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기술 문명이 가져올 미래에 대한 대응의 방책으로서 문학이 어떻게 응전해 왔으며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지를 2000년대 이후 한국 SF 소설을 중심으로 논의해 보고자 하였다.

한국 사회가 기술문명 시대의 한복판에 본격적으로 진입함에 따라 기술발달의 속도와 변화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하는 문제가 주요한 의제로 대두되었다. 과학기술이 가져올 미래를 예언적으로 형상화하는 SF 소설들은 기술 문명 시대에 어떻게 인간적 삶을 만들어갈 것인가 하는 문제의식을 담아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SF에서 기술 문명에 대한 문학적 응전의 양상을 크게 ‘기술 문명이 야기할 미래의 문제에 대한 사고 실험’, ‘새로운 배경의 차용을 통한 현재적 문제와의 대결’, ‘새로운 타자들과의 공생을 향한 모색’으로 파악하였다. 기술 문명 시대의 문학으로서 한국 SF 소설은 기술에 대한 낙관적 긍정이나 무조건적 부정을 넘어 새로운 사회의 창조와 기획을 위한 역할을 감당하고자 하고 있다.

This study focused on Korean science fiction from the 2000s in an attempt to discuss how literature has responded to the era of technological civilization and what role it can play.

As Korean society fully enters the midst of the era of technological civilization, the issue of how to respond to changes in the times has emerged as a major agenda. SF novels that prophetically shape the future that science and technology will bring contain a sense of the problem of how to make human life in the era of technological civilization. In this study, the aspects of literary response to technological civilization in Korean science fiction were explored as 'experiment of thinking about future problems', 'confrontation with current problems through the borrowing of new backgrounds', 'seeking for symbiosis with new others.' As literature in the era of technological civilization, Korean science fiction novels try to play a role in creating and planning a new society beyond optimistic affirmation or unconditional denial of technology.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한국어 복합명사의 의미 확대 = Semantic expansion in Korean complex nouns 오민석 p. 1-29
개체명으로서의 인명의 특성과 분류 체계에 대하여 = On the characteristics of personal name as named-entity and on classification of meanings of personal name 전상호 p. 31-59
'-기보다' 구문과 '-다/라기보다' 구문의 특성 = Characteristics of '-giboda' construction and '-da/ragiboda' construction 정연주 p. 61-91

대학수학능력시험 국어 영역 <언어와 매체> 과목의 평가 방향 고찰 : The consideration of assessment ways for <Language and Media> in Korean language subject of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 focused on making test items in the media domain / 매체 영역의 문항 제작을 중심으로 김규훈 p. 93-120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습득 과정에 나타난 /j/계 이중모음 오류 분석 : An analysis on the pronunciation errors in Korean /j/-diphthong in L2 aquisition : focused on native Vietnamese speakers / 베트남어 모어 화자를 중심으로 김태경 p. 121-147

말뭉치를 활용한 '담화', '텍스트'의 사용 양상 및 의미 분석 = A study on the use and semantic analysis of 'discourse', 'text' using corpus 최선희 p. 149-184

경산 코발트 광산 민간인 학살 사건의 기억과 문학교육의 가능성 = Memory of Gyeong San Cobalt Mine civilian massacre and the possibility of literature education 정래필 p. 185-208

'삼봉(三峯) 이야기'를 중심으로 한 가능 세계의 이야기론 = On the principle of the possible world story through three 'Sambong[三峯] stories' 김성룡 p. 209-238

염상섭 전후(戰後) 단편소설과 말년의 감각 = Yeom Sang-seop's short stories after Korean War and his late style 김영경 p. 239-266

김기림의 「기상도」에 드러나는 헤테로토피아와 다중적 시선 = Heterotopia and multiple views observed in "Kisangdo” of Kim Kirim 김지율 p. 267-293

최인호 소설의 가족주의 연구 = Familism in Inho Choi’s novel 김진기 p. 295-335

기술 문명 시대 문학의 대응 양상 연구 : A study on the response of literature to the era of technological civilization : focusing on Korean science fiction novels since the 2000's / 2000년대 이후 한국 SF 소설을 중심으로 오윤주 p. 337-371

시적 경험을 중심으로 한 시 감상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ways of appreciation of the poetic experience 유영희 p. 373-404

화해불가능한 사랑의 양상 : The aspects of irreconcilable love : focused on Lee Cheong-jun’s 1960s novels / 이청준의 1960년대 소설을 중심으로 주효주 p. 405-430

참고문헌 (3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보영(2020), 『당신을 기다리고 있어』, 새파란상상. 미소장
2 김초엽(2018),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 『제2회 한국과학문학상 수상작품집』, 허블. 미소장
3 박성환(2004), 「레디메이드 보살」, 『2004 과학기술창작문예 수상작품집』, 동아사이언스. 미소장
4 배명훈(2009/2020), 『타워』, 문학과지성사. (2009년 출간 후 2020년 복간) 미소장
5 장강명(2017), 「당신은 뜨거운 별에」, 『아직 우리에겐 시간이 있으니까』, 한겨레출판. 미소장
6 정소연(2015), 『옆집의 영희 씨』, 창비. 미소장
7 정희자(2009), 「U, ROBOT」, 『U, ROBOT』, 황금가지. 미소장
8 천선란(2020), 『천 개의 파랑』, 허블. 미소장
9 고장원(2015), 『SF란 무엇인가』, 부크크. 미소장
10 고장원(2016), 「우리나라 과학소설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앞으로의 과제」, 박상준 외, 『한국 창작 SF의 거의 모든 것』, 케포이북스. 미소장
11 권혁준(2017), 「SF아동청소년문학과 과학적 상상력 - SF소설의 개념, 특성, 범주와 한국 SF아동청소년문학에 나타난 시공간을 중심으로」, 아동청소년문학연구, 21, 7-39쪽. 미소장
12 김건우(2016), 「포스트휴먼의 개념적, 규범학적 의의」, 『포스트휴먼 시대의 휴먼』, 아카넷. 미소장
13 김영임(2018), 「유토피아적 상상에 대한 비판적 디스토피아 서사 읽기」, 『한국언어문화』 67, 73-94쪽. 미소장
14 김초엽·김원영(2021), 『사이보그가 되다』, 사계절. 미소장
15 노대원(2020), 「한국 포스트휴먼 SF의 인간 향상과 취약성」,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86집 24(1), 151-174쪽. 미소장
16 박상준(2005), 「21세기, 한국, 그리고 SF」, 『오늘의 문예비평』, 44-58쪽. 미소장
17 박인성(2020), 「한국 SF 문학의 시공간 및 초공간 활용 양상 연구-배명훈·김초엽·김보영의 소설을 중심으로」, 『현대소설연구』 77, 245-277쪽. 미소장
18 연남경(2020), 「여성 SF의 시공간과 포스트휴먼적 전망-윤이형, 김초엽, 김보영을 중심으로」, 『현대소설연구』 79, 105-139쪽. 미소장
19 이수진(2017), 『사이언스 픽션, 인간과 기술의 가능성』, 커뮤니케이션북스. 미소장
20 이지용(2016), 『한국 SF 장르의 형성』, 커뮤니케이션북스. 미소장
21 이지용(2019), 「한국 SF가 보여주는 새로운 인식들: 환상과 미래, 비인간 행위자들과 낭만적 사실의 전회」, 『자음과모음』 42, 78-88쪽. 미소장
22 이지용(2019), 「한국 SF의 장르적 특징과 의의-근대화에 대한 프로파간다부터 포스트휴먼 담론까지」, 『대중서사연구』 25(2), 33-69쪽. 미소장
23 임지연(2018), 「초기 한낙원의 과학소설에 나타난 ‘소년’의 의미」, 『한국언어문화』 65. 301-302쪽. 미소장
24 장성규(2018), 「2000년대 한국 SF 문학 연구」, 『스토리앤이미지텔링』 16, 225-251쪽. 미소장
25 장정희(2017), 『SF 장르의 이해』, 도서출판 동인. 미소장
26 최배은(2020), 「2000년대 이후 한국 아동·청소년 과학소설의 디스토피아 연구」, 『대중서사연구』 26(1), 103-132쪽. 미소장
27 최애순(2020), 「초창기 과학소설의 두 갈래 양상-『철세계』와 『비행선』」, 『우리어문연구』 68, 131-170쪽. 미소장
28 한국문학평론가협회(2006), 『문학비평용어사전』, 국학자료원, 2006. 미소장
29 돈 아이디(2013), 이희은 역, 『테크놀로지의 몸, 텍스트』, 텍스트. 미소장
30 로지 브라이도티(2015), 이경란 역, 『포스트휴먼』, 아카넷. 미소장
31 루이스 멈포드(1999), 김문환 역, 『예술과 기술』, 민음사. 미소장
32 미하일 바흐친(1998), 전승희 외 공역,「소설 속의 시간과 크로노토프의 형식」, 『장편 소설과 민중 언어』, 창작과 비평사. 미소장
33 셰릴 빈트(2019), 전행선 역, 『에스에프 에스프리, SF를 읽을 때 우리가 생각할 것들』, 아르떼. 미소장
34 자크 아탈리(2016), 양영란 역, 『인류는 어떻게 진보하는가-미래를 상상하는 방법, 모더니티』, 책담. 미소장
35 캐서린 헤일스(2013), 허진 역, 『우리는 어떻게 포스트휴먼이 되었는가』, 열린책들. 미소장
36 Darko Suvin(1979), The Metamorphoses of Science Fiction: On the Poetics and History of a Genre. New Haven: Yale UP. 미소장
37 한소범, 「올해 신춘문예 키워드는 퀴어와 SF」, 한국일보 2019.12.23.일자 (인출일 2021.2.1)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201912221955077507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