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한국어 교육을 위한 문학 작품 선정 기준 연구 : A study on the selection standards for literary work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 with a focus on the difficulty level of vocabulary based on corpus analysis / 코퍼스 분석에 기반한 명사의 어휘 난이도를 중심으로 장연분홍 p. 107-131
소설 텍스트의 문화 항목 분류 체계 연구 :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cultural items in novel text : focused on the application of HRAF classification code / HRAF 분류 코드 적용을 중심으로 황혜란 p. 261-291

구어에서 '이러한, 그러한'의 용법과 특성 = Usages and characteristics of 'ireohan' and 'geureohan' in spoken Korean 채숙희 p. 133-165
전남 신안군 해녀의 언어 연구 = A study on language of 'Haenyeo' in Jeollanam-do Shinan-gun 김경표 p. 5-31

서사무가 <바리공주>의 이야기 주조방식과 문학적 성취 = The story structure and literary achievement of Princess Bari by shamanic epics 김현화 p. 167-194
초기 한국어 성경의 저본 판정을 위한 성경 서명의 음역어 대비 연구 = A contrast study of transliteration of a book's name for the judgment of source text used in early Korean Bible translation 유경민 p. 33-67

접동새설화를 활용한 한국문화교육 : Korean cultural education using Jeopdong bird tale : focused on teaching-learning of Korean value oriented culture for intercultural competencies / 상호문화능력 향상을 위한 가치문화의 교수-학습 방안 유진아 p. 293-324
기술편집시대 매체미학의 제문제. The problems of media aesthetics in the age of technology editing. 1, focusing on transparency, trust, and remediation / 1, 투명화, 신뢰화, 재매개를 중심으로 이용욱 p. 195-226

이육사 수필의 자기의식 연구 : A study on the self-awareness of the essay by Yi Yuk-sa : focusing on Paul Ricoeur's narrative identity / 리쾨르의 이야기정체성을 중심으로 이정인 p. 227-259

전북 방언 구술 자료의 현황과 통합 방안 = Current status and integration of oral data in Jeonbuk dialect 이진병 p. 69-106

참고문헌 (3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은혜, 「바리데기 형성의 신화․심리학적 두 원리」, 『한국어문연구』1, 한국어문연구학회, 1984, 53-73면. 미소장
2 김병욱, 「한국 신화의 시간과 공간-팽창과 수축의 등가성」, 『어문연구』13, 어문연구학회, 1984, 65-77면. 미소장
3 김열규, 『한국신화와 무속연구』, 일조각, 1982. 미소장
4 김열규, 『한국인의 신화, 저 너머, 저 속, 저 심연으로』, 일조각, 2005. 미소장
5 김영민, 「바리공주 무가에 나타난 영육관과 저승관」, 『문화연구』7, 한국문화학회, 2002, 15-33면. 미소장
6 김영숙, 「여성중심 시각에서 본 바리공주」, 『국어문학』31, 국어문학회, 1996, 73-91면. 미소장
7 김천혜, 『소설 구조의 이론』, 문학과지성사, 1990. 미소장
8 김태영, 「서사무가에 수용된 고전소설의 적강화소 양상과 성격 고찰-동해안, 함경도 지역 서사무가를 중심으로」, 『한국무속학』36, 한국무속학회, 2018, 195-222면. 미소장
9 김현화, 「홍계월전의 여성영웅 공간 양상과 문학적 의미」, 『한민족어문학』70, 한민족어문학회, 2015, 235-266면. 미소장
10 노성숙, 「신화를 통해서 본 여성 주체 형상: 바리공주 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여성학』21권2호, 한국여성학회, 2005, 5-37면. 미소장
11 류준경, 「영웅소설의 장르관습과 여성영웅소설」, 『고소설연구』12, 한국고소설학회, 2001, 5-36면. 미소장
12 박상란, 「여성영웅의 일대기, 그 두 가지 양상-바리공주와 정수정전을 중심으로」, 『동국논집』, 동국대학교, 1994, 75-91면. 미소장
13 서대석, 『한국무가의 연구』, 문학사상사, 1981. 미소장
14 신동흔, 「바리공주 신화에서 ‘낙화’의 상징성과 주제적 의미」, 『구비문학연구』49, 한국구비문학회, 2018, 273-309면. 미소장
15 심우장, 「바리공주에 나타난 숭고의 미학」, 『인문논총』67,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2, 149-186면. 미소장
16 유선영, 「바리공주를 통해 본 한국인의 죽음관」, 『한국의 민속과 문화』13, 경희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08, 141-169면. 미소장
17 윤분희, 「여성 영웅소설 연구」, 『한국문학논총』32, 한국문학회, 2002, 171-217면. 미소장
18 윤준섭, 「함흥본 바리데기의 서사문학적 특징」, 서울대학교 석사논문, 2012. 미소장
19 이경하, 「바리공주에 나타난 여성의식의 특징에 관한 비교 고찰」, 서울대학교 석사논문, 1997. 미소장
20 이경하, 「바리신화 ‘고전화’ 고정의 사회적 맥락」, 『국어국문학』26, 국문학회, 2012, 7-31면. 미소장
21 이미림, 「한국 여성신화에서의 유교적 의미와 해석: 바리데기, 제주 본풀이 신화를 중심으로」, 『사회사상과 문화』22권2호, 동양사회사상학회, 2019, 173-199면. 미소장
22 이수자, 「무속의례의 꽃장식, 그 기원적 성격과 의미」, 『한국무속학』14, 한국무속학회, 2007, 407-442면. 미소장
23 이유경, 「고소설의 전쟁 소재와 여성영웅 형상-여성영웅소설을 중심으로」, 『여성문학연구』10, 한국여성문학학회, 2003, 138-157면. 미소장
24 정운채, 「바리공주의 구조적 특성과 문학치료학적 독해」, 『겨레어문학』33, 겨레어문학회, 2004, 173-203면. 미소장
25 조동일, 『한국문학통사』3, 지식산업사, 1994. 미소장
26 조동일, 『문학 연구의 방법』, 탐구당, 2011. 미소장
27 최성실, 「동아시아 바리데기 이야기 구조와 공간적 의미에 관한 연구」, 『비교문학』67, 한국비교문학회, 2015, 359-386면. 미소장
28 최유권, 「서사무가 바리공주 연구: 교육적 의미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02. 미소장
29 최윤정, 「우리 신화, 그 탈주-담론의 심층사회학-바리데기 신화 다시 쓰기」, 『비교한국학』20권2호, 국제비교한국학회, 2012, 501-531면. 미소장
30 홍태한, 『서사무가 바리공주 전집』(제4집), 민속원, 2004. 미소장
31 홍태한, 「서사무가 바리공주의 변이 양상 고찰」, 『한국민속학보』7, 한국민속학회, 1996, 361-385면. 미소장
32 홍태한, 「서사무가 바리공주의 형성과 전개」, 『구비문학연구』4, 한국구비문학회, 1997, 393-429면. 미소장
33 홍태한, 「서울 진오귀굿 바리공주의 저승관과 그 의미」, 『한국학연구』27,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7, 105-133면. 미소장
34 황윤정, 「상상적 이해의 문학교육 방법 연구: 서사무가 바리데기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논문, 2010. 미소장
35 월터 J. 옹, 『구술문화와 문자문화』, 이기우․임명진 옮김, 문예출판사, 1995. 미소장
36 쟈크 데리다, 『문학의 행위』, 정승훈․진주영 옮김, 문학과지성사, 2013.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