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노계현, 1997『조선의 영토 – 우리의 영토는 어디까지인가?』, 한국방송대학교출판부 | 미소장 |
2 | 오병한, 2016『19세기말 20세기초 압록강 하구 황초평 분쟁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3 | 양태진, 2007『우리나라 영토이야기』, 예나루 | 미소장 |
4 | 이종석, 2001『북한-중국관계 1945~2000』, 도서출판 중심 | 미소장 |
5 | 차문섭, 1973『朝鮮時代軍制硏究』, 단대출판부 | 미소장 |
6 | 김경춘, 1992 「古珥島・薪島를 圍繞한 朝淸國境係爭」『국사관논총』 32, 국사편찬위원회 | 미소장 |
7 | 김경춘, 1985 「鴨綠江下流朝・淸國境線形成問題考」『邊太燮博士華甲紀念史學論叢』, 변태섭박사 화갑기념 사학논총기념 간행위원회 | 미소장 |
8 | 구도영, 2015 「16세기 조선의 압록강 하구 도서(島嶼)에 대한 영토인식과 외교전략」『역사와 현실』 97, 한국역사연구회 | 미소장 |
9 | 남의현, 2012 「고지도를 통해서 본 15~17세기의 변경지대 -압록강, 두만강 변을중심으로-」『만주연구』 14, 만주학회 | 미소장 |
10 | 남의현, 2015 「명대 위소제도의 형성과 성격 -변경지역의 東寧衛를 중심으로-」『명청사연구』 43, 명청사학회 | 미소장 |
11 | 민덕기, 2012 「동아시아 해금정책의 변화와 해양 경계에서의 분쟁」『한일관계사연구』 42, 한일관계사학회 | 미소장 |
12 | 배재홍, 2011 「조선후기 울릉도 수토제 운용의 실상」『대구사학』 103, 대구사학회 | 미소장 |
13 | 박현규, 2011 「17세기 전반기 對明海路使行에 관한 행차 분석」『한국실학연구』21, 한국실학학회 | 미소장 |
14 | 서인범, 2006 「압록강하구 沿岸島嶼를 둘러싼 朝・明영토분쟁」『명청사연구』 26, 명청사학회 | 미소장 |
15 | 서인범, 2011 「조선시대 서해 북단 해역의 경계와 島嶼문제 -海浪島와 薪島를 중심으로-」『명청사연구』 36, 명청사학회 | 미소장 |
16 | 송기중, 2015 「17~18세기 수군 軍船의 배치 변화와 개선 방안」『동방학지』 169,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 미소장 |
17 | 정해은, 2003 「조선후기 西班人事규정집『西銓政格受敎筵奏輯錄』의 검토」『장서각』 10, 한국학중앙연구원 | 미소장 |
18 | 정혜중, 2006 「청대 조선인과 청국인 범월의 특징 : 양국 범월사례의 분석을 중심으로」『명청사연구』 26, 명청사학회 | 미소장 |
19 | 조 광, 1974 「조선후기의 변경의식」『백산학보』 16, 백산학회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8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