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ADHD아동의 문제행동 개선을 위한 미술중심 융합예술치료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art-oriented convergence arts therapy program for improving problem behavior in ADHD children 김미경, 이에스더 p. 219-240
치매안심센터를 이용하는 경증 치매노인의 집단미술치료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experience of group art therapy for the elders with mild dementia in the dementia center 문리학, 김혜주, 한경아 p. 193-217
치매노인과 일반노인의 시계그리기검사(CDT)와 얼굴자극그림검사(FSA)의 반응 특성 = Characteristics of CDT and FSA drawings by the elderlies with dementia and without dementia 시현승, 김갑숙 p. 169-192
청소년의 자아개념 향상을 위한 비대면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 연구 = Development of a non-face-to-face integrated art therapy program to improve self-concept of adolescent 조미성, 박윤지 p. 143-168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미술치료사의 자기성찰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self-reflection of art therapists 변성혜, 한유진 p. 121-141
음악 치료가 중년 여성의 우울, 스트레스,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An effect of music therapy on the depression, stress, and ego-resilience of middle-aged women 최애나 p. 103-120
음악 중재에 참여한 암 환자의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문헌고찰 = Narrative literature review on experiences of cancer patients participating in music intervention 이병훈, 김영실, 박혜영 p. 79-102
언택트 사회의 예술심리치료 방향 = The direction of the arts-psychotherapy in the untact society 최주희, 문송이, 남현우 p. 47-78
뇌졸중 환자 대상 국내 음악중재 연구 논거 고찰 = A review rationale of literatures implement of music intervention with Korean stroke patients 양수아, 박지원, 문소영 p. 23-45
기혼여성의 성인애착과 부부친밀감 평가도구로서의 모자화(Mother and Child Drawings) 활용가능성 = Mother and child drawings as assessment tool of adult attachment and marital intimacy for married women 한교은, 전성희 p. 1-21

참고문헌 (14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고희진(2002). 이미지를 통한 감정분석과 음악치료 시스템 생성을 위한 웹 툴 개발. 미간행 석사학위 청구논문,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소장
2 곽소정․이조은․권지은(2016). 자아 형성 관점에서 분석한 라이프로깅 앱에 관한 연구. 2016년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1) (pp. 206-211). 한국HCI 학회. 미소장
3 김경은(2014). 한부모 가정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성 증진을 위한 태블릿PC 합주 활동 사례연구. 미간행 석사학위 청구논문,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미소장
4 김보미․김현조(2012). 피지컬 컴퓨팅의 개념을 활용한 애니메이션 치료모델에관한 연구.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2(2). 269-278. 미소장
5 김영식(2020). 포스트코로나 시대 미래기술 사회 전망. 한국IT서비스학회 춘계학술대회, 2020 (pp.267-280). 한국IT서비스학회. 미소장
6 김용남․이동규(2013). 가상현실에서 댄스 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 우울 및일상 생활 동작에 미치는 효과. 대한물리치료학회지, 25(5). 360-365. 미소장
7 김용섭(2020). 언컨택트 - 더 많은 연결을 위한 새로운 시대 진화코드. 서울: 퍼블리온. 미소장
8 김지연(2010). 미술치료기법을 활용한 컴퓨터 그래픽 프로그램 연구: 중학교 3학년자아표현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 청구논문,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소장
9 김태식․현혜정(2007). 웹 환경에서 감성적 표현요소를 통한 음악치료 시스템 개발-시각요소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7(6). 177-184. 미소장
10 남상선(2018). 4차 산업혁명시대 새로운 패러다임을 위한 통합예술치료사의 전문성과 가치에 대한 질적 연구. 예술심리치료연구, 14(1). 1-25. 미소장
11 류창수․이명환(2013). RightMark 테스트를 이용한 스마트폰 음악치료의 알파웨이브 음악 분석. 2013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1(2) (pp.127-128). 한국컴퓨터정보학회. 미소장
12 문지현․신소윤․이은진(2019). 음악 게임을 이용한 치매 환자들의 자가 치료 앱. 2019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6) (pp.2115-2116). 한국정보과학회. 미소장
13 박소정(2019). 미술치료에서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가능한 자기’의 적용. 예술심리치료연구, 15(2). 153-178. 미소장
14 박윤영․변혜원(2008). BREW 기반 개인 맞춤형 모바일 웰빙 애플리케이션. 2008한국멀티미디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pp.145-149). 한국멀티미디어학회. 미소장
15 배영(2012). 라이프로그의 확산과 잊혀질 권리. Internet and Information Security, 3(4). 86-99. 미소장
16 배준(2006). 그림 진단을 위한 주제색 및 불균형 판단 전문가 시스템. 미간행 석사학위 청구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17 서수인․류한영․박주현(2014). 정서적 소통을 위한 그룹 음악 연주 애플리케이션 디자인. 201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pp.339-343). 한국HCI학회. 미소장
18 성미숙(2003). 청소년 미술치료를 위한 사이버상담시스템. 미간행 석사학위 청구논문,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소장
19 손성희(2015). 모바일 기반 HTP그림검사 앱 개발을 위한 표준화 연구 : 성격5요인에 따른 HTP그림검사의 반응특성을 중심으로. 미간행 박사학위 청구논문, 대구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20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2018). 스마트 헬스케어 의료기기 기술표준 전략 보고서. 미소장
21 손창배(2020). 미술치료사의 디지털 매체 체험을 통한 디지털 미술치료 적용 가능성 탐구. 미간행 박사학위 청구논문, 차의과학대학교 일반대학원. 미소장
22 신영전(2020). 코로나19 대유행시기의 보건복지: “온 보건복지(One Health &Welfare)를 향하여”. 보건사회연구, 40(1). 5-10. 미소장
23 심수민(2014). 2014 웨어러블 디바이스 산업백서. KT경제경영연구소. 미소장
24 사회복지 생활시설의 감염병 대응 현황과 과제 네이버 미소장
25 양세진(2006). 웹기반 음악치료가 주의집중력과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석사학위 청구논문,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소장
26 오승근(2010). 동적 가족화 사정평가를 위한 웹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설계 및구현. 미간행 석사학위 청구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27 옥은정(2013). 컴퓨터 활용 여부에 따른 콜라주 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의 자기표현행동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석사학위 청구논문,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미소장
28 유한영․안세정․김승환․정득영(2019). 정신건강 비서 서비스 기술. 정보통신기획평가원. 미소장
29 윤창원(2020). 언택트 방식을 통한 음악산업의 새로운 패러다임. 미간행 석사학위 청구논문,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미소장
30 이근매(2011). 예술심리치료의 특성과 효과에 대한 연구. 예술심리치료연구. 7(2). 59-81. 미소장
31 이동훈, 김주연, 김진주(2015). 온라인 심리치료의 가능성과 한계에 대한 탐색적연구. 한국심리학회지. 27(3), 543-582. 미소장
32 이명화(2020). 코로나19 사태로 바라본 국가과학기술정책의 방향. Future Horizon 2020 (pp.48-55).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미소장
33 이모영(2016). 디지털 이미지의 매체 특징과 그 치유적 함의에 대한 논의. 예술심리치료연구, 12(3). 61-85. 미소장
34 이상엽(2018). XR(Cross Reality)의 기술 개요와 동향. 정보통신기획평가원. 미소장
35 이상희․원광연․우성주(2009). 디지털 미술치료의 가능성 및 발전방향. 2009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pp.1309-1315). 한국HCI학회. 미소장
36 이영호․김선경(2019). 증강도시(Augmenting City)를 위한 확장현실(Extended Reality) 원격협업 기술동향. 한국통신학회지(정보와통신), 36(10). 33-41. 미소장
37 이에스더․박미정(2013). 영상매체 활용 예술치료 프로그램이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사회성과 자존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음악교육공학, 16. 117-136. 미소장
38 이에스더․안은미(2012). ADHD 아동을 위한 예술치료 프로그램 개발 - 영상매체 활용을 중심으로 -. 문화예술교육연구, 2(1). 139-160. 미소장
39 이정민․김수지․천성문(2017). 영상매체를 활용한 통합예술치료프로그램이 뇌병변장애인의 자아존중감, 임파워먼트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상담학연구, 18(3). 333-349. 미소장
40 스트레스 호르몬 센서개발의 최신동향 소장
41 임성진․이정은․한신(2017). 화상통화를 이용한 심리치료에 대한 인식 및 필요성연구. 스트레스연구, 25(1). 57-67. 미소장
42 임진솔․최종훈(2020). 디지털 라이프로깅을 통한 감정 기록 및 재현에 관한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21(2). 271-283. 미소장
43 장인호(2017). 첨단과학기술시대에 웨어러블기기 이용급증에 따른 개인건강정보보호를 위한 입법적 대응방안. 법과정책, 23(3). 231-265. 미소장
44 전기환(2008). 생체신호를 이용한 심리상태 판별의 인식모델에 관한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 청구논문,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미소장
45 정다은(2020). 온라인 미술교육을 통해 살펴본 포스트 코로나 시대 미술교육 변화에 관한 사례연구. 미술과 교육, 21(3). 67-94. 미소장
46 정승식(2009). 심리불안요소 예방을 위한 웹 기반 미술치료 시스템 설계 및 구현. 미간행 석사학위 청구논문.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소장
47 조아영․이현우․우진철․조영호․황민철(2017). 심탄도 기반 심장반응과 생활패턴에 대한 경로분석. 2017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pp. 249-252). 한국HCI학회. 미소장
48 조용태(2017). 4차 산업혁명과 예술심리치료에서의 심리진단. 예술심리치료연구, 13(4). 1-29. 미소장
49 주예슬(2020). 이종 현실 사용자 간의 협력 작업을 지원하는 확장현실 응용 제작용 S/W 툴킷 개발. 미간행 석사학위 청구논문,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미소장
50 중소벤처기업부(2017). 중소·중견기업 기술로드맵(2017-2019) -헬스케어-. 미소장
51 중소벤처기업부(2018). 중소기업 기술로드맵(2018-2020) -의료서비스·기기-. 미소장
52 지경미(2015). 지적장애 청소년의 집행 기능 향상을 위한 태블릿 PC 기반 음악 만들기 활동 사례. 미간행 석사학위 청구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소장
53 차은주․오윤선(2020). 디지털 헬스케어 패러다임에 따른 무용웰니스의 티핑 포인트 전망. 한국체육학회지, 59(2). 269-283. 미소장
54 채혜신(2009). 컴퓨터그래픽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 스트레스 감소에미치는 영향 : 실업계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미간행 석사학위 청구논문, 포천중문 의과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미소장
55 최보윤․강경선(2019). 가상현실을 활용한 음악치료가 지적장애인의 식사행동수정에 미치는 영향. 발달장애연구, 23(1). 1-19. 미소장
56 하수민(2013). http://trendinsight.biz/archives/18848 삶을 기록받길 원하는 Care-Recording 족을 주목하다. 트렌드인사이트. 2020. 06. 17. 검색. 미소장
57 하영경(2016).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분류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 청구논문,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미소장
58 한국정보화진흥원(2019). 2019년 국가정보화 백서. 미소장
59 한주연(2015). 예술의 유희적 특성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의 예술치료적 활용의가능성. Contents Plus, 13(3). 145-160. 미소장
60 한주연(2017). 예술치료게임 「e-Therapy 칠교놀이」의 개발과 효과성 고찰을위한 연구. 예술심리치료연구, 13(1) (pp.137-165). Korea Citation Index. 미소장
61 현성숙(2006). 미술치료에서의 디지털이미지의 활용과 접근. 한국디자인포럼, 13. 453-466. 미소장
62 홍기윤․이언석(2017). 색채심리치료를 위한 VR색채영상의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7(10). 376-384. 미소장
63 홍윤선(2008). 컴퓨터 미술치료가 뇌성마비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예술치료학회지, 8(1). 327-352. 미소장
64 Exploring the Potential of Technology-Based Mental Health Services for Homeless Youth: A Qualitative Study 네이버 미소장
65 Andreia, A., Dalila, D., Rita, M., Zelia, D., & Henrique, G.(2019). Digital technologies, music therapy and inclusion. 2019 International Symposium on Computers in Education (SIIE) (pp.1-4). ESECB. 미소장
66 An online music therapy intervention to enhance social skills in an adolescent diagnosed with Asperger's Syndrome 네이버 미소장
67 Benveniste, S., Jouvelot, P., Pin, B., & Péquignot, R.(2012). The MINWii project: Renarcissization of patients suffering from Alzheimer’s disease through video game-based music therapy. In 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ntertainment Computing (ICEC), 3(4) (pp.111-120). Entertainment computing. 미소장
68 mHealth for mental health in the Middle East: Need, technology use, and readiness among Palestinians in the West Bank 네이버 미소장
69 Bouchard, S., Paquin, B., Payeur, R., Allard, M., Rivard, V., Fournier, T., Renaud, P., & Lapierre, J.(2004). Delivering cognitive-behavior therapy for panic disorder with agoraphobia in videoconference. Telemed J, 10(1). 13-25. 미소장
70 Tele-assistance in intellectual disability. 네이버 미소장
71 Burton, M. J.(2018). Four Propositions towards a Designed Future. 미술과 교육, 19(1). 1-13. 미소장
72 Chao-Fernández, R., Gisbert-Caudeli, V., & Vázquez-Sánchez, R.(2020). Emotional training and modification of disruptive behaviors through computer-game-based music therapy in secondary education. Appl. Sci., 10(5). doi: https://doi.org/10.3390/app10051796 미소장
73 Choe, S. N.(2014). An exploration of the qualities and features of art apps for art therapy. In The Arts in Psychotherapy, 41(2). 145-154. 미소장
74 Clements-Cortés, A.(2014). There's an app for that! The Canadian Music Educator, 55(4). 35-37. 미소장
75 Collie, K. Hankinson, P. S., Norton, M., Dunlop, C., Mooney, M., Miller, G., & Giese-Davis, J.(2017). Online art therapy groups for young adults with cancer. An International Journal for Research, Policy and Practice, 9(1). 1-13. 미소장
76 Computer-Supported Distance Art Therapy: A Focus on Traumatic Illness 네이버 미소장
77 Correa, A. G. D., Ficheman, I. K., Nascimento, M., & Lopes, R. D.(2009), Computer assisted music therapy: a case study of an augmented reality musical system for children sith cerebral palsy rehabilitation. 2009 Ninth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dvanced Learning Technologies (pp.218-220). IEEE 미소장
78 Using Technology to Improve Access to Mental Health Services 네이버 미소장
79 Dammers, R. J.(2009). Utilizing internet-based videoconferencing for instrumental music lessons. Applications of Research in Music Education, 28(1). 17–24. 미소장
80 Darewych, O. H., Carlton, N. R., & Farrugie, K. W.(2015). Digital technology use in art therapy with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Journal on Developmental Disabilities, 21(2). 95-102. 미소장
81 Daniel, C.(2017). 심리학개론, 사람·마음·뇌 과학 (김정희, 김남희, 이경숙, 이나경, 장인희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원저 2015년 출판) 미소장
82 Denecke, K.(2017). A mobile system for music anamnesis and receptive music therapy in the personal home. 2017 International Medical Informatics Association(IMIA)and IOS Press (pp.54-58). Medinfo 2017:Precision healthcare through informatics. 미소장
83 Use of technology and software applications for therapeutic collage making 네이버 미소장
84 Customized Web-Based Sound/Music Therapy for Tinnitus 네이버 미소장
85 Dunphy, K., Mullane, S., & Allen, L.(2016). Developing an iPad app for assessment in dance movement therapy. The Arts in Psychotherapy, 51. 54-62. 미소장
86 Outcome-Focused Dance Movement Therapy Assessment Enhanced by iPad App MARA. 네이버 미소장
87 The impact of virtual, augmented and mixed reality technologies on the customer experience 네이버 미소장
88 A Pilot Study Exploring the Use of an Online Pre-Composed Receptive Music Experience for Students Coping with Stress and Anxiety. 네이버 미소장
89 Therapist adherence and competence with manualized cognitive-behavioral therapy for PTSD delivered via videoconferencing technology. 네이버 미소장
90 Assessment of the therapeutic alliance in face-to-face or videoconference treatment fo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네이버 미소장
91 Exploring the Current Usage and Preferences for Everyday Technology among People with Serious Mental Illnesses 네이버 미소장
92 Virtual reality crowd simulation: effects of agent density on user experience and behaviour 네이버 미소장
93 The Principles of Art Therapy in Virtual Reality. 네이버 미소장
94 Computer-based art therapy with inpatients: Acute and chronic schizophrenics and borderline cases 네이버 미소장
95 Clinical and educational telepsychiatry applications: a review. 네이버 미소장
96 Himle, A., Fischer, J., Muroff, R., Van Etten, L., Lokers, M., Abelson, L., Hanna, L.(2006). Videoconferencing-based cognitive-behavioral therapy for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Behavior Research Therapy, 44(12). 1821-1829. 미소장
97 At-Home Music Therapy Intervention Using Video Phone (Skype) for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네이버 미소장
98 Hsin, C., & Garner, R.(2014). Digital art therapy assessment: overcoming cultural and Language barriers globally. International Journal of Technology, Knowledge & Society: Annual Review, 9(3). 35-47. 미소장
99 A KFD web database system with an object-based image retrieval for family art therapy assessments 네이버 미소장
100 Expressive remix therapy: using digital media art in therapeutic group sessions children and adolescents. 네이버 미소장
101 Augmented Reality Takes Parkinson Disease Dance Therapy Out of the Classroom. 네이버 미소장
102 Jeon, J. H., Yeon, J., Lee, S., & Seo, J.(2014). Exploratory visualization of smarphone-based lifelogging data using smart reality testbed. 2014International Conference on Big Data and Smart Computing (BIGCOMP)(pp.29-33). IEEE. 미소장
103 Jones, B., Hankinson, P. S., Collie, K., & Tang, A.(2014). Supporting non-verbal visual communication in online group art therapy. CHI EA '14: CHI '14 Extended Abstracts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pp.1759-1764). 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anery. 미소장
104 Kanehira, R., Ito, Y., Suzuki, M., & Hideo, F.(2018). Enhanced relaxation effect of music therapy with VR. 2018 1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Natural Computation, Fuzzy Systems and Knowledge Discovery (ICNC-FSKD) Natural Computation (pp,1374-1378). IEEE. 미소장
105 Krampe, J., & Musterman, M.(2013). Shall we skype dance? connecting nursing students with older adults via skype for dance-based therapy. Cin-Computer Informatics Nursing, 31(4). 151-154. 미소장
106 Designing, Piloting, and Evaluating an On-Line Collaborative Songwriting Environment and Protocol Using Skype Telecommunication Technology: Perceptions of Music Therapy Student Participants 네이버 미소장
107 Lee, N., Lee., D., & Song, H.(2015). Effect of virtual reality dance exercise on the balance,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depressive disorder status of Parkinson's disease patients. J. Phys. Ther. Sci., 27. 145-147. 미소장
108 Telehealth-based creative arts therapy: Transforming mental health and rehabilitation care for rural veterans 네이버 미소장
109 Collaborative music therapy via remote video technology to reduce a veteran's symptoms of severe, chronic PTSD 네이버 미소장
110 Liu, Y, & Chang, C.(2018). The application of virtual reality technology in art therapy: a case of tilt brush. 2018 1st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Knowledge Innovation and Invention (ICKII) (pp.47-50). IEEE. 미소장
111 Litz, B. T., Williams, L., Wang, J., Bryant, R., & Engel, C. C.(2004). A therapist assisted internet self-help program for traumatic stress.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35. 628-634. 미소장
112 mHealth for Mental Health: Integrating Smartphone Technology in Behavioral Healthcare 네이버 미소장
113 Cognitive behaviour therapy via interactive video. 네이버 미소장
114 Usability assessment of a mobile app for art therapy 네이버 미소장
115 Psychotherapeutic Applications of Mobile Phone-based Technologies: A Systematic Review of Current Research and Trends. 네이버 미소장
116 Designing and Testing Telehealth Interventions to Improve Outcomes for Cardiovascular Patients 네이버 미소장
117 Morahan-Martin, J. M.(2004). How internet users find, evaluate, and use online health information:a cross-cultural review. Cyverpsychology &Behavior, 7(5). 497-510. 미소장
118 Affective beneficence of vigorous physical activity. 네이버 미소장
119 Internet interventions can meet the emotional needs of patients and carers managing long-term conditions 네이버 미소장
120 State of the Field of Mental Health Apps 네이버 미소장
121 The Effects of Whole-Body Vibration (WBV) Evaluated Using Cognitive Brain-Training App Games on Tablet or Cell phone for Both Genders 네이버 미소장
122 North, M. M., & North, S. M.(2016). Virtual reality therapy. Computer-Assisted and Web-Based Innovations in Psychology, Special Education, and Health. 141-156. 미소장
123 Effect of Virtual Reality Graded Exposure on Anxiety Levels of Performing Musicians: A Case Study 네이버 미소장
124 Technology Training for Future Art Therapists: Is There a Need? 네이버 미소장
125 Videoconferencing in child and adolescent telepsychiatry: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네이버 미소장
126 Telepediatric surgery: capturing clinical outcomes 네이버 미소장
127 Internet Interventions: In Review, In Use, and Into the Future 네이버 미소장
128 Efficacy of video-music therapy on quality of life improvement in a group of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a pre-post study. 네이버 미소장
129 Rubin, J. A.(2006). 미술치료학개론(김진숙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원저 2004출판). 미소장
130 The validity of video clips in the diagnosis of gait disorder. 네이버 미소장
131 Seanglidet, Y., Lee, B. S., & Yeo, C. K.(2016). Mood prediction from facial video with music “therapy” on a smartphone. 2016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ymposium (WTS) (pp.1-5). IEEE. 미소장
132 Sellen, A. J., Fogg, A., Aitken, M., Hodges, S., Rother, C., & Wood, K.(2007). Do life-logging technologies support memory for the past?.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Proceedings (pp.81-90). IEEE. 미소장
133 P2-520: ENHANCING DEMENTIA CARE AND BUILDING EMPATHY THROUGH THE INTEGRATION OF VIRTUAL REALITY TECHNOLOGY AND ART THERAPY 네이버 미소장
134 Sepherd, L., Goldstein, D., Whitford, H., Thewes, B., Brummell, V., & Hicks, M.(2006). The utility of videoconferencing to provide innovative delivery of psychological treatment for rural cancer patients: results of a pilot study. J Pain Symptom Manage. 32(5). 453-461. 미소장
135 Video Communication in Remote Rehabilitation and Occupational Therapy Groups 네이버 미소장
136 Psychotherapy via videoconferencing: a review 네이버 미소장
137 Storjohann, S.(2019). Integrating digital app technologies within traditional expressive arts therapy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Expressive Therapies Capstone Theses, 5(18). 1-40. 미소장
138 Subramaniam, S., & Bhatt, T.(2015). Does a virtual reality-based dance rraining paradigm invrease balance control in chronic stroke survivors? a preliminary study. Int J Neurorehabilitation, 2(4). 1-10. 미소장
139 Development and feasibility testing of an online virtual reality platform for delivering therapeutic group singing interventions for people living with spinal cord injury. 네이버 미소장
140 Treating the speech disorder in Parkinson's disease online 네이버 미소장
141 A pilot study of prolonged exposure therapy fo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delivered via telehealth technology 네이버 미소장
142 Virtual reality and imaginative techniques in clinical psychology. 네이버 미소장
143 Yu, J., Zeng, F., Zhang, J., Li, Y., & Zhang, Y.(2010). Implementation of portable monitor based on mobile phone for music therapy on hypertension. 2010 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Biomedical Engineering and Informatics Biomedical Engineering and Informatics (BMEI), 5 (pp.1923-1926). IEEE. 미소장
144 Yuen, E. K., Herbert, J. D., Forman, E. M., Goetter, E. M., Juarascio, A. S., Rabin, S. J., & Bouchard, S.(2010). Using skype videoconferencing and second life virtual environments to deliver acceptance-based behavior therapy for social anxiety disorder. San Francisco: In the 44th annual convention of the Association for Behavioral and Cognitive Therapies.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