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This paper is intended to examine the ‘mystery’ of Stavrogin, the hero of Dostoevsky’s The Devils, in terms of patristic literature, especially the teachings of St. Augustine and Evagrius Pontus. In order to scrutinize the ontological void in Stavrogin, this paper focuses on one scene in the novel where the nihilists including Stavrogin go to look at a corpse, a recent suicide. Their “greedy curiosity” to look at a scene of ugliness, what St. Augustine calls “the lust of the eyes”, arises from the dark abyss of boredom, which in its turn refers back to one of the seven mortal sins classified by the Desert Fathers, ‘acedia.’ Acedia, the so called “Noonday Demon”, is regarded the most oppressive of all the demons, since it renders one prone to almost invincible apathy. It freezes Stavrogin’s soul and mind. Stavrogin’s total indifference to the world and life is duplicated in his relentless search for divertissement. Acedia is a synonym of “the state of being possessed” and the root cause of all the demonic acts listed in Stavrogin’s ‘Confession.’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20세기 체호프들 : “소비에트 체호프” 세르게이 도블라토프와 “아메리칸 체호프” 레이먼드 카버 비교 연구 : 『여행가방』(Чемодан)(1986)과 『대성당』(Cathedral)(1983)을 중심으로 | 김현정 | p. 7-30 |
|
|
도스토옙스키와 바라봄의 문제 : 구경, '어시디아', 그리고 스타브로긴 | 석영중 | p. 59-80 |
|
|
파스테르나크와 권력 : 시인의 창작 속 스탈린 형상과 스탈린주의 모티프 연구 | 임혜영 | p. 81-108 |
|
|
유토피아와 광기 : 푸시킨의 「핀데몬티의 시에서」. 1 | 최종술 | p. 109-136 |
|
|
시간의 분할과 러시아어 시간부사 : быстро, медленно를 중심으로 | 김정일 | p. 167-192 |
|
|
러시아어의 영어 합성어 차용 연구 : 다어절 어휘소를 중심으로 | 정영주 | p. 193-217 |
|
|
강독서 『고려인을 위한 문자 교본』 : (Азбука для корейцевъ)(1902)의 노한번역 방향과 전략 | 한지형 | p. 219-248 |
|
|
러시아 OTT 플랫폼 현황과 TV 드라마의 새로운 흐름들 | 이지연, 홍상우 | p. 249-284 |
|
|
러시아 애니메이션 산업의 콘텐츠로서 동슬라브 신화 | 이희원 | p. 285-321 |
|
|
러시아의 근외정책과 정치 지도자 선택 : 조지아와 우크라이나 비교 연구 | 허승철 | p. 323-350 |
|
|
『악령』 속 등장인물의 성서적 패러디 양상 | 류순옥 | p. 31-57 |
|
|
America as dreamed by Russians : ideological searches of Russian rightists in the US from the end of the 1940's to the beginning of the 1950's | Antoshin, Alexey | p. 351-380 |
|
|
오스트롭스키 『강철은 어떻게 단련되었는가』 : 사회주의 리얼리즘 문학의 전범은 어떻게 만들어졌는가 | 최진희 | p. 137-166 |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4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