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미래 무용교육의 대안 : An alternative to future dance education : metapraxis / 메타 프락시스 문영 p. 1-14

(A) study on the relevance of nuo culture in Hunan flower drum opera Zheng Yujie, Wu Meng p. 285-306

한·중 대학 무용학과 교과과정으로 본 민족무용 교육 비교 연구 =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ethnic dance education in the Korean-Chinese university dance department curriculum Yao Jiang, Pei Daming p. 267-283

니체 사상에서 본 승무의 철학적 고찰 = A philosophical review of <Seungmu> from Nietzsche's thought 최경란, 박미영 p. 249-266

그로스만 기법을 통한 발레 동작의 신체건강요인 및 퍼포먼스 참여 결정요인 분석 = Analysis of physical health factors and determinants of performance participation in ballet movements through the Grossman technique 조원석 p. 229-248

영화 <블랙 스완>에 나타난 언캐니(uncanny) 미학 = The aesthetics of uncanny in the dance film Black Swan 조가영 p. 215-228

안무가의 창작활동에 관한 구조적 탐색 : A structural exploration on choreographer's creative activities : from the perspective of Giddens' structuration theory / Giddens의 구조화 이론을 적용하여 정한결 p. 195-214

<잠자는 숲속의 미녀> 재안무 사례연구 : A case study on the re-dance of Sleeping Beauty : focusing on the Gwangju City Ballet / 광주시립발레단 중심으로 전효정, 차수정 p. 173-194

댄스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dance literacy program : exploring the effects of culture class in university / 대학 교양강좌에의 적용 및 효과 탐색 임수진, 문영 p. 157-172

언택트 수업환경의 초등교사가 경험한 교육대학원 온라인 무용강좌 : Online dance class at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experienced by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in an untact class environment - implications from cultural capital theory / 문화자본론적 함의 이정연 p. 141-155

체험경제이론(4E's)에 따른 라인댄스 참여자의 만족과 지속적 참여의도의 구조적 관계 규명 =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n satisfaction and continuous participation intention of line dance participants according to the 4E's 이명심, 민현주 p. 121-140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무용 활동 공간, 인터랙티브 댄스 플랫폼 = A suggestion of an online dance performance space in the post-Corona era, 'interactive dance platform' 유화정 p. 109-120

각 국의 민족 춤 온라인 콘텐츠 구축 설계 및 활성화 방안 = Design and revitalization plan for building ethnic dance online content in each country 송혜순 p. 91-108

호흡에 의한 치료적 한국무용 움직임(기무) 개발 연구 = Breathing treatment Korean dance movement development research development of therapeutic Korean dance movement by breathing 봉정민, 윤미라 p. 73-89

메타분석을 통한 4차 산업혁명 시대 대학무용교육의 방향 = A meta-analysis of direction of college dance education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박영하 p. 57-71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무용 공연 : Dance performance in the Post-COVID-19 era : focused on the expansion of liveness / 라이브니스(Liveness)의 확장을 중심으로 박수영 p. 41-55

춤에서 그로테스크한 신체 표현의 미학적 의미 탐색 : A study on the aesthetic meaning of grotesque body expressions in dance : focusing on the image of death and ultrahuman expressions of body / 죽음의 이미지와 초-인간적 신체 표현을 중심으로 박서영 p. 15-40

참고문헌 (1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권오상(2019). 신디 셔먼 작품에 나타난 응시와 주체에 관한 연구: 자크 라캉의 정신분석을 중심으로. 조형미디어학, 22권 4호. 미소장
2 김동훈(2020). 존재, 무의식 그리고 섬뜩함: 섬뜩함에 관한 하이데거와 프로이드 이론의 미학적 의의. 미학, 제86권, 2호. 미소장
3 김석원(2010). 언캐니 이론으로 바라본 라제떼의 정신분석학적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숭실대학교, 서울. 미소장
4 유경희(2007). 언캐니 개념으로 본 정신분석학적 시각예술론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연세대학교, 서울. 미소장
5 유현주(2010). 두려운 낯설음-프로이트, 호프만, 키틀러 그리고 언캐니 밸리.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제23집. 미소장
6 이문정(2012). 여성 미술에 나타난 애브젝트의 '육체적 징후'와 예술적 승화,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서울. 미소장
7 임용덕(2012). 현대미술에 표현된 복식의 언캐니,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서울대학교, 서울. 미소장
8 조가영(2013). 에떼아 호프만 문학의 발레화 과정에서 나타난 자동인형 모티브 연구. 대한무용학회, 제71권, 2호. 미소장
9 프로이트, 지그문트(2004). 예술, 문학, 정신분석 (정장진, 역). 서울: 열린책들. 미소장
10 한지영(2010). 무용 영화 「블랙 스완 Black Swan」(2010)을 통해 본 무용예술과 영화의 매체교체성 연구 - 그레마스 기호학을 중심으로. 대한무용학회, 제77권, 1호.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