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Starting with Focus on Form(FonF)’s theory, we will examine the problems in grammar descriptions of high school Chinese textbook, which is compiled centering on the ability to communicat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pages of various activities and cultural areas that are not directly related to the text in textbooks.
Second, after obtaining additional pages, the amount of input associated with the content of the text should be expanded to provide learners with self-directed learning opportunities.
Third, from a relative perspective, fluency should be set as the goal of advanced-level textbooks and the focus should be on improving accuracy in beginner-level textbooks.
Fourth, these classes should be centered on textbooks, not on the passion and sacrifice of individual teachers. It is necessary to actively use QR codes and PPT methods currently used by various publishers to ensure that all students in the country receive homogeneous classes.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교육부(2015), 제2외국어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별책16]. | 미소장 |
2 | 교육인적자원부(2007), 2007 개정교육과정(외국어과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제2007-79호[별책 14]. | 미소장 |
3 | 교육인적자원부(2007), 2007 개정교육과정(제2외국어과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11-361호[별책 16]. | 미소장 |
4 | 김정은(2017), <형태초점 의사소통 접근법에 관한 연구: 한국과 홍콩의 중학교 1학년영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5 | 김현철⋅박용진(2005), <한어어법 교육현황의 어제와 오늘>, ≪문법교육≫ 2. | 미소장 |
6 | 김현철 외(2018), <2015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중국어Ⅰ 교과서별 어법항목비교분석 연구>, ≪중국어문학논집≫ 114. | 미소장 |
7 | 나고영(2010),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한 중국어 문법지도 방안 연구 - 형태집중 교수법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8 | 라지은(2017), <중학교 2학년 영어교과서에 나타난 문법 제시 및 지도방식 분석-형태초점 접근 기법에 따른 비교>,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9 | 민찬규(2002), <형태 초점 의사소통 접근 방법: 교수법적 특징과 영어교육에의 적용방안>, ≪Foreign Languages Education≫ 9(1): 69-88. | 미소장 |
10 | 박미애(2009), <고등학교 1학년 영어교과서에 나타난 If~, would/could~‘의 문형제시분석: 형태초점 의사소통 접근법에 근거하여>, 창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미소장 |
11 | 박신향⋅조윤경(2013), <형태초점 의사소통 활동 유형과 학습자의 사전지식 수준에 따른 목표문법 주목 연구>, ≪영어교육연구≫ 25(2): 129-146. | 미소장 |
12 | 박신향(2014), <한일 중학교 영어 교과서 형태초점 의사소통 활동 비교 연구>, ≪일본근대학연구≫ 46: 141-168. | 미소장 |
13 | 박용진(2015), <한국인 중국어 학습자를 위한 필수문법항목 설계>, ≪중국언어연구≫57. | 미소장 |
14 | 부지연(2005), <중학교 영어교과서의 형태초점 의사소통 접근법 적용실태 분석>,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5 | 손민정(2012),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국어Ⅰ교과서 문법분석>, ≪중국언어연구≫ 66. | 미소장 |
16 | 서진현⋅박용진(2016), <한국인 학습자를 위한 현대중국어 부사의 등급 설계>, ≪중국어 교육과 연구≫ 24. | 미소장 |
17 | 서진현⋅박용진(2019), <한국인 학습자들을 위한 중국어 전치사의 등급 설계>, ≪중국어 교육과 연구≫ 29. | 미소장 |
18 | 안미애(2009), <형태초점 교수법의 교실적용 방안 연구: 고등학교 1학년 7차 개정 교과서를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9 | 위수광(2010), <한국인 중국어 학습자 교육문법요목 설계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20 | 윤순일⋅정소영(2020), <고등학교 중국어 교과서 문화항목 분석과 제언>, ≪중국어문논총≫ 99. | 미소장 |
21 | 이경희(2003), <고등학교 영어수업에서 형태초점 기법의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 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2 | 이유진⋅표경현(2017), <형태초점 교수법의 교실 적용 연구 — 2009년 개정교육과정고등학교 1학년 영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영어영문학 연구≫ 59(3). | 미소장 |
23 | 이정현⋅이상기(2020), <입력 빈도 분포 유형 및 형태초점접근 교수 기법의 명시성 정도가 제2언어 문법 학습에 미치는 영향>, ≪English Teaching≫ 75(2):111-134. | 미소장 |
24 | 조윤경⋅박신향(2012), <입력과 출력중심 형태초점 의사소통 활동 및 학습자의 사전지식 수준이 목표문법항목에의 주목과 학습에 미치는 영향>, ≪응용 언어학≫, 28(2), 221-257. | 미소장 |
25 | 최지영(2015),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에 반영된 형태초점 접근법 분석: 현재완료를 중심으로>, 경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6 | Brown, H. D. (2001), Teaching by Principles: An Interactive Approach to Language Pedagogy (2nd Ed.), NY: Addison Wesley Longman. | 미소장 |
27 | Doughty, C. & Williams, J. (1998), Focus on Form in Classroom Second Language Acquisition,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28 | Ellis, R. (1999), Input-based approach to teaching grammar: A review of classroom-oriented research, Annual Reviews of Applied Linguistics 19, 64-80. | 미소장 |
29 | Ellis, R. (2001), “Introduction: Investigating Form-Focused Instruction”, Language Learning 51, 1-46. | 미소장 |
30 | Harley, B. (1998), The role of focus-on-form tasks in promoting child L2acquisition, Focus on form in classroom second language acquisition, pp.156-174, Cambridge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31 | Hulstjin, J. (1995), Not all grammar rules are equal: Giving grammar intruction its proper place in foreign language learning, Attention and awareness in foreign language learning, pp. 359-386, Honolulu: University of Hawaii. | 미소장 |
32 | Hwang Jong-Bai. (2001), Focus on form and the L2 learning of English unaccusative verbs, English Teaching 56(3), 111-133. | 미소장 |
33 | Krashen, Stephen D. (1985), The Input Hypothesis: Issues ad Implications, London: Longman. | 미소장 |
34 | Long, M. H. (1991), Focus on form: A design feature in language teaching methodology, K. de Bot, R. G. Ginsberg, & C. Kramsch (Eds.), Foreign language research in cross-cultural perspective (pp.39-52), Philadelphia:Benjamins. | 미소장 |
35 | Long, M. H. (1998), Task-based language teaching, Oxford: Blackwell. | 미소장 |
36 | Long, M., & Robinson, P. (1998), Focus on form: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C. Doughty & J. Williams (Eds.), Focus on form in classroom second language acquisition(pp.15-41).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37 | McDonough & Trofimovich, P. (2013), Learning a novel pattern through balanced and skewed input, Bilingualism 16(3), 654-662. | 미소장 |
38 | Norris, J., M. & Ortega, L. (2000), Effectiveness of L2 instruction: A research synthesis and quantitative meta-analysis, Language Learning 50(3). | 미소장 |
39 | Spada, N. (1987), Relationship between instructional differences and learning out-comes: A process-product study of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Applied Linguistics 8. | 미소장 |
40 | Spada, N. (2011), Beyond form-focused instruction: Reflecions on past, present, and future, Language Teaching 44(2). | 미소장 |
41 | Spada, N. & Lightbown, P., M. (1999), Instruction, first language influence, and developmental readiness in SLA, The modern Language Journal 83. | 미소장 |
42 | Spada, N & Lightbown, P, M. (2008), Form-focused instuction: Isolated or integrated?, TESL Quarterly 42(2), 181-207. | 미소장 |
43 | Wajnryb, R. (1989), Dicto-gloss: A text-based communicative approach to teaching and learning grammar, English Teaching Forum 27(4), 16-19. | 미소장 |
44 | White, L. (1991), Adverb placement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Some effects of positive and negative evidence in the classroom, Second Language Research 7. | 미소장 |
45 | VanPatten, B. (1990), Attending to form and content in the input, Studies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12(3), 287-301. | 미소장 |
46 | VanPatten, B. (1996), Input processing and grammar instruction insecond language acquisition, Norwood, NJ: Ablex.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0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