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퍼스널컬러를 적용한 웨딩 스타일 화보 촬영 제작 연구 : A study on the production of wedding style photo shoots by personal color : focusing on seasonal types / 계절별 타입을 중심으로 정혜민, 박성미, 김연아 p. 337-358

이너뷰티를 위한 라벤더 에센셜 오일의 미용관련 생리활성 평가 = Esthetic bioactivity of lavender essential oil for inner beauty 배민규 p. 319-335

헤어미용 O2O서비스품질과 소비자의 브랜드 태도 및 만족도의 관계 = A study on the effect of hair beauty O2O service quality on brand attitude and customer satisfaction 최부경, 박은준 p. 305-317

헤어디자이너의 여가몰입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분석 : Analysis of the effect of hair designer's leisure flow on the quality of life : with leisure satisfaction as a parameter / 여가만족을 매개변수로 하여 이영아 p. 289-303

뷰티학과 전공 재학생의 해외 취업 행동에 관한 연구 = Overseas employment behavior of students from department of beauty 최영화, 정욱선 p. 271-288

(A) study on the influence factors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Chinese university students in beauty and cosmetics majors = 뷰티미용전공 중국대학생들의 창업의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Xiao-Wu Chen, Jae-Ha Lee p. 257-270

Nicotinoyl Dipeptide-23를 함유한 퍼머넌트 환원제의 웨이브 효과. Effect on the permanent wave of reducing agents containing nicotinoyl dipeptide-23. 1 / 1 장미화 p. 247-256

영화 '광해, 왕이 된 남자' 캐릭터별 분장 디자인 분석 : Analysis of makeup styles by character in the film 'Masquerade' : focusing on Haseon (the clown), King Gwanghae, and the queen / 광해, 하선, 중전을 중심으로 오서현 p. 231-245

교조증 건강증진행위의 변화과정, 의사결정균형, 자기효능감이 변화단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change process, decisional balance and self-efficacy in nail-biting improvement behavior on change stages : focusing on a transtheoretical model / 범이론적 모형을 적용하여 장하영, 정인심 p. 213-229

반영구화장 이용 요인 및 만족도 연구 : Factors affecting the use of semi-permanent makeup and satisfaction with the treatment : focusing on Vietnamese women / 베트남 여성을 대상으로 김경옥 p. 195-211

소셜미디어 뷰티 인플루언서와의 준사회적 상호작용이 브랜드 신뢰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para-social interactions with social media beauty influencers on brand trust and purchase intention 임새미, 이인희 p. 177-194

유명인 게스트 출연에 따른 국내 TV홈쇼핑 현황 = Domestic TV home shopping situations according to the celebrity guest appearance 안나현 p. 165-176

한국인의 모발색 계측에 따른 분류 연구 : Classification study by measuring the hair color of Koreans : focusing on Busan and Gyeongnam areas / 부산, 경남 지역을 중심으로 이영희 p. 153-164

헤어숍의 경험마케팅, 지각된 가치, 브랜드 태도, 행도의도[실은 행동의도] 간의 인과관계 =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 marketing, perceived value, brand attitude, and behavior of hair shops 이보현, 나윤영 p. 133-151

뷰티정보 만족도 및 활용에 있어 소셜 인플루언서의 영향력에 관한 연구 = The influence of social media influencers' properties on satisfaction with aesthetic information and intention to use 유제이, 송태임 p. 117-131

뷰티서비스 업체에서 상사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이 종사자들의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supervisor's communication styles on employee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beauty service companies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trust and superior trust / 조직신뢰와 상사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강현경, 이연정 p. 101-116

공유형 미용실의 인식이 근무환경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Impact of shared hair salon perception on work environment and turnover intention 강복희, 문소희, 이재숙 p. 89-100

개인용 뷰티 디바이스 사용과 구매 실태 : A study on the use and purchase of personal beauty devices : based on the estheticians of 'Y' esthetic company / Y기업 피부미용사를 중심으로 신규옥, 김현숙 p. 75-87

Neem 에탄올추출물과 분획물의 항산화, 항균 및 항염증 효과 비교 = Comparison of antioxidant, antimicrobial,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thanol extract from neem(Azadirachta indica) and its fractions 김미경 p. 61-74

화장품 문화 동향과 특성에 따른 K-뷰티의 맞춤형 수출 증대 방안 : Improvement of customized export of K-beauty by cosmetics culture trends and characteristics : focusing on China and Southeast Asia / 중국과 동남아를 중심으로 김진숙 p. 43-60

코로나 19(COVID-19) 이후 여성의 눈썹 화장 인식도 변화 분석 = On the analysis of change in women's perception of eyebrow makeup since the outbreak of COVID-19 장소쌍, 최민령 p. 21-41

Analysis of 3D printing nail designs, using the inter-relational features of olafur Eliasson's artworks = 올라퍼 엘리아슨 작품의 상호관계적 특성을 응용한 3D 프린팅 네일 디자인 작품 연구 Soo-Jin Ko, Yeon-A Kim p. 7-19

참고문헌 (2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박정수.(2020). 4차 산업혁명 및 고령화 시대의뷰티서비스 산업의 변화추이-스마트 뷰티케어 피부미용 시장의 확장성을 중심으로. 인문사회 21, 11(1), p.206. 미소장
2 고은지.(2015). 디지털이 뷰티산업 이끈다. LG 경제연구소, LG Business Insight, p.16. 미소장
3 위희정, 김지원.(2019). 지방자치단체의 융복합 일자리 창출을 위한 뷰티헬스 산업 육성방안.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9(2), p.174. 미소장
4 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2009). 뷰티 산업 경쟁력 강화방안. p.2. 미소장
5 김경희.(2020). 뷰티업계 ‘홈케어족’ 잡는 맞춤형 ‘가정용’ 미용 기기 주목. 디지틀조선일보. http://digitalchosun.dizzo.com/site/data/html_dir/2020/12/23/2020122380027.html, (자료검색일: 2020.12.25.). 미소장
6 김도희.(2016). SNS 온라인 구전정보의 특성이 가정용 안면피부미용기기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제품에 대한 소비자 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글로벌창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21-22. 미소장
7 고창인, 이영석.(2017). 미용기기 분야 IP R&D 전략을 위한 특허 포트폴리오 분석.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지, 10(1), pp.117-124. 미소장
8 KIET산업연구원.(2017). 4차 산업혁명 시대의신 성장 동력 스마트 헬스케어산업. 미소장
9 육현정.(2018). 4차 산업혁명 시대의 K-beauty 서비스산업 분석 및 예측. 건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0 이향숙, 한채정.(2020). 미용기기가 피부개선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21(2), p.255. 미소장
11 김신희, 정연자.(2018). IPA 분석을 활용한 피부미용사 직무능력수준의 비교연구.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19(3), pp.66. 미소장
12 홍채은, 박해련, 김기영.(2017). 가정용 피부미용기기의 홈쇼핑 구매행동, 사용행태 및 만족도-20대 여성을 중심으로. 한국미용학회지, 23(5), pp.1059-1070. 미소장
13 지정훈.(2018). 성인여성의 미용기기 사용과선호도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4(4), pp.407-417. 미소장
14 임지선.(2019). 안면용 뷰티디바이스 사용실태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뷰티융합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1-86. 미소장
15 백현진.(2019). 셀프 뷰티족 여성의 가치의식에 따른 개인용 뷰티디바이스 구매행동 및 만족도, 재구매 의도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1-72. 미소장
16 김상문.(2014). 셀프 뷰티 족(族)을 위한 냉온피부마사지기 디자인개발사례-신속한 제품디자인 대응을 중심으로.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4(4), pp.381-390. 미소장
17 신미연, 손일두, 박상용, 유창호.(2018). 지속적인 사용성을 높이기 위한 안면 피부 미용기기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국재활복지공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pp.245-246. 미소장
18 김선희, 정석길.(2016). 사용자 경험 기반 홈케어 뷰티 디바이스 디자인에 관한 연구; 진동클렌저 제품·서비스 디자인을 중심으로. 산업디자인학연구, 10(3), pp.23-34. 미소장
19 이승헌, 이상주, 안성구.(2009). 메디칼스킨케어. 서울: 여문각. pp.217-228. 미소장
20 노상우(2020). 의협 “ ‘미용업자 의료기기 사용허용’ 법안 즉각 철회하라”. 쿠키뉴스. http://www.kukinews.com/newsView/kuk202012300320, (자료검색일: 2020.12.30.). 미소장
21 오승호.(2014). 미용기기 법제화 추진. 메디컬투데이. http://www.mdtoday.co.kr/mdtoday/index.html?no=248176, (자료검색일: 2020.12.23.). 미소장
22 이인희, 이미나.(2019). 피부미용기기와 나노화장품의 피부 유효성에 관한 연구.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18(3), p.56. 미소장
23 산업통상자원부.(2020). 가정용 미용기기, 일반 마스크의 제품안전관리가 강화된다-산업부,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 시행규칙」 개정안 입법예고 보도자료. pp.1-2. 미소장
24 타카하시요시에.(2020). 일본 미용기기 시장 동향.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KOTRA 해외시장뉴스. https://news.kotra.or.kr/user/globalBbs/kotranews/799/globalBbsDataView.do?setIdx=254&dataIdx=184990, (자료검색일: 2020.11.30.). 미소장
25 진천천.(2020). 중국 홈케어 미용기기 시장동향.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KOTRA 해외시장뉴스. https://news.kotra.or.kr/user/globalBbs/kotranews/799/globalBbsDataView.do?setIdx=254&dataIdx=183648, (자료검색일: 2020.11.30.). 미소장
26 박지훈, 최연식(2019). 미용 의료기기 기술동향과 산업전망.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KEIT PD Issue Report, p.19.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