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은혜, 「바리데기 형성의 신화․심리학적 두 원리」, 『한국어문연구』1, 한국어문연구학회, 1984, 53-73면. | 미소장 |
2 | 김병욱, 「한국 신화의 시간과 공간-팽창과 수축의 등가성」, 『어문연구』13, 어문연구학회, 1984, 65-77면. | 미소장 |
3 | 김열규, 『한국신화와 무속연구』, 일조각, 1982. | 미소장 |
4 | 김열규, 『한국인의 신화, 저 너머, 저 속, 저 심연으로』, 일조각, 2005. | 미소장 |
5 | 김영민, 「바리공주 무가에 나타난 영육관과 저승관」, 『문화연구』7, 한국문화학회, 2002, 15-33면. | 미소장 |
6 | 김영숙, 「여성중심 시각에서 본 바리공주」, 『국어문학』31, 국어문학회, 1996, 73-91면. | 미소장 |
7 | 김천혜, 『소설 구조의 이론』, 문학과지성사, 1990. | 미소장 |
8 | 김태영, 「서사무가에 수용된 고전소설의 적강화소 양상과 성격 고찰-동해안, 함경도 지역 서사무가를 중심으로」, 『한국무속학』36, 한국무속학회, 2018, 195-222면. | 미소장 |
9 | 김현화, 「홍계월전의 여성영웅 공간 양상과 문학적 의미」, 『한민족어문학』70, 한민족어문학회, 2015, 235-266면. | 미소장 |
10 | 노성숙, 「신화를 통해서 본 여성 주체 형상: 바리공주 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여성학』21권2호, 한국여성학회, 2005, 5-37면. | 미소장 |
11 | 류준경, 「영웅소설의 장르관습과 여성영웅소설」, 『고소설연구』12, 한국고소설학회, 2001, 5-36면. | 미소장 |
12 | 박상란, 「여성영웅의 일대기, 그 두 가지 양상-바리공주와 정수정전을 중심으로」, 『동국논집』, 동국대학교, 1994, 75-91면. | 미소장 |
13 | 서대석, 『한국무가의 연구』, 문학사상사, 1981. | 미소장 |
14 | 신동흔, 「바리공주 신화에서 ‘낙화’의 상징성과 주제적 의미」, 『구비문학연구』49, 한국구비문학회, 2018, 273-309면. | 미소장 |
15 | 심우장, 「바리공주에 나타난 숭고의 미학」, 『인문논총』67,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2, 149-186면. | 미소장 |
16 | 유선영, 「바리공주를 통해 본 한국인의 죽음관」, 『한국의 민속과 문화』13, 경희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08, 141-169면. | 미소장 |
17 | 윤분희, 「여성 영웅소설 연구」, 『한국문학논총』32, 한국문학회, 2002, 171-217면. | 미소장 |
18 | 윤준섭, 「함흥본 바리데기의 서사문학적 특징」, 서울대학교 석사논문, 2012. | 미소장 |
19 | 이경하, 「바리공주에 나타난 여성의식의 특징에 관한 비교 고찰」, 서울대학교 석사논문, 1997. | 미소장 |
20 | 이경하, 「바리신화 ‘고전화’ 고정의 사회적 맥락」, 『국어국문학』26, 국문학회, 2012, 7-31면. | 미소장 |
21 | 이미림, 「한국 여성신화에서의 유교적 의미와 해석: 바리데기, 제주 본풀이 신화를 중심으로」, 『사회사상과 문화』22권2호, 동양사회사상학회, 2019, 173-199면. | 미소장 |
22 | 이수자, 「무속의례의 꽃장식, 그 기원적 성격과 의미」, 『한국무속학』14, 한국무속학회, 2007, 407-442면. | 미소장 |
23 | 이유경, 「고소설의 전쟁 소재와 여성영웅 형상-여성영웅소설을 중심으로」, 『여성문학연구』10, 한국여성문학학회, 2003, 138-157면. | 미소장 |
24 | 정운채, 「바리공주의 구조적 특성과 문학치료학적 독해」, 『겨레어문학』33, 겨레어문학회, 2004, 173-203면. | 미소장 |
25 | 조동일, 『한국문학통사』3, 지식산업사, 1994. | 미소장 |
26 | 조동일, 『문학 연구의 방법』, 탐구당, 2011. | 미소장 |
27 | 최성실, 「동아시아 바리데기 이야기 구조와 공간적 의미에 관한 연구」, 『비교문학』67, 한국비교문학회, 2015, 359-386면. | 미소장 |
28 | 최유권, 「서사무가 바리공주 연구: 교육적 의미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02. | 미소장 |
29 | 최윤정, 「우리 신화, 그 탈주-담론의 심층사회학-바리데기 신화 다시 쓰기」, 『비교한국학』20권2호, 국제비교한국학회, 2012, 501-531면. | 미소장 |
30 | 홍태한, 『서사무가 바리공주 전집』(제4집), 민속원, 2004. | 미소장 |
31 | 홍태한, 「서사무가 바리공주의 변이 양상 고찰」, 『한국민속학보』7, 한국민속학회, 1996, 361-385면. | 미소장 |
32 | 홍태한, 「서사무가 바리공주의 형성과 전개」, 『구비문학연구』4, 한국구비문학회, 1997, 393-429면. | 미소장 |
33 | 홍태한, 「서울 진오귀굿 바리공주의 저승관과 그 의미」, 『한국학연구』27,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7, 105-133면. | 미소장 |
34 | 황윤정, 「상상적 이해의 문학교육 방법 연구: 서사무가 바리데기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논문, 2010. | 미소장 |
35 | 월터 J. 옹, 『구술문화와 문자문화』, 이기우․임명진 옮김, 문예출판사, 1995. | 미소장 |
36 | 쟈크 데리다, 『문학의 행위』, 정승훈․진주영 옮김, 문학과지성사, 2013.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3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