잃어버린 순수를 발견하다 : 베이스바리톤 길병민
|
글: 김종섭
|
p. 26-33
|
|
|
|
피아노와 이웃과 제자 사랑의 함수관계, 피아니스트 김태진이 풀다
|
글: 김무준
|
p. 34-37
|
|
|
|
서울시오페라단 오페라 '로미오와 줄리엣'의 주역 : 테너 강요셉 & 소프라노 박소영 [인터뷰]
|
[인터뷰이]: 강요셉, 박소영 ; 글: 김순화 ; 사진: 조기웅
|
p. 38-41
|
|
|
|
이혜경 오픈씨어터 대표 / 우나이 우레쵸 주비야가 지휘자 : 클래식 전문회사 오픈씨어터의 자존감 프로젝트 대담
|
[대담]: 이혜경, 우나이 우레쵸 주비야가 ; 글: 김순화 ; 사진: 조기웅
|
p. 42-46
|
|
|
|
소리는 보이지 않지만 존재한다 : 전자음악 작곡가 GRAYCODE, jiiiiin [인터뷰]
|
[인터뷰이]: GRAYCODE, jiiiiin ; 글·사진: 이현민
|
p. 48-51
|
|
|
|
긴 공백기를 지나 전성기를 누리고 있는 소프라노 황인자
|
글: 김순화 ; 사진: 조기웅
|
p. 52-55
|
|
|
|
가동률 82.7% 전북의 프라이드, 개관 20주년 맞는 한국소리문화의 전당 서현석 대표
|
글: 김종섭
|
p. 56-61
|
|
|
|
작곡가 29인의 삶과 음악을 만나다 : 음악평론가 조희창 신간 '클래식이 좋다' [인터뷰]
|
[인터뷰이]: 조희창 ; 글: 김희영
|
p. 62-64
|
|
|
|
예술사랑으로 코로나 난국을 극복했으면 : '손에 잡히는 아리아'의 저자 박상훈 주스페인 대사 [인터뷰]
|
[인터뷰이]: 박상훈 ; 글: 김무준
|
p. 65-67
|
|
|
|
방성호의 웨스턴심포니오케스트라, 용인시 상주단체 선정 : 클래식을 쉽고 친근하게 만드는 역할 감당
|
글: 김종섭
|
p. 76-77
|
|
|
|
화려한 경력의 음대생, 음악교사 되다 : 음악교사 이상준 [인터뷰]
|
[인터뷰이]: 이상준 ; [취재]: 정은현 ; 정리: 월간 리뷰 편집부
|
p. 80-83
|
|
|
|
소극장오페라의 역할과 매력 : 초심자의 교실이자 놀이터, 소극장 오페라
|
글: 이용숙
|
p. 86-87
|
|
|
|
왜 우리는 오페라를 알아야 하는가
|
글: 이종영
|
p. 88-89
|
|
|
|
순수와 열정을 온전히 담다 : 박상희 피아노 독주회 [인터뷰]
|
[인터뷰이]: 박상희 ; 글: 김희영
|
p. 106-107
|
|
|
|
철의 음악, 제철을 만난 음악회
|
글: 김종섭
|
p. 110-111
|
|
|
|
박민희 피아노 독주회 : 작곡가의 본질을 추구하는 박민희의 가능성
|
평: 문일근
|
p. 114-115
|
|
|
|
선우예권 피아노 리사이틀 : 그의 이야기를 듣다
|
평: 송주호
|
p. 116-117
|
|
|
|
KBS교향악단 실내악 시리즈Ⅰ '비엔나의 새 아침' : 비엔나의 새 아침을 맞듯 상큼했던 연주의 인상
|
글: 여홍일
|
p. 118-119
|
|
|
|
유럽 음악제에 견주어도 손색없는 음악제 : 2021 평창대관령겨울음악제
|
글: 여홍일
|
p. 120-121
|
|
|
|
밀레니엄심포니오케스트라 '올 댓 라흐마니노프' : 폭발하듯 격동치는 서정적인 선율
|
평: 김현정
|
p. 122-123
|
|
|
|
드미트리 마슬레예프 독주회 : 러시아 피아니즘을 잇다
|
글: 이호림
|
p. 124-125
|
|
|
|
독일 시인 하이네의 '노래의 책', 슈만 '시인의 사랑'
|
글: 박소현
|
p. 130-131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