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장기간의 목표에 대한 관심과 노력을 나타내는 그릿은 연령변화 등 시간 경과에 따라 향상되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나 국내에서 구명된 사례는 없다. 이에 본 연구는 생도들의 삶의 목표인 첨단 전투기 조종사에게 요구되는 9Gz+ 검사 시점에서 통과 여부에 따른 그릿을 비교하고, 생도 시절의 그릿을 추적하여 검사 시점까지의 변화 여부와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9Gz+ 검사 진입과 통과 여부에 따라 생도 시절의 그릿을 동기생들과 비교하고, 검사 진입자들의 생도 시절 대비 9Gz+ 검사 시점까지의 그릿 변화와 그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9Gz+ 내성 검사까지 진입한 자원은 참여자 총 110명중 17명이었으며, 생도 시절 동기생 대비 노력 수준에서 약 4% 높은 경향을 보였고, 검사시점에서는 통과자 8명의 그릿과 관심이 미통과자들에 비해 2∼3%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둘째, 9Gz+ 검사 진입자들은 생도 시절 대비 그릿, 관심, 노력 수준이 공통적으로 향상되었으며, 특히, 통과자들은 그릿 8%, 관심 13% 이상 향상되어 미통과자들에 비해 높은 향상도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생도시절 노력 수준이 높은 경향을 보일 때 임관 후 9Gz+ 검사에 진입하고, 통과에는 그릿과 관심 수준이 생도 시절 대비 크게 향상될수록 가능성이 높아지는 경향을 관찰할 수 있었다. 향후, 모집단을 확대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할 필요가 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공군사관학교 (2017). 공군사관생도의 Grit과 성취도, G-test 결과 간 관계 연구(연구보고 KAFA 국고-17-A-3). 충북: 공군사관학교. | 미소장 |
2 | 공군사관학교 (2020). 교육계획서. 충북: 공군사관학교. | 미소장 |
3 | 구명수 (2002). 공중근무자의 G내성 강화를 위한 체력단련 프로그램. 운동과학, 11(1), 211-220. | 미소장 |
4 | 권정희, 정미예 (2019). 대학생의 행복추구경향과 학업지속의향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6(9), 345-369. | 미소장 |
5 | 김동원, 이소의, 이상, 안해철, 구승룡, 김찬 (2004). 일부 대한민국 공군 조종사의 항공생리 신체검사 및 가속도 내성훈련에 대한 보고. 항공우주의학회지, 14(1), 1-11. | 미소장 |
6 | 김윤섭, 허찬영 (2018). 비인지적 특질이 공군 비행훈련성과에 미치는 영향: 신중한 연습의 조절효과. 기업경영리뷰, 9(3), 43-59. | 미소장 |
7 | 박승언, 한승용 (2019). 태권도선수들의 자율성이 그릿 및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8(4), 441-449. | 미소장 |
8 | 서미옥 (2019). 그릿과 관련 변인들의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교육학연구, 57(1), 105-130. | 미소장 |
9 | 소연희 (2019). 중등교사의 그릿이 창의적 교수행동에 영향을 미치는가? 회복탄력성과 지각된 학교조직문화의 매개효과. 교원교육, 35(3), 183-201. | 미소장 |
10 | 신승환 (2017a). 예비조종사의 G-test 결과에 따른 신체조성, 체력, Grit 연구. 한국웰니스학회지, 12(2), 329-338. | 미소장 |
11 | 신승환 (2017b). 공사 신입생도의 연간 체력향상도와 투지(Grit) 간 상관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26(3), 1237-1248. | 미소장 |
12 | 신승환 (2018a). F-15/16 조종사의 ACTN-3, G-내성, 신체조성 간 관계 예비조사. 운동과학, 27(1), 80-88. | 미소장 |
13 | 신승환 (2018b). 국내 최초 자체 우주인 양성 기반구축을 위한 조종사의 ACTN-3 유전자 표현형 별 G-내성과 신체조성 특성 한국연구재단 중견연구 결과보고서. 충북: 공군사관학교 항공우주연구소. | 미소장 |
14 | 신승환, 박미혜, 이동호 (2019). G 내성 함양을 위한 공군사관학교 항공체력육성 관련 교과 개선방향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8), 593-612. | 미소장 |
15 | 신승환, 안효연 (2018). 여생도의 체력, 종합성적과 그릿 간 관계 연구. 한국여성체육학회지, 32(1), 53-67. | 미소장 |
16 | 신승환, 윤찬수 (2019). 신입 공군사관생도의 체력, 성적, 투지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과학회지, 28(1), 873-888. | 미소장 |
17 | 신승환, 이온 (2017). 15주간의 운동 프로그램으로 인한 사관생도의 체력 향상도와 투지(Grit) 수준 간 상관관계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56(2), 591-603. | 미소장 |
18 | 오아량, 손영우, 이수란 (2019). 장기목표를 달성하는 힘: 그릿이 높은 사람들이 보이는 미래시간조망에서의 특성.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33(3), 43-63. | 미소장 |
19 | 이수란, 손영우 (2013). 무엇이 뛰어난 학업성취를 예측하는가?.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10(3), 349-366. | 미소장 |
20 | 이지현, 김윤진, 임규연 (2019). 대학 플립러닝 환경에서 그릿, 협력지향성, 참여도, 문제해결력 간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7), 1047-1071. | 미소장 |
21 | 임효진 (2017). 그릿의 요인구조와 타당도에 관한 탐색적 연구. 아시아교육연구, 18(2), 169-192. | 미소장 |
22 | 임효진 (2019). 그릿 개념의 재정립: 목적, 열정, 인내의 재검토. 교육심리연구, 33(3), 317-339. | 미소장 |
23 | 장유리, 허진영 (2019). 체육계열 대학생의 그릿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8(4), 819-834. | 미소장 |
24 | 정은이 (2019). 그릿과 일상적 창의성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대학생과 성인학습자의 비교.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6), 163-192. | 미소장 |
25 | 최진, 전상윤, 김근수, 이동호, 신승환 (2017). 공군사관학교 체육교과과정 분석을 통한 개선방안 탐색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4), 75-94. | 미소장 |
26 | 하혜숙, 임효진, 황매향 (2015). 끈기와 자기통제 집단수준에 따른 성격요인의 예측력 및 학교 부적응과 학업성취의 관계. 평생학습사회, 11(3), 145-166. | 미소장 |
27 | 홍민성, 이수란 (2019). 그릿과 성실성이 학업 수행에 미치는 영향: 자기결정성의 매개효과. 한국융합학회논문지, 10(10), 143-151. | 미소장 |
28 | Buller, E. F. (2012).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academic, military and physical performance at the United States Military Academy. Doctoral dissertation, Education leadership and policy studies and the graduate faculty of the Univ. of Kansas. | 미소장 |
29 | Culin, V. K. R., Tsukayama, E., & Duckworth, A. L. (2014). Unpacking grit: Motivational correlates of perseverance and passion for long-term goals. The Journal of Positive Psychology, 9(4), 306-312. | 미소장 |
30 | Duckworth, A. L. (2016) Grit. New York: SCRIBNER INTERNATIONAL. | 미소장 |
31 | Duckworth, A. L., & Eskreis-Winkler. (2013). True Grit. The Observer, 26, 1-3. | 미소장 |
32 | Duckworth, A. L., & Quinn, P. D. (2009).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hort Grit Scale (GRIT-S).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91(2), 166-174. | 미소장 |
33 | Duckworth, A. L., Kirby, T. A., Tsukayama, E., Berstein, H., & Ericsson, K. A. (2011). Deliberate practice spells succcess: Why grittier competitors triumph at the National Spelling Bee?. Social Psychological and Personality Science, 2(2), 174-181. | 미소장 |
34 | Duckworth, A. L., Peterson, C., Matthews, M. D., & Kelly, D. R. (2007). Grit: Perseverance and passion for long-term goal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 1087-1101. | 미소장 |
35 | Epperson, W. I., Burton, R. R., & Bernauer, E. M. (1985). The effectiveness of specific weight training required on stimulated aerial combat maneuvering G-tolerance. Aviation Space Environmental Medicine, 56, 534-539. | 미소장 |
36 | Eskreis-Winkler, L., Duckworth, A. L., Shulman, E. P., & Beal, S. (2014). The grit effect: Predicting retention in the military, the workplace, school and marriage. Frontiers in Psychology, 5(36), 1-12. | 미소장 |
37 | Lucas, B., Claxton, G., & Spencer, E. (2013). Progression in student creativity in school: First steps towards new forms of formative assessment. OECD Education Working Paper No. 86. Paris: OECD. | 미소장 |
38 | Park, M., Yoo, S., Seol, H., Kim, C., & Hong, Y. (2015). Unpredictability of fighter pilots’ g duration tolerance by anthropometric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erospace Medcine & Human Performance, 86(4), 397-401. | 미소장 |
39 | Rimfeld, K., Kovas, Y., Dale, P. S., & Plomin, R. (2016). True grit and genetics: predicting academic achievement from personalit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11(5), 780-789. | 미소장 |
40 | Tesch, P. A., Hjort, H., & Balldin, U. I. (1983). Effects of strength training on G-tolerance. Aviation Space and Environmental Medicine, 54, 691-695.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