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1968년부터 작품 활동을 시작해 1970년대 대중소설을 쓰던 윤정모는 1980년대에는 「에미 이름은 조센삐였다」, 『고삐』 등의 문제작을 쓴 작가이자 이른바 ‘여류’ 문학의 한계를 극복한 작가로 주류 문단에서 평가받았다. 1980년대 후반은 여성문학인들이 ‘여류문학’으로서가 아닌 ‘여성문학’으로서 문단과 문학사에서 새로운 시민권을 주장하기 시작한 시기였고 윤정모는 이러한 새로운 여성문학에의 요청에 걸맞은 작가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윤정모의 소설들은 여성 재현에 있어서 여성혐오라는 뚜렷한 한계를 다음과 같이 드러낸다. 첫째 윤정모 소설은 성적으로 방종하거나 훼손된 어머니를 소설 속에서 지속적으로 그려낸다. 윤정모의 초기 장편소설에도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이 모티프는 1980년대 소설에서는 민족주의와 접속되어 이들 여성들을 민족공동체 속에서 타자화시킨다. 윤정모의 초기 소설에서는 분열적이고 기괴한 남성성을 혐오하고 비판적으로 바라보는 여대생 캐릭터가 등장하는 것과는 달리 1980년대 소설들은 민족주의적 입장에서 혐오스러운 나쁜 모성과 민족과 공동체에 복무하는 훌륭한 모성이라는 여성재현의 스테레오타입을 그대로 형상화하고 있다. 둘째, 윤정모의 소설은 민족을 위협하는 외세를 중간계급 여성이라는 캐릭터를 통해 형상화시킨다. 이러한 재현방식은 교육받거나 경제력이 있는 중간 계급 여성을 배제하고 혐오하던 민중담론의 가부장제적 사고와 관련이 깊다. 결국 윤정모는 1980년대 후반, 문단에서 남성과 부계를 표준으로 삼는 민족, 역사를 소설의 소재로 적극 끌어온 ‘탈여류’의 여성작가가 되었지만 여성혐오를 드러내고 남성 지식인을 훌륭하게 묘사하면서 남성폭력을 용인하는 한계를 지닌다. 이러한 재현의 방식은 윤정모가 자신의 개인사를 재현하고 서술하는 방식과 유사하다. 상상된 부계혈통의 중요성은 단순히 민족주의적 정당성을 뛰어넘어 작가 개인의 실존적 고민에 맞닿아 있었기 때문에 윤정모의 문학이 1990년대의 달라진 상황에서 유연하게 변화될 수 없었던 이유로 작용한다.

Jungmo Yoon who started her work activities from 1968, and then wrote popular novels in the 1970s, is not only a writer who wrote such controversial works like 「Night Road」 representing the May 18 Gwangju Democratic Movement into a novel for the first time, 「Your Ma’s name Was Chosun Whore)」 taking the comfort women for Japanese soldiers as its material, and 『Rein』 known as an anti-American novel in the 1980s, but also evaluated as a writer who overcame the limitation of so-called ‘feminine’ literature in the literary world. In the late 1980s, the female writers started asserting the new citizenship in the literary world and literary history not as ‘feminine literature’, but as ‘women’s literature’. At that time, Jungmo Yoon was also evaluated as a writer suitable for the new requests of women’s literature. However, Jungmo Yoon’s novels are overwhelmed by the nationalistic perspective, so they reveal the limitations of misogyny in the representation of women as follows. First, Jungmo Yoon’s novels in the 1980s, regarded as popular novels fully represent the stereotype in the representation of women as hateful bad maternalism and excellent maternalism. Second, Jungmo Yoon’s novels represent the ‘foreign power’ threatening people through the characters of middle-class women. In other words, the female characters symbolizing the foreign power are set up as luxurious and selfish middle-class women who are connected to the United States or excessively like foreign goods. This method of representation is highly related to the fact that the national/popular movements discourse of the time embraced the lower-class women as people and the public, and on the other hand, it excluded the middle-class women. Eventually, Jungmo Yoon became a female writer of ‘post-feminine literature’ by actively using the time, people, and history as the materials of her novels. However, her novels show the limitations of showing the tolerant perspective on men’s violence while revealing the misogyny. This method of reproduction is similar to the way Yoon Jung-mo reproduces and describes his personal history. The importance of the imagined paternal lineage was also the reason why Yoon Jung-mo’s literature could not be flexibly changed in the changed situation of the 1990s, as it was more than just nationalistic justification.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탈장소화되는 제주 : The displaced island : focusing on the representation of Jeju Island women in Japan in 4.3 documentaries / 4.3 다큐멘터리에서 재일제주인 여성의 재현을 중심으로 허민석 p. 314-345

영화적 게임의 젠더 다양성 재현과 동일시의 트러블 : Gender diversity and the trouble of identification in The Last of Us series / 「더 라스트 오브 어스」 시리즈를 중심으로 조혜영 p. 72-101

케이팝(K-pop) 아이돌의 자필 사과문 : Handwritten apologies of K-pop idols : authenticity of handwriting and fandom's identity as consumer / 손글씨의 진정성과 팬덤의 소비자 정체성 강은교 p. 36-71

OTT 서비스와 '여성 취향'의 진화 :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OTT service and "taste of women" : focusing on 「Killing Eve」 / 드라마 「킬링이브」를 중심으로 손혜민 p. 10-35

국경을 넘는 페미니즘과 '얼굴없음'의 정동 : Cross-border feminism and affect of the "facelessness" : focused on the Japanese translation of Kim Ji-young, Born in 1982 / 『82년생 김지영』 일본어 번역을 중심으로 김미정 p. 284-313

보편을 분유(分有)하는 문학소녀들의 책읽기 : A share of universality through reading by 'literature girl' : Jeon Hyerin's essay and the reborn of Demian as a bestseller / 전혜린의 독서 노트와 베스트셀러 『데미안』의 탄생 임진하 p. 251-283

60년대 여성 정신병의 재현과 히스테리 : Representation of women psychosis in the 60s and hysteria : medical knowledge as gender power and sexualized "inner" / 젠더권력으로서의 의학지식과 성애화된 '내면' 송인화 p. 221-250

해방기 여성대중의 부상과 여성봉기의 재현 = The rise of the women's masses and the representation of the women's uprising in the liberation period 류진희 p. 199-220

김말봉의 대중소설 『찔레꽃』의 사상 : The thoughts of Kim Mal-Bong's popular novel Jjillekkot(찔레꽃 The Brier Flower) : Walt Whitman, Arishima Takeo, and anarchism / 휘트먼과 아리시마 다케오, 그리고 아나키즘 서정자 p. 170-198

대하소설에 나타나는 부모-자녀관계 연구. A study on relationship of parents and children in river-novels. 2, New possibility of fatherhood seen through Okwonjaehapkiyeon / 2, <옥원재합기연>을 통해 본 부성의 새로운 가능성 한길연 p. 142-169

여성작가는 어떻게 '탈(脫)여류'를 했는가 : How did a female writer attempt the 'post-feminine literature'? : misogyny and the imagined paternal lineage in Jungmo Yoon's novels / 윤정모 소설에서의 상상된 부계(父系)와 여성혐오 노지승 p. 104-140

참고문헌 (38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윤정모, 『무늬져 부는 바람』, 교육사, 1968. 미소장
2 윤정모, 『저 바람이 꽃잎을』, 동민문화사, 1972. 미소장
3 윤정모, 『13월의 송가』, 집현각, 1975. 미소장
4 윤정모, 『광화문통 아이』, 서음출판사, 1976. 미소장
5 윤정모, 『고삐1』, 풀빛, 1989. 미소장
6 윤정모, 「이제는 통일의 꽃을 피워야 할 때」, 『실천문학』 제18호, 실천문학사, 1990. 미소장
7 윤정모, 『황새울 편지(윤정모 에세이집)』, 푸른숲, 1990. 미소장
8 윤정모, 『고삐2』, 풀빛, 1993. 미소장
9 윤정모, 『봄비』, 풀빛, 1994. 미소장
10 윤정모, 『에미 이름은 조센삐였다』, 당대, 1997. 미소장
11 윤정모, 『우리는 특급열차를 타러간다』, 눈과마음, 2001. 미소장
12 윤정모, 『밤길』, 책세상, 2009. 미소장
13 윤정모, 「서라벌, 나의 인큐베이터」, 김주영·이근배·오정희 외, 『문학이라 쓰고 인생이라 읽는다—서라벌예술대학·중앙대학교 문예창작학과 60년 이야기』, 작가세계, 2013. 미소장
14 이효재 엮음, 『여성해방의 이론과 현실』, 창작과비평사, 1979, 1-353쪽. 미소장
15 정진성·안진 외, 『한국현대여성사』, 한울아카데미, 2004, 1-444쪽. 미소장
16 Costa, Mariarosa Dalla, 이영주·김현지 역, 『페미니즘의 투쟁』, 갈무리, 2020, 1-560쪽. 미소장
17 Brownmiller, Susan, 박소영 역, 『우리의 의지에 반하여』, 오월의봄, 2018, 1-694쪽. 미소장
18 Millet, Kate, 김유경 역, 『성 정치학』, 쌤앤파커스, 2020, 1-735쪽. 미소장
19 우에노 치즈코(上野千鶴子), 이선이 역, 『내셔널리즘과 젠더』, 박종철 출판사, 1999, 1-279쪽. , 미소장
20 우에노 치즈코(上野千鶴子), 일등 역, 『여성 혐오를 혐오한다』, 은행나무, 2012, 1-343쪽. 미소장
21 고정희, 「한국여성문학의 흐름」, 『또 하나의 문화』 제2호, 평민사, 1986, 96-126쪽. 미소장
22 김영혜, 「여성문제의 소설적 형상화」, 『창작과비평』 제17호, 창비, 1989, 55-74쪽. 미소장
23 김영혜·이명호·이혜경, 「여성문학론 정립을 위한 試論」, 『여성운동과 문학』 제1호, 민족문학작가회의 여성문학분과위원회 편, 실천문학사, 1988, 270-293쪽. 미소장
24 김양선, 「동일성과 차이의 젠더 정치학—1970·80년대 진보적 민족문학론과 여성해방문학론을 중심으로」, 『한국근대문학연구』 제5호, 한국근대문학학회, 2005, 154-181쪽. 미소장
25 박완서, 「민중과 아픔을 같이 해온 창비」, 『창작과 비평』 제24호, 창비, 1996, 20-63쪽. 미소장
26 박태순, 「문둥이의 삶을 통해 본 일제수난사」, 윤정모, 『님』, 한겨레출판, 1987, 281-282쪽. 미소장
27 백낙청, 「여성운동에 대한 나의 관심」, 『인간해방의 논리를 찾아서』, 시인사, 1979, 100-103쪽. 미소장
28 이선옥, 「민족 문제와 성문제의 불행한 결합—윤정모의 『고삐』」, 『한국학연구』 제5집, 숙명여자대학교, 1995, 185-204쪽. 미소장
29 이지은, 「민족주의적‘위안부’담론의 구성과 작동방식—윤정모, 『에미 이름은조센삐였다』의 최초의 판본과 개작 양상을 중심으로」, 『여성문학연구』 제47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9, 379-409쪽. 미소장
30 A Female Denial and Female Isolation - Reading Jung Mo Yoon`s Short Stories 소장
31 조남현, 「가자, 우리 둥지로」, 윤정모, 『님』, 한겨레출판, 1987, 292-297쪽. 미소장
32 조연정, 「1980년대 문학에서 여성운동과 민중운동의 접점—고정희 시를 읽기 위한 시론」, 『우리말글』 제71호, 우리말글학회, 2016.12, 241-271쪽. 미소장
33 조혜정, 「한국의 페미니즘 문학 어디까지 왔나」, 『또 하나의 문화』 제3호, 평민사, 1987, 32-44쪽. 미소장
34 최정무, 「한국의 민족주의와 성(차)별 구조」, 일레인 김·최정무 편저, 박은미 역, 『위험한 여성』, 삼인, 2001, 23-52쪽. 미소장
35 홍정선, 「떠나서 얻는 고향」, 윤정모, 『님』, 한겨레출판, 1987, 286-287쪽. 미소장
36 김명인, 「새로운 여성문학 향한 디딤돌—김영혜씨 여성문제소설 비평을 보고」, 『한겨레』, 1989.5.30. 미소장
37 최원식, 「역사적 메시지의 부각」, 『동아일보』, 1985.7.29. 미소장
38 「소설가 ‘시나리오 임시 전업’ 바람」, 『한겨레』, 1990.11.8.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