입생을 대상으로”, 한성어문학 33, 한성어문학회. 미소장
6 나은미(2018). “취업 목적 장르의 정체성과 자기소개 및 면접 교육의 설계”, 리터러시연구 24, 한국리터러시학회, 131-159. 미소장
7 박재윤, 이정미, 김택형(2010). “미래교육비전연구” 연구보고서RR2010-08, 한국교육개발원. 미소장
8 박정하(2013). “대학 글쓰기 교육 이대로 좋은가”, 사고와 표현 6(2), 한국사고와표현학회, 7-33. 미소장
9 박찬수(2014). “실용적 글쓰기 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자기소개서 스기 학습을 중심으로”, 어문연구 81, 어문연구학회, 237-258. 미소장
10 옥현진(2013). “문식성 재개념화와 새로운 문식성 교수‧ 학습을 위한 방향 탐색”, 청람어문교육 47, 청람어문학회, 61-86. 미소장
11 원진숙(2005). “대학생들의 학술적 글쓰기 능력 신장을 위한 작문 교육 방법”, 어문논집 51, 민족어문학회, 55-86. 미소장
12 이상은, 소경희(2019). “미래지향적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OECD 역량교육의 틀 변화 동향 분석: ‘Education 2030’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37(1), 한국교육과정학회, 139-164. 미소장
13 이윤빈(2012). “대학 신입생 대상 ‘학술적 글쓰기’의 장르적 의미와 성격”, 작문연구 14, 한국작문학회, 159-200. 미소장
14 임선애(2017). “대학 글쓰기 센터 운영의 현황과 과제”, 리터러시 연구 21, 한국리터러시학회, 133-156. 미소장
15 정희모(2006). “대학 글쓰기 교육의 과정 중심 방법의 적용”, 현대문학의 연구 29, 한국문학연구학회, 483-513. 미소장
16 지현배(2012). “대학생의 자기소개서 쓰기의 특징과 지도 방안”, 교양교육연구 6(3), 한국교양교육학회. 미소장
17 진은진(2016). “대학 글쓰기에서 자기소개서 쓰기 수업 사례와 과제”, 우리문학연구 50, 우리문학회. 미소장
18 최규수(2005). “대학 작문에서 자기를 소개하는 글쓰기의 현실적 위상과 전망-대학생에게 자기 성찰의 글쓰기는어떻게 이루어지는가의 문제”, 문학교육학 18, 문학교육학회, 563-585. 미소장
19 한국교육개발원 현안 보고 OR 2016-10. OECD ‘교육 2030 : 미래 교육과 역량’을 위한 현황분석과 향후 과제. 미소장
20 한국교육과정 평가원 이근호 외(2017). 미래사회 대비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국가 교육과정 구상, 진한엠앤비. 미소장
21 라이홀드 니버 지음, 이한우 옮김(2019).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 문예출판사. 미소장
22 아니스 바와시, 메리 요 레이프 지음, 정희모 옮김(2015). 장르: 역사 이론 연구 교육, 경진출판. 미소장
23 페터 비에리, 문항심 옮김(2015). 자기 결정-행복하고 존엄한 삶은 내가 결정하는 삶이다, 은행나무. 미소장
24 Miller, C. (1986). “Genre as social action”, Quarterly Journal of Speech 70, 151-167. 미소장
25 Swales, J. (1990). Genre Analysis, Cambridge University Press.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