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권미란(2018), 학습자의 자율성을 고려한 협동형 글쓰기 과제 연구, 리터러시연구24, 한국리터러시학회, 107-126. |
미소장 |
2 |
김미정, 김정환(2007), 자기평가 후 피드백 유형이 쓰기 능력과 쓰기 태도에 미치는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7(1), 학습자중심교육학회, 141-163. |
미소장 |
3 |
김성수(2013), 글쓰기는 생각쓰기이자 삶쓰기, 우리말교육현장연구 7(2), 우리말교육현장학회, 7-38. |
미소장 |
4 |
김우창(2007), 자유와 인간적인 삶, 생각의 나무. |
미소장 |
5 |
김종록(2015), 동료첨삭을 통한 과정적 글쓰기 지도 모형 설계, 국어교육연구 59, 국어교육학회, 49-92. |
미소장 |
6 |
김종록(2016), 동료첨삭을 통한 과정적 글쓰기의 효과분석.국어교육연구 62, 국어교육학회, 45-92. |
미소장 |
7 |
박주용, 박정애(2018), 동표평가의 현황과 전망, 인지과학 29(2), 한국인지과학회, 85-104. |
미소장 |
8 |
변지영 외 27(2019), 청춘옴니버스:아직은 떫은, 대자출판사. |
미소장 |
9 |
서수현(2011), 대학생의 보고서에 대한 동료 반응과 그 수용 양상, 국어교육학연구, 41, 447-472, 국어교육학회. |
미소장 |
10 |
서영진(2012), 작문 활동에서 동료 피드백 의견의 유형별 타당도 연구, 국어교육학연구 44, 국어교육학회, 369-395. |
미소장 |
11 |
신소영, 권소영(2018), 상호작용적 학습활동과 교수와의 상호작용 및 수업의 질, 대학생활 만족 간의 관계 구조분석, 평생교육·HRD연구 14, 111-133, 숭실대학교 한국평생교육·HRD연구소. |
미소장 |
12 |
엄성원(2019).플립 러닝을 활용한 대학 국어 글쓰기 교육의 표준화 방안.리터러시연구 10(1), 한국리터러시학회, 61-83. |
미소장 |
13 |
유해준(2015), 동료 평가를 활용한 글쓰기 평가 방안, 인문과학연구 46, 강원대학교인문과학연구소, 127-146. |
미소장 |
14 |
이윤빈, 정희모(2014), 대학생 글쓰기에서 동료 피드백의 양상과 타당도, 작문연구20, 한국작문학회, 299-332 |
미소장 |
15 |
이은화, 김회용(2008), 좋은 대학수업의 특징과 그 의의:한국 대학생의 관점에서, 교육사상연구 22(1), 한국교육사상연구회, 123-146. |
미소장 |
16 |
이지용(2019), 대학 교양 글쓰기 수업 방안 연구-동료 피드백을 중심으로, 어문론집80, 중앙어문학회, 485-504. |
미소장 |
17 |
이지은, 김유정(2020), Google문서를 활용한 대학 논술 수업의 온라인 소집단 동료피드백 양상 및 학습자 인식, 교육문화연구 제26권 제4호,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427-451. |
미소장 |
18 |
임택균(2013), 동료 평가를 활용한 쓰기 태도의 향상 방안 연구, 작문연구 17, 한국작문학회, 385-411. |
미소장 |
19 |
정희모, 이재성, 대학생 글쓰기의 수정 방법에 관한 실험 연구 -자기첨삭, 동료첨삭, 교수첨삭의 효과를 중심으로- , 국어교육학연구 33, 국어교육학회, 657-685, |
미소장 |
20 |
최문기(2016), 학생들이 인식하는 좋은 수업과 교양수업의 비교연구, 교양교육연구10(3), 한국교양교육학회, 325-345. |
미소장 |
21 |
한병철(2010), 피로사회, 김태완 옮김(2012), 문학과 지성사. |
미소장 |
22 |
황지환 외 33(2018), 청춘, 1교시-싹수 있는 이야기, Essay. |
미소장 |
23 |
에른스트 디터 란터만(2016), 불안사회, 이덕임 옮김(2019), 책세상. |
미소장 |
24 |
엘리자베스A.시걸(2018), 사회적 공감, 생각이음. |
미소장 |
25 |
Adler & Proctor(2014), 인간관계와 의사소통의 심리학, 정태연 역(2015), 교육과학사. |
미소장 |
26 |
Jeremy Waldron(2012), 혐오표현, 자유는어떻게해악이되는가?, 홍성수, 이소영(2017), 도서출판 이후. |
미소장 |
27 |
Richard Wilkinson & Kate Pickett 2018, 불평등 트라우마, 이은경 옮김, 이강국 감수(2019), 생각이음. |
미소장 |
28 |
뉴시스(2019.11.11), [안민포럼]한국의 사회갈등과 사회통합. |
미소장 |
29 |
이투데이(2016.11.13.), 사회적 갈등 줄이면 성장률 0.3%p올라 |
미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