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한국의 전통교육사상과 공손 표현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the Korean traditional education thought and the politeness expressions / 손화희 1
목차 1
1. 머리말 1
2. 전통교육사상 3
2.1. 고대 전통교육사상 3
2.2. 유가의 전통교육사상 4
3. 경사상과 공손표현 사용과의 관계 9
3.1. 공손 표현의 양상 10
3.2. 경사상과 공손 표현 12
4. 마무리 14
참고 문헌 16
[요약] 18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민아·이영신,「디지털 영상매체 이용시간과 가정문해환경 수준에 따른 영아의 언어발달 차이」,『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19호,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pp. 973-999. | 미소장 |
2 | 강창석,「국어 경어법의 본질과 체계」,『언어정보연구소』, 제39권 0호, 서강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20, pp. 51-86. | 미소장 |
3 | 김기태,『홍익인간의 교육 이념에 관한 연구』,인천교대 논문집, 1984. | 미소장 |
4 | 김시준,『대학 · 중용』,혜원출판사, 1994. | 미소장 |
5 | 김인회,『고대무속종교의 교육철학』,보고논총,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1. | 미소장 |
6 | 노보람,「가정환경 자극과 부모의 온정적 양육이 5세 유아의 언어 및 인지발달에 미치는 영향」,『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8권 20호,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pp. 661-686. | 미소장 |
7 | 박배식,『언어발달과 지도』, 학문사, 1993. | 미소장 |
8 | 박홍자·김미애,『언어활동의 이론과 실제』, 학문사, 1993. | 미소장 |
9 | 서덕현,『학교문법의 경어법 기술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대학원, 1992. | 미소장 |
10 | 선우미정,「교육이념인 ‘홍익인간’의 유교철학적 고찰」,『동양철학연구』, 제70권 0호, 동양철학연구회, 1993, pp. 182-219. | 미소장 |
11 | 손인수,『한국교육사상사』, 문음사, 1989. | 미소장 |
12 | 유완영,「현대 한국어 경어법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고찰 - 중국어 및 일본어 경어법과의 비교를 통하여」,『이화어문논집』, 제31집, 이화어문학회, 2013, pp. 105-131. | 미소장 |
13 | 이계학,『한국인의 전통가정교육사상』,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3. | 미소장 |
14 | 이계학,『인간성을 기르고 창의성을 높이는 교육』, 중앙교육연수원 제1기 초등학교 교장과정 연수교재, 1996, pp. 69-91. | 미소장 |
15 | 이계학,「한국인의 전통가정교육사상의 현재적 조명; 효와 엄부자모를 중심으로」,『아동학회 학술발표 논문집』, 한국아동학회, 1995, pp. 3-44. | 미소장 |
16 | 이기석,『소학』, 홍신사, 1981. | 미소장 |
17 | 이지연·곽금주,「아동초기 사회경제적 지위와 가정환경이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한국심리학회지: 발달』, 제21권 3호, 한국심리학회 산하한국발달심리학회, 2008, pp 151-165. | 미소장 |
18 | 임현주,「유아의 인지, 언어발달과 가정환경 군집에 따른 창의성에 관한 연구」,『유아교육연구』, 제36권 2호,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pp. 515-534. | 미소장 |
19 | 장영은·성미영,「유아의 가정환경과 또래유능성의 관계에서 언어발달의 역할」,『한국보육지원학회지』, 제11권 6호, 한국보육지원학회지, 2015, pp. 1-18. | 미소장 |
20 | 전혜영,「한국어공손표현의 의미」,『한국어의미학』, 제15권 0호, 한국의미학회, 2004, pp. 71-91. | 미소장 |
21 | 정대현,『한국어와 철학적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85. | 미소장 |
22 | 정순희,『어머니-유아간 언어적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대학원, 1990. | 미소장 |
23 | 주희·여조겸,『 근사록』, 정영호 옮김, 자유문고, 1993. | 미소장 |
24 | 최홍규,『현대국어의 존비칭실태 연구』,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대학원, 1983. | 미소장 |
25 | 홍승아,「한국어 공손 표현의 유형별 실현 양상」,『언어와정보사회』, 제39권 0호, 언어정보연구소, 2020, pp. 87-107. | 미소장 |
26 | 홍승표·이현지·정재걸·이승연·백진호,「제4차 산업혁명과 한국 청소년교육패러다임의 변화-전통에 기반 한 새로운 청소년 마음교육에 대한 예시」,『한국학논집』, 제75권 0호, 한국학연구원, 2019, pp. 373-392. | 미소장 |
27 | 황병국,『효경』, 혜원출판사, 1990. | 미소장 |
28 | Fasold, R. W., The sociolinguistics of society, Oxford, England, 1984. | 미소장 |
29 | Fasold, R. W., The sociolinguistics of language, Cambridge, England, 1990. | 미소장 |
30 | Ney, P. G., “Does verbal abuse leave deeper scare: A study of children and parents”, Canadian Journal of Psychiatry, Vol 32, 1999, pp.371-378. | 미소장 |
31 | Wittgenstien, Ludwing, Tractatus logico-philosophicus,『논리-철학 논고』, 이영철 역, 책세상, 2020. | 미소장 |
32 | 日本刻版, 『이퇴계전집』, 퇴계학연구소, 1975.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