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초등교사의 생존수영교육 부담요인 및 개선방안 탐색 = Elementary school teachers' survival swimming education burdens and improvement plans / 권택돈 ; 정성우 1
국문초록 1
I. 서론 1
II. 연구 방법 4
1. 연구 참여자 4
2. 연구절차 4
3. 측정도구 4
4. 자료 분석의 진실성 5
IV. 연구 결과 및 논의 5
1. 초등교사들이 인식하는 생존수영교육에 대한 어려움 5
2. 생존수영교육의 부담요인 8
3. 생존수영교육의 개선방향 13
IV. 요약 및 제언 18
참고문헌 19
ABSTRACTS 21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경남(2019. 10. 14.). ʻ생존수영, 학생들 생존능력 키워줄지 의문'. 광주드림. http://www.gjdrB1:B36eam.com/news/articleView.html?idxno=499704. | 미소장 |
2 | 강신범, 염해진, 장재용 (2020). 델파이 방법을 이용한 초등 생존수영교육 시스템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분석. 수산해양교육연구, 32(1), 118-132. | 미소장 |
3 | 고현영(2014). 초등학교 3학년 수영교육에 대한 수영지도자의 인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서울. | 미소장 |
4 | 교육부(2016a).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해설 –초등학교-. | 미소장 |
5 | 교육부(2016b). 학교체육 활성화추진 계획. | 미소장 |
6 | 권연택, 여경아, 노용구(2019).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생존수영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인 도출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정책학회지, 17(4), 143-160. | 미소장 |
7 | 김보현, 정용철, 이의재(2019). 초등학교 생조수영교육을 바라보는 수영지도자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 교육문화연구, 25(4), 465-483. | 미소장 |
8 | 김상목, 김영식(2017). 놀이를 적용한 기초생존수영 프로그램 운영방안. 한국초등체육학회, 23(3), 85-104. | 미소장 |
9 | 김영환, 김지원, 김영진(2008). 초등학교 체험학습 운영 개선방안–부산을 중심으로-. 교과교육학연구, 12(3), 837-859. | 미소장 |
10 | 김은재(2018). 초등학교 수영수업에서 지도행동유형에 따른 수업만족도 및 감정에 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 미소장 |
11 | 김일환(2019. 10. 17.). 초등 생존수영교육 전학년 확대 불구 인프라 태부족. 충남일보. http://www.chungnam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516966. | 미소장 |
12 | 김재현(2017). 초등학교 수영실기교육의 실태 및 개선방안.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충북. | 미소장 |
13 | 김중형, 백종수(2011). 체육교과지도에 대한 초등교사의 관심과 어려움요인 분석. 한국체육교육학회, 16(1), 69-87. | 미소장 |
14 | 김지현, 이근모 (2016). 초등수영실기교육 벤치마킹을 위한 사례분석: 서울과 오산을 중심으로. 한국체육정책학회지, 14(4), 1-18. | 미소장 |
15 | 김지혜(2017). 초등학교 3학년 생존수영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대구. | 미소장 |
16 | 김태민(2010). 초등학교 교사들의 수영수업 실태조사와 개선방안.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광주. | 미소장 |
17 | 김해연, 이미나(2020. 06. 26.). 아이는 생존수영, 어른은 플라스틱통... 긴박했던 구조순간. 연합뉴스사 https://www.yna.co.kr/view/AKR20200626094500704?input=1195m. | 미소장 |
18 | 김혜지(2018. 06. 26.). 수년째 시간 때우기식, 무늬만 생존수영. 전북도민일보. http://www.dom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02274. | 미소장 |
19 | 박상봉, 이석훈(2017). 초등교사의 수영교육 실행경험 및 수영교육 발전방안. 서울교육대학교 한국초등교육, 28(1), 237-251. | 미소장 |
20 | 박하누리(2017). 초등학교 수영교육 운영 실태 및 개선방안.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서울. | 미소장 |
21 | 부산광역시교육청 동래교육지원청 중등교육지원과(2019). 2019년도 초등학생 생존수영교육 추진계획. | 미소장 |
22 | 성재경(2004). 초등학교 교사들의 수영수업 실태분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 교교육대학원. 충북. | 미소장 |
23 | 손지호(2019). 초등학교 생존수영교육에 대한 생존수영 지도자들의 인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부산. | 미소장 |
24 | 안성환 (2019). 초등학교 생존수영 표준과정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한국스포츠학회지, 17(4), 109-120. | 미소장 |
25 | 엄혁주, 김범 (2019). 초등 생존수영 표준교육과정 개발 및 효과검증. 한국체육교육학회지, 23(4), 33-44. | 미소장 |
26 | 유창완(2018). 초등학교 수영교육 개선을 위한 정책방안. 한국체육학회, 57(3), 103-116. | 미소장 |
27 | 육현철 (2018). 한국과 독일의 초·중등학교 수영교육에 관한 비교 분석. 스포츠 사이언스, 35(2), 17-25. | 미소장 |
28 | 윤현수(2018). 세중학교 체육교사의 생존수영 수업변용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체육학회, 57(3), 177-191. | 미소장 |
29 | 이선정(2015. 05. 06.). 수업고작 10시간, 사고 날까 학교도 꺼려... 물장구만 친 수영교육. 국제신문사 http://www.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code=0300&key=20150507.22003215416. | 미소장 |
30 | 임재구 (2019). 프랑스 생존수영 교육 표준 매뉴얼 사례연구. 한국초등체육학회지, 24(4), 125-135. | 미소장 |
31 | 전보경(2014). 초등학교 의무수영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및 개선에 관한 질적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용인대학교교육대학원. 경기. | 미소장 |
32 | 전영한(2020). 초등학교 (생존)수영교육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한국초등체육학회, 26(1), 107-123. | 미소장 |
33 | 전환욱(2019. 10. 18.). [국감이슈人] 박경미“ 초등생존수영교육, 예산 늘었지만 인프라는 태부족”. 아주경제사 https://www.ajunews.com/view/20191017173514271. | 미소장 |
34 | 정심교(2016. 02 .22.). 영·유아 수영이 좋은 5가지 이유. 중앙일보헬스미디어. https://jhealthmedia.joins.com/article /article_view.asp?pno=16508. | 미소장 |
35 | 조미혜, 이은미, 김승환(2015). 선진국의 수영교육 사례연구를 통한 국내수영교육 실천 방안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정책2015-위탁-3. | 미소장 |
36 | 조미혜 , 이은미, 김승환(2016). 외국의 수영교육 우수사례 연구를 통한 국내 수영교육 활성화 방안. 한국여성체육학회지, 30(1), 47-66. | 미소장 |
37 | 조형민(2015). 한국과 일본의 생존수영 교육에 관한 비교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 미소장 |
38 | 추미경, 김인형 (2016). 수영의무교육에 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및 운영개선 방안. 한국체육정책학회지, 14(3), 161-176. | 미소장 |
39 | 하성은 (2020). 초등학교 저학년 수영교육 운영현황.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서울. | 미소장 |
40 | 홍장미 (2020). 일본 초등학교 수영교육 운영 현황 탐색.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서울.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4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