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학습자 중심 수업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분석 = Analyzsis of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of learner-centered instruction / 박나리 ; 송해덕 1

국문초록 1

I. 서론 1

II. 이론적 배경 3

1. 학습자 중심 수업의 개념 3

2. 학습자 중심 수업의 특성 4

3. 학습자 중심 수업 관련 선행연구 5

III. 연구방법 6

1. 연구대상 6

2. 측정도구 7

3. 자료 수집 8

4. 자료처리방법 8

IV. 연구결과 9

1. 영역별 중요도와 실행도 분석결과 9

2. 세부항목별 중요도와 실행도 분석결과 9

3. IPA 매트릭스 분석결과 15

V. 결론 및 제언 18

참고문헌 22

ABSTRACT 26

초록보기

본 연구는 대학에서 효과적인 학습자 중심 수업의 실현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학생들의 인식을 바탕으로, 학습자 중심 수업에 대한 중요도와 실제 수업의 실행도를 비교·분석하였다. 먼저,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학습자 중심 수업을 실현하기 위한 핵심 요소를 도출하였고, 경기도 소재 S 대학의 학생 515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학습자 중심 수업에 대한 인식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학습자 중심 수업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의 인식을 파악하여, 중요도-실행도 분석(IPA)을 통해 인식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학습자 중심 수업에 대하여 중요하다고 인식하지만, 실제 실행수준은 낮았다. 둘째, ‘의사소통 및 상호작용’은 중요도와 실행도가 모두 높은 영역으로 나타났다. 셋째, IPA 분석결과 개선 노력을 위한 집중영역에 영역별 ‘학습관’, ‘교수학습활동’, ‘수업목표’의 3개 영역, 세부항목별 총 10개 항목이 도출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향후 대학에서 학습자 중심 수업의 효과적인 실현을 위한 실제적인 방안들을 논의하고 제시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2015 개정 초등 국어 교과서의 다문화 내용 분석 = An analysis of multicultural contents of elementary Korean language textbooks of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김은지, 이경화 p. 1211-1230

보기
유아교사 양성교육에서의 TBL기반 협력적 수업모형 개발 = Development of a TBL-based cooperative teaching model in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education 김은정 p. 997-1019

보기
대학수학능력시험 수학 영역에 연계된 EBS 교재 문항 분석 = An analysis of EBS CSAT books related to CSAT mathematics 최희선 p. 805-828

보기
대학생의 자기주도성이 진로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Influences of proactive personality of university students on career resilience 최지은, 조용선 p. 931-950

보기
'매트운동' 앞굴러 다리벌려 서기 프로그램 효과 = The effect of 'mat exercise' roll forward and stand up widening legs program 오준석, 박철희 p. 1149-1165

보기
동아리활동 연계한 대학 인터넷윤리 온라인 플립러닝 학습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A qualitative study on online flip-learning learning experience in university Internet ethics linked to club activities 김우태 p. 1549-1567

보기
2004년부터 2019년까지 국내 영유아 교육 분야 실행연구 논문의 동향 분석 = Analysis of domestic research trends of action research in the area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from 2004 to 2019 김예영, 곽영주, 윤재희 p. 1039-1066

보기
음악적 감성 역량 측정도구 개발 및 관련 변인 분석 = Developing musical emotion competency and examining its relationships with students' characteristics 김소연, 지은림 p. 1343-1369

보기
초등학교 고학년의 발표불안 감소를 위한 비디오피드백을 활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 The development of a group counseling program using video-feedback to reduce public speech anxie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higher grades 김선혜, 유형근 p. 1527-1548

보기
헤르더에서 언어와 교육 : Herder on language and education : language, use of language and speech act as means of educ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 교수 활동과 학습 활동의 도구적 매체인 언어와 언어 사용과 언어 행위 조관성 p. 1405-1432

보기
침묵식 교수법을 활용한 중국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 대상 모음 발음 교정 연구 = A study on teaching methods to correct the vowel pronunciation of advanced Chinese learners of Korean using the "silent way" method 전홍화, Chen Jing p. 1099-1120

보기
영유아교사의 민주적인 학급경영에 대한 인식과 실태 =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tion and actual condition of democratic classroom management 송윤나, 김새로라, 박희숙 p. 1453-1476

보기
초등체육에서 기초 운동기능의 중요성과 과제 = The importance and task of fundamental motor skills in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김만의 p. 1385-1404

보기
온라인 기반 대학 글쓰기 수업 사례 연구 = Study on the cases of online-based writing class in university 김록희 p. 1167-1187

보기
유아의 기질이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temperament of yo[u]ng children of peer competence : me[d]iating effects of emitional[실은 emotional] intelligence /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고정완, 류혜숙 p. 951-966

보기
청소년의 체육 수업 인식과 미래 스포츠 참여 의지의 관계에서 체육 수업 몰입의 매개 효과 분석 = Mediation effect of commitment to physical education class between physical education class awareness and future sport participate will of adolescent 장용우, 송지환 p. 1189-1209

보기
대학생의 전공변경 실행 이유와 어려움 탐색 = Exploring the reasons and difficulties of college students' major changes 강혜영, 이동혁 p. 857-885

보기
발달장애 학습자의 피아노 비대면 개별화 교육 프로그램(UIEP)연구 = A study on the piano untact individualized educational program for developmental disorder learners 임은정, 이보림 p. 829-855

보기
유아교육기관의 지원적 학습문화와 긍정심리자본의 관계에서 직무열의 매개효과 = The intermediation effect of job engagement between supportive learning culture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박성애, 신예희 p. 1477-1497

보기
놀이중심 미술활동이 유아의 사회성과 미술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play centered art activities on children's sociality and art expression ability 박선영, 박은선 p. 909-929

보기
간호학생의 임상실습관련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Factors influencing self-efficacy related to clinical practice in nursing students 박미향 p. 1325-1342

보기
학습자 중심 수업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분석 = Analyzsis of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of learner-centered instruction 박나리, 송해덕 p. 1271-1296

보기
교사의 고교학점제 및 대입제도에 대한 인식 연구 =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college entrance system of teachers 허정은, 정영희, 박창언 p. 1433-1452

보기
플라톤, 에라스무스, 칸트의 유아교육 사상에 대한 이해 : The thought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of Plato, Erasmus, and Immanuel Kant in comparison : focusing on the republic, education of children, and lectures on pedagogy / 국가, 아동교육론, 교육학강론 텍스트를 중심으로 한은숙 p. 1121-1148

보기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연구의 동향과 과제 = The trend and tasks of researches on the 2015 revise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하혁, 박대원 p. 967-996

보기
청소년과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그릿 및 삶의 만족 간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grit, and life satisfaction of adolescents and mothers : application of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APIM) /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APIM)의 적용 하문선 p. 1297-1323

보기
자살 게이트키퍼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Meta-analysis of the effects of suicide gatekeeper programs 이정은 p. 785-803

보기
다문화 사회에서의 초등 인성교육 방안 = Exploring an approach to the primary level character education in multicultural society 이재호 p. 1021-1038

보기
간호대학생의 응급간호 시뮬레이션 실습에 대한 사후토의 경험 : Debriefing experience of simulation practice for emergency nursing in nursing students : using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 질적내용분석 이인숙 p. 1499-1526

보기
3년제 유아교육과 교과목 개설 현황 분석 = The analysis of the opening subjects in department of three-year early childhood education 이옥주, 오선영, 김성숙 p. 887-907

보기
보육교사 양성과정에 대한 현직 경력보육교사들의 개선 요구 : A demand for child care teacher training course improvement by current child care teachers : centered on current child care career teachers with more than 5 years experience / 5년 이상 현직 경력보육교사를 중심으로 이상미 p. 1067-1097

보기
대학생의 성평등의식, 자아존중감, 성 의사소통이 성적 자율성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sexual egalitarianism, self-esteem, sexual communication on sexual autonomy in college student 문지현, 최소은 p. 1371-1384

보기
중국과 한국 중학생의 음악수업에 대한 기대-가치와 학습참여의 차이 = Differences in Chinese and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expectancy-values and learning engagement in music classes 등소염 p. 1231-1249

보기
간호 대학생의 공감능력, 돌봄 효능감, 스트레스대처가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empathy, caring efficacy and stress coping on clinic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이경은, 홍진영 p. 1251-1270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