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연구의 목적은 자기평가의 교육적 가치를 바탕으로 쓰기를 위한 자기평가 교육 내용을 마련하고 쓰기 교육에서 자기평가 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쓰기에서의 자기평가를 ‘학습자가 쓰기 전(全) 과정에서 쓰기 수행을 진단하고 문제를 파악하여 쓰기 수행의 긍정적 변화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수집한 후 이를 피드백을 위한 정보로 정련하는 일련의 성찰적 행위’로 규정하고 자기평가의 과정을 준거의 적용, 반성적 성찰, 결과의 정보화로 제시하였다. 그리고 ‘자기평가 이해하기’, ‘자기평가하기’라는 교육 단계와 지식(아는 것)과 기능(하는 것)을 범주로 하는 교육 내용 체계를 마련하고 교육 내용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쓰기에서 학습자의 자기평가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줌과 동시에 구체적인 교육의 방향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추후 교육 내용의 정밀화, 실제 수업 상황에 자기평가 교육을 녹이는 방안 모색, 자기평가에 작용하는 조정 기제 탐색이라는 남은 과제를 지속적으로 해결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41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가은아(2010),「설명문 쓰기 능력 발달 연구-초 6에서 고 1학생들을 중심으로」,『청람어문교육』41,139-168, 청람어문교육학회. 미소장
2 가은아(2013), 「자기 질문 전략을 활용한 구두 작문의 효과 탐색」, 『작문연구』17, 9-36, 한국작문학회. 미소장
3 김미정·김정환(2007), 「자기평가 후 피드백 유형이 쓰기 능력과 쓰기 태도에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7(1), 141-163,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미소장
4 김수현(2010), 「상위인지를 활용한 쓰기 자기 평가 도구 개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5 김주환(2017),「중학생들의 작문능력 실태 조사 연구」,『교육과정평가연구』 20(1),271-295, 한국교육과정평가원. DOI : 10.22799/jce.2017.20.1.011 미소장
6 김종백·우은실(2005), 「자기평가 중심 학습이 초등학생의 쓰기 능력 및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교육심리연구』19(1), 205-221, 한국교육심리학회. 미소장
7 김지연(2011), 「자기평가 중심 학습이 중학생의 쓰기 능력 및 태도에 미치는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8 남정희·최준환·공영태·문성배·이석희(2004), 「자기평가에 대한 피드백 유형이중학교 학생들의 과학 개념 이해와 과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24(3), 646-658, 한국과학교육학회. 미소장
9 남형채·류성림(2000), 「수학 수업에서 학생의 자기평가 방법」, 『과학·수학교육연구』23(1), 55-71, 대구교육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미소장
10 박소희·김주환·천해주·김영서(2020), 「작문 능력의 국제 비교를 위한 평가 준거 탐색」, 『리터러시연구』11(6), 223-254, 한국리터러시학회. DOI :10.37736/KJLR.2020.12.11.6.07 미소장
11 박정(2019),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수업과 학생 자기평가 의미 탐색」, 『교육평가연구』32(3), 421-440, 한국교육평가학회. DOI:10.31158/JEEV.2019.32.3.421 미소장
12 송수미(2001), 「자기 조정 전략 중심의 고쳐쓰기 프로그램 개발 연구」, 『초등국어교육』11, 159-186,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국어교육연구소. 미소장
13 송정윤,김주환(2018),「중학생들의 설명문 쓰기 능력과 특징 분석 연구」, 『교육과정평가연구』21(1),129-151, 한국교육과정평가원. DOI :10.22799/jce.2018.21.1.006 미소장
14 신현숙(2008),「분석적 평가에 의한 논증글 쓰기 수행의 발달적 차이」,『교육학연구』46(1),1-29, 한국교육학회. 미소장
15 심유나(2017), 「초등 필자의 쓰기 과정에 나타난 자기조절 전략에 대한 연구」, 『작문연구』35, 39-71, 한국작문학회. DOI:10.31565/korrow.2017..35.002 미소장
16 이삼형,주영미(2005),「쓰기 능력 발달 양상에 관한 연구」,『국어교육』118,127-147, 한국어교육학회. 미소장
17 양경희(2017), 「쓰기 과제 구성 요소의 상세화에 대한 연구」, 『작문연구』 34, 81-110, 한국작문학회. DOI : 10.31565/korrow.2017..34.003 미소장
18 양경희(2020), 「필자의 긍정적 정체성 형성을 위한 쓰기 과제 설계 방안」, 『우리말교육현장연구』14(2), 7-33, 우리말교육현장학회. 미소장
19 원훈의(1996), 국어과 교육 연구, 국학자료원. 미소장
20 임천택(1998), 「쓰기 포트포리오를 통한 초등학생의 자기 평가 반응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1 임천택(2005), 「쓰기 지식 생성을 위한 자기 평가의 교육적 함의」, 『새국어교육』71, 285-310, 한국국어교육학회. 미소장
22 정미경(2012), 「자기 평가 전략을 활용한 수정하기가 쓰기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23 홍소영(2018), 「학생 자기평가의 학습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교육평가연구』31(1), 309-331, 한국교육평가학회.DOI:10.31158/JEEV.2018.31.1.309 미소장
24 최미숙·원진숙·정혜승·김봉순·이경화·전은주·정현선·주세형(2016), 『국어교육의 이해』, 사회평론아카데미. 미소장
25 최승식‧김주환‧이순영(2018),「고등학생의 작문능력 실태 조사 연구」,『리터러시연구』9(4),89-123, 한국리터러시학회. DOI :10.37736/kjlr.2018.11.9.4.89 미소장
26 최영환(2003), 『국어교육학의 지향』, 삼지원. 미소장
27 Aziz, L. J.(1995), A model of paired cognitive and metacognitive strategies. Doctori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San Francisco. 미소장
28 Black, P., & Wiliam, D.(2009). Developing the theory of formative assessment. Educational Assessment, Evaluation and Accountability 21(1), 5-31. 미소장
29 Harris, K. R., & Graham, S.(1992), Helping young writers master the craft strategy instruction and self-regulation in the writing process. MA;Brookline Books. 미소장
30 Harris, M.(1997), Self-assessment of language learning in formal settings. ELT Journal 51(1), 12-20. 미소장
31 Jeon,J. H.(1998), Performance assessment: Use of Self-Assessment(SA) or the College English Program. English Teaching 53(3). 179-197. 미소장
32 Klenowski, V.(2009), Assessment for learning revisited: an Asia-Pacific perspective. Assessment in Education 16(3), 263-268. 미소장
33 Kusnic, E., & Finlely, M. L.(1989), Student self-evaluation: An introduction and rationale. 미소장
34 Moon, J., & Schulman L.(1995), Finding the connections: Linking assessment, instruction and curriculum in elementary mathematics. Portsmouth, NH: Heinemann. 미소장
35 O’Malley, J. M., & Pierce, L. V.(1996), Authentic assessment for English language learners. New York: Addisson-Wesley Publishing. 미소장
36 Olina, Z.(2002), Teacher evaluation, Student Self-evaluation, and Learner Performance. Doctor of Philosophy, Arizona State University. 미소장
37 Oscarson(1989), Self-assessment of language proficiency: rationale and applications. Language testing 6(1), 1-13. 미소장
38 Sadler, P., & Good, E.(2006), The impact of self-and peer-grading on student learning. Educational Assessment 11(1), 1-31. 미소장
39 Sadler, D. R.(1989), Formative assessment and the design of instructional systems, Instructional Science 18, 119-144. 미소장
40 Schunk, D. H.(1996), Goal and Self-Evaluative Influences During Children’s Cognitive Skill Learning.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33(2), 359-382. 미소장
41 Zimmerman, B. J.(1986), Becoming a self-regulated learner: Which are the key subprocesses?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11(4), 307-313.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