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이성복 초기시의 서정과 서사 구조 = A study on the lyricism and narrative structure of Lee Seong-Bok's early poetry 엄성원 p. 597-624
설화와 기록, 공간의 상호 읽기를 통한 서사적 기억의 생성 연구 : A study on the creation of narrative memory based on the integrated reading of tales, records and spaces : focusing on regional folktales in Ganghwa / 강화지역 전설을 중심으로 황인순 p. 567-596
토픽모델링 분석을 활용한 학술지 『리터러시연구』연구 동향 분석 = A topic modeling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the Journal of Literacy 이지영 p. 537-565
중등 국어 수업을 위한 교사 사고구술 지침 개발 = Development of think-aloud method guidelines for secondary Korean language teachers 김진희 p. 515-536
교과 연계 의사소통 교육 프로그램 운영 고찰 : Understanding the operation of a subject-linked communication education program : focusing on the case of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충북대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손대익, 장충덕 p. 487-514
국어 텍스트 난이도 분석 프로그램 (KReaD)의 신뢰도 검증 = The reliability of Korean text difficulty analysis program(KReaD) 조용구, 이창근, 최규홍, 천경록 p. 467-485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평가의 기능과 의미 : A study on the functions and meaning of assessments in college writing education : focusing on their relevance to medical students' class satisfaction / 의학과 학습자 수업만족도와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이은주 p. 435-465
실시간 피드백을 활용한 온라인 한국어 쓰기 수업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online Korean writing class using real-time feedback : focusing on process-based writing / 과정 중심 쓰기를 중심으로 장지영 p. 405-433
동료 피드백을 활용한 소통과 협력을 위한 글쓰기 교육 방안 연구 = A study on writing education plans for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using peer feedback 나은미 p. 373-403
성찰 태도 촉진을 위한 플립러닝 기반의 비대면 수업 설계 및 효과 검증 : Design and verification of untact classes based on flipped learning to promote reflective attitude : focusing on problem-based learning using expressive writing / 표현적 쓰기 과제를 활용한 문제중심학습 상황을 중심으로 장성민 p. 341-372
이공계열 대상 실시간 원격 발표 수업의 운영 = Real-time remote lecture on presentation classes in science and engineering 김남미 p. 311-339
대학생 인성함양과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비교과프로그램 운영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n a university character camp's extracurricular program for character development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of college students / S대학교 인성캠프를 중심으로 성신형, 차봉준 p. 285-309
미국 대학 글쓰기센터 발전과정의 함의 = Implications of the development of college writing centers in the US 김민희 p. 255-283
작문 능력의 국제 비교를 위한 평가 준거 탐색 = Examining writing evaluative criteria for the international comparison of students' writing performances 박소희, 김주환, 천해주, 김영서 p. 223-254
두 인종의 텍스트 대조 분석을 통해 발현한 인종리터러시 = Racial literacy revealed by contrast analysis of texts of two races 이강선 p. 189-218
토의 담화에 나타난 언어 사용의 양상 : Pattern of language use in discussion discourse based on gender and language perspective / 젠더와 언어의 관점을 중심으로 김유정, 권현주, 박준범 p. 135-188
Post-truth 시대의 가짜 뉴스와 리터러시 교육의 중점 = Fake news and foci of literacy education in the post-truth era 이용준, 권이은 p. 101-134
컴퓨터 리터러시가 대학생의 학습행동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computer literacy on the learning behaviors of university students : the mediating effect of ADHD tendencies and depression / ADHD성향과 우울의 매개효과 최진오, 오새내, 조명실 p. 79-100
교양 국어 수업에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필요성 연구 : Study on the needs of media literacy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as a liberal arts course : focusing on engineering and science writing / 이공계 글쓰기를 중심으로 장서란 p. 47-77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광고 리터러시 교육 방안 연구 : A study on advertising literacy 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 focusing on understanding the ways of conveying ad content according to media adaptation / 미디어 변용에 따른 광고 내용의 전달방식 이해를 중심으로 이윤자 p. 13-46
서구인의 기행문에 재현된 '동양적 자연'의 표상 : Representation of the "Oriental nature" in Western travel : focusing on the East Sea travel essay / 동해 기행문을 중심으로 이미정 p. 625-647
여성(들) 뒤에 감춰진 집단의 역학 구조 : Women's hidden group dynamics : focusing on the sex, class, class, and ideology contained in movies / 영화 서사에 담긴 성, 계층, 계급, 이념을 중심으로 허관무 p. 649-671
삭제된 삽화와 원본 : The analysis of censored illustrations in 1930s' newspaper novels / 1930년대 삽화 검열을 중심으로 공성수 p. 673-701
문화 문해력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의 지향점 고찰 : A study on the direction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for cultural literacy : a critical analysis of educational goals of performance art / 연극 분야의 교육목표에 대한 비판적 분석 김기란 p. 703-729

참고문헌 (29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권미란(2018), 학습자의 자율성을 고려한 협동형 글쓰기 과제 연구, 리터러시연구24, 한국리터러시학회, 107-126. 미소장
2 김미정, 김정환(2007), 자기평가 후 피드백 유형이 쓰기 능력과 쓰기 태도에 미치는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7(1), 학습자중심교육학회, 141-163. 미소장
3 김성수(2013), 글쓰기는 생각쓰기이자 삶쓰기, 우리말교육현장연구 7(2), 우리말교육현장학회, 7-38. 미소장
4 김우창(2007), 자유와 인간적인 삶, 생각의 나무. 미소장
5 김종록(2015), 동료첨삭을 통한 과정적 글쓰기 지도 모형 설계, 국어교육연구 59, 국어교육학회, 49-92. 미소장
6 김종록(2016), 동료첨삭을 통한 과정적 글쓰기의 효과분석.국어교육연구 62, 국어교육학회, 45-92. 미소장
7 박주용, 박정애(2018), 동표평가의 현황과 전망, 인지과학 29(2), 한국인지과학회, 85-104. 미소장
8 변지영 외 27(2019), 청춘옴니버스:아직은 떫은, 대자출판사. 미소장
9 서수현(2011), 대학생의 보고서에 대한 동료 반응과 그 수용 양상, 국어교육학연구, 41, 447-472, 국어교육학회. 미소장
10 서영진(2012), 작문 활동에서 동료 피드백 의견의 유형별 타당도 연구, 국어교육학연구 44, 국어교육학회, 369-395. 미소장
11 신소영, 권소영(2018), 상호작용적 학습활동과 교수와의 상호작용 및 수업의 질, 대학생활 만족 간의 관계 구조분석, 평생교육·HRD연구 14, 111-133, 숭실대학교 한국평생교육·HRD연구소. 미소장
12 엄성원(2019).플립 러닝을 활용한 대학 국어 글쓰기 교육의 표준화 방안.리터러시연구 10(1), 한국리터러시학회, 61-83. 미소장
13 유해준(2015), 동료 평가를 활용한 글쓰기 평가 방안, 인문과학연구 46, 강원대학교인문과학연구소, 127-146. 미소장
14 이윤빈, 정희모(2014), 대학생 글쓰기에서 동료 피드백의 양상과 타당도, 작문연구20, 한국작문학회, 299-332 미소장
15 이은화, 김회용(2008), 좋은 대학수업의 특징과 그 의의:한국 대학생의 관점에서, 교육사상연구 22(1), 한국교육사상연구회, 123-146. 미소장
16 이지용(2019), 대학 교양 글쓰기 수업 방안 연구-동료 피드백을 중심으로, 어문론집80, 중앙어문학회, 485-504. 미소장
17 이지은, 김유정(2020), Google문서를 활용한 대학 논술 수업의 온라인 소집단 동료피드백 양상 및 학습자 인식, 교육문화연구 제26권 제4호,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427-451. 미소장
18 임택균(2013), 동료 평가를 활용한 쓰기 태도의 향상 방안 연구, 작문연구 17, 한국작문학회, 385-411. 미소장
19 정희모, 이재성, 대학생 글쓰기의 수정 방법에 관한 실험 연구 -자기첨삭, 동료첨삭, 교수첨삭의 효과를 중심으로- , 국어교육학연구 33, 국어교육학회, 657-685, 미소장
20 최문기(2016), 학생들이 인식하는 좋은 수업과 교양수업의 비교연구, 교양교육연구10(3), 한국교양교육학회, 325-345. 미소장
21 한병철(2010), 피로사회, 김태완 옮김(2012), 문학과 지성사. 미소장
22 황지환 외 33(2018), 청춘, 1교시-싹수 있는 이야기, Essay. 미소장
23 에른스트 디터 란터만(2016), 불안사회, 이덕임 옮김(2019), 책세상. 미소장
24 엘리자베스A.시걸(2018), 사회적 공감, 생각이음. 미소장
25 Adler & Proctor(2014), 인간관계와 의사소통의 심리학, 정태연 역(2015), 교육과학사. 미소장
26 Jeremy Waldron(2012), 혐오표현, 자유는어떻게해악이되는가?, 홍성수, 이소영(2017), 도서출판 이후. 미소장
27 Richard Wilkinson & Kate Pickett 2018, 불평등 트라우마, 이은경 옮김, 이강국 감수(2019), 생각이음. 미소장
28 뉴시스(2019.11.11), [안민포럼]한국의 사회갈등과 사회통합. 미소장
29 이투데이(2016.11.13.), 사회적 갈등 줄이면 성장률 0.3%p올라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