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The creative problem-solving becomes one of the most important cognitive skills in the engineering education. As AI and automation technology(of 4th Industrial Revolution) penetrate our everyday life, its role as a human ability is highlighted.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the creative problem-solving and the critical thinking, and the usefulness of the latter in the engineering education. To sum up, the critical thinking is the pre-conditon of the creative problem-solving.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비판(-창의)적 사고의 문제 해결 과정과 기량을 활용한 창의 공학 설계 교육 = Creative engineering design education utilizing the problem-solving process and skills of critico(-creative) thinking 박상태, 김제도 p. 68-75

공학교육에서 비판적 사고와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관계 = The relation of critical thinking and creative problem-solving in engineering education 박승억 p. 61-67

프로젝트 중심의 토목공학 입문설계 교과목 사례 분석 = Case study for a project based introductory design course in civil engineering 정근채 p. 51-60

공학커뮤니케이션 교과목 운영을 통한 의사소통 역량의 향상도 분석 = Analysis of the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skills through the operation of engineering communication courses 한지영, 공명숙 p. 41-50

공과대학 여학생의 전공만족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 탐색 = Explor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major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female engineering students 황순희 p. 29-40

2020년 1학기 공과대학 교수와 학생의 온라인 수업에 관한 인식 연구 = A study on the perceptions of professors and students of engineering colleges on online classes for spring semester 2020 강소연 p. 20-28

해양로봇 활용의 역량중심 메이커 및 설계 교육 사례 연구 = Case study on competency-based maker and design education using marine robot 김현식 p. 12-19

COVID-19 발생 전후 공과대학 학생의 일과시간 활용 실태연구 =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daily-routines of engineering students before and after COVID-19 occurrence 송명현, 하태인 p. 3-11

참고문헌 (11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박상태(2020). 공학 교육에서 비판적 사고의 활용방안. 공학교육연구, 23(6), 27-32. 미소장
2 세계경제포럼(WEF)(2020). The Future of Jobs survey 2020. 미소장
3 윤경미・황순희(2017). 공과대학생의 일상적 창의성과 사고양식의 관계. 교양교육연구, 11(12), 413-448. 미소장
4 이경화・김은경・유경훈(2012). 대학생의 제변인에 따른 창의적능력 비교. 창의력교육연구, 12(1), 29-47. 미소장
5 정은이(2002). 일상적-전문적 창의성의 암묵이론적 구조. 교육심리연구, 16(4), 147-167. 미소장
6 조현재・이현주(2011). 발산적 사고를 통한 아이디어 발상의디자인 프로세스. 디지털 디자인학 연구, 11(1), 141-152. 미소장
7 Balog, M. et al.(2017). Learning to write Programs. Conference Paper at ICLR 2017. 미소장
8 Facione, P. A. & Insight Assessmet(2014). Critical Thinking:A Statement of Expert Consensus For Purpose of Educational Assessment and Instruction. 미소장
9 Guilford, J. P.(1987). Creativity Research: Past, Present and Future in S. G. Isaksen(ed.). Frontiers of Creativity Research:beyond the basics. Buffalo N.Y.: Bearly Limited. 미소장
10 Kozyrkov, C.(2019). The First Thing Great Decision Makers Do. Havard Business Review. 미소장
11 Whitehead, A. N.(1982). 과학과 근대세계. 오영환 역. 삼성출판사.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