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불안과 상실의 시대 속 '주변인'의 삶 : 영화 〈파이란〉을 중심으로 = The life of the 'expelled person' in the age of insecurity and loss : focusing on the movie "Failan" / 김중철 1

국문초록 1

1. 들어가는 말 2

2. '밀려나는' 자들의 불안 4

3. 친절하지 않은 사회 9

4. 나오는 말 14

참고문헌 16

Abstract 17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게임적 리얼리즘'으로 본 미래의 읽고 쓰기 감각 = The sense of future reading and writing from perspective of 'game-oriented realism' : 사쿠라자카 히로시, 『All You Need Is Kill』에 대한 재해석을 중심으로 오영진 p. 7-25

보기
간헐적 팬데믹 시대에서 좋은 말하기와 글쓰기 = Good speaking and writing in the age of intermittent pandemics 이도흠 p. 27-56

보기
코로나19와 생태 지혜로의 전환 = COVID19 and transition toward ecosophy 홍성민 p. 57-91

보기
교양 한국어 교재 개발에 대한 교수자 인식 연구 = A study on instructor’s perception on the development of liberal Korean textbook 김순녀, 맹강 p. 95-112

보기
을 중심으로"> 불안과 상실의 시대 속 '주변인'의 삶 : The life of the 'expelled person' in the age of insecurity and loss : focusing on the movie "Failan" / 영화 <파이란>을 중심으로 김중철 p. 113-130

보기
일본 내 대학 교양교육의 글쓰기 교과목에 대한 고찰 : Academic writing as a liberal arts subject in Japanese universities : the current state and issues of the basic academic writing seminar at Tokyo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 도쿄외국어대학 글쓰기 교과목(기초 연습)의 현황과 과제 다카하시 아즈사 p. 131-173

보기
한성대 글쓰기센터의 <사고와 표현> 교과 연계형 첨삭의 현황과 내실화 방안 = Current state of operation and improvement plan for corrections linked to the <thinking and expression> curriculum of Hansung University writing center 박선옥 p. 175-203

보기
중국 대학 교양 교육에서의 한국어 교육 =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general education in universities in China 정혜, 교우박 p. 205-223

보기

참고문헌 (1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고부응, 「영화 <파이란>의 민족성과 초민족성」, 『비교문학』 48, 2009, 183-205. 미소장
2 구수경, 「‘편지’ 모티프와 영상화 전략 비교 연구: 영화 <러브레터>와 <파이란>을중심으로」, 『동북아문화연구』 40, 2014, 107-123. 미소장
3 김윤아, 「소설과 영화 사이: 영화 <파이란>과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을 중심으로」, 『현대비평과 이론』 26, 2007, 95-109. 미소장
4 문소영, 「한국영화에 나타난 오리엔탈리즘 연구」,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미소장
5 서길완, 「호모 사케르와 그것의 변형: 아감벤의 호모 사케르, 헐벗은 삶 그리고 캠프의 개념을 중심으로」, 『비평과 이론』 13(2), 2008, 185-206. 미소장
6 윤상현, 「한국영화 속 이주민의 재현에 대한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미소장
7 정수복, 「프랑스 사람들이 지키는 일상의 기본예절」, 『교육과 사색』 37, 2015, 42-46. 미소장
8 최용성, 「한국영화에 나타난 경계와 이주자 로컬 문화윤리」, 『윤리연구』 100, 2015, 333-380. 미소장
9 황영미, 「한국 속 이방인 순례기: 영화 <파이란>, <여섯 개의 시선> 중 <믿거나 말거나, 찬드라의 경우>, <처음 만난 사람들>」, 『너머』 3, 2007, 30-41. 미소장
10 浅田次郎, 「러브레터」, 『철도원』, 양윤옥 옮김, 문학동네, 2003. 미소장
11 Agamben, G., 『호모 사케르: 주권 권력과 벌거벗은 생명』, 박진우 옮김, 새물결, 2008. 미소장
12 Bauman, Z., 『쓰레기가 되는 삶들』, 정일준 옮김, 새물결, 2008. 미소장
13 송해성 감독, <파이란>, 튜브픽쳐스 제작, 2001.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