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琉球의 역사가 요동치며 획기적인 변화를 도모한 시기에 중국대륙을 비롯하여 한반도와 일본열도 등의 주변국도 동란의 시대를 맞이한다. 중국에서는 주변 여러 나라에 猛威를 떨친 몽고제국의 권력인 元나라가 1368년에 망하고 明나라가 탄생하였다.
유구가 풍요로운 생활 속에서 안정적이고 평화로운 국가체제를 지속한 시기인 15세기경의 주변국으로 중국은 宋나라 말기에서 元나라 초기였다. 그리고 한반도는 고려에서 조선으로 넘어갔던 때였고, 일본은 무사정권의 연장이었던 무로마치(室町)시대였다. 당시 유구는 삼산의 통일 이전인 1372년부터 중국과의 공식적 외교관계인 明나라의 책봉을 받으면서 비교적 평화로운 왕국 체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그 후 일본의 토요토미 히데요시(豐臣秀吉)의 일본 전국평정과 함께 유구의 안정적인 국가체제는 오랫동안 지속되지 못하였다. 1609년에 일본의 변방 사츠마번(薩摩藩) 시마즈군(島津軍)의 침략을 받으면서 유구의 정치․경제적 상황은 급변하게 된다. 이때부터 실질적으로 사츠마군의 지배하에서 일본 에도막부에 사절단을 파견하는 등 일본과 중국 모두에게 조공을 바치는 兩屬 체제에 접어들게 된다.
이러한 유구와 한반도는 고려 시대는 물론 조선 시대까지도 중요한 관계를 유지하며 주변국의 침략과 복속이라는 同病相憐의 고난을 겪었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유구 역사 속의 한반도 유민들의 유구 정착과 그 흔적 조명에 중점을 두었다. 구체적으로는 유구의 역사와 유구가 한반도를 중요한 교역국의 하나로 여긴 韓琉관계에 중점을 두고 유구국의 역사 변천을 고찰하였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朝鮮王朝実録』 | 미소장 |
2 | 『東國輿地勝覽』 | 미소장 |
3 | 『鬱陵島檢察日記』 | 미소장 |
4 | 『朝鮮日報』 | 미소장 |
5 | 『中山世譜』 | 미소장 |
6 | 『球陽』 | 미소장 |
7 | 『歴代寶案』 | 미소장 |
8 | 『沖縄県史』 | 미소장 |
9 | 『沖縄新報』 | 미소장 |
10 | 2007년 국립제주 박물관 「탐라와 유구」 전시회. | 미소장 |
11 | 「KBS역사추적, 삼별초는 오키나와로 갔는가」 2009년 4월 20일. | 미소장 |
12 | 김병일(2019), 『퇴계의 길을 따라』, 나남. | 미소장 |
13 | 김태준‧김연갑‧김한순(2016), 『한국의 아리랑문화』, 박이정. | 미소장 |
14 | 성해준(2020), 「유구의 전통신앙과 종교」, 『東洋漢文學硏究』57, 동양한문학회. | 미소장 |
15 | 성해준(2020), 「유구불교와 고려불교와의 관계」,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26, 사단법인 한국교수불자연합회. | 미소장 |
16 | 이혜은(2006), 『晩隱 李圭遠의 鬱陵島 檢察日記』, 한국해양수산개발원. | 미소장 |
17 | 설성경‧최영(2019), 『홍길동전 바로알기』, 나녹. | 미소장 |
18 | 이명훈(2017), 「李藝 관련 왕조실록의 誤記」, 『한일관계사연구』57, 한일관계사학회. | 미소장 |
19 | 최규성(1998), 「고려 기와제작기술의 유구 전래」, 『古文化』52, 한국대학박물관협회. | 미소장 |
20 | 한국학중앙연구원(1991),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미소장 |
21 | 『琉球新報』2000年 4月 26日 | 미소장 |
22 | 「日韓友好の懸け橋に洪吉童国際学術シンポ」, 『琉球新報』2001年 5月 8日. | 미소장 |
23 | 『沖縄県史』23 1節 「軍の沖縄人観」 解題. | 미소장 |
24 | 内田晶子, 高瀬恭子(2009), 『アジアの海の古琉球ー東南アジア・朝鮮・中国』, 榕樹書林. | 미소장 |
25 | 外間守善(2013), 『沖繩の歷史と文化』, 中公新書. | 미소장 |
26 | 岡谷公二(2020), 『沖繩の聖地 御嶽』, 平凡社新書. | 미소장 |
27 | 金文吉(2020), 『麒麟よこい』, 展望社.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