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이 글에서는 「김인향전」에 나타난 원근(遠近) 구도의 공간 배치와 문학적 기능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인향당은 형제간의 분리와 감금, 기아(飢餓)와 육체적 노동, 통정과 수태란 흉문 속에서 주인공을 자살로 이끄는 중심 공간이다. 인향당을 정점으로 가장 근거리에 배치된 김좌수의 처소는 가부장의 체면 때문에 여식을 살해하는 반인륜적 공간이다. 인향이 온전히 부활하는 유한림의 처소는 유교적 통념이 국가와 사회의 기틀로 여전히 건재한다는 사실을 투사해 내는 공간이다. 인향당에서 근거리에 배치된 공간들은 기존의 관습과 이념이 정태성을 띠고 존재한다.
인향당에서 원거리에 배치된 목화밭은 자신의 욕망을 위해 살인도 불사하는 원초적인 본능의 인물들을 동태적으로 투사해 낸다. 동헌은 ‘소문’이라는 방식을 통해 비밀스러운 사건을 대중이 공유하도록 확산시키는 동태적 공간이다. 심천동은 서사 주체의 자살과 부활, 복수를 담은 동태적 공간이다. 인향당에서 원거리에 배치된 공간들은 기존의 관습적이고도 전형적인 등장인물의 사고행위와 사건 전개에 역동성을 가미한 동태성을 선사한다.
「김인향전」에 나타난 원근 구도의 공간 배치는 정태성과 동태성의 공간 양상을 축조했다. 이 공간 양상은 이념의 보수와 해체가 혼재하던 당대 사회상을 복제해 내는 문학적 기능을 한다. 나아가 살해와 자살 같은 참극에서 출발한 공포담을 수용하는 가운데 균등한 삶에 대한 대리만족을 추구하고자 했던 당대인의 심리를 투영하는 문학적 기능을 한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구제찬, 「김인향전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05. | 미소장 |
2 | 김선영, 「원귀형 설화의 현대적 변용 연구: 아랑전설, 장화홍련전을 중심으로」,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06. | 미소장 |
3 | 김수연, 「모성 대상에 대한 자기서사의 단절과 재건: 장화홍련전」, 「고소설연구」 제40집, 월인, 2015, 141-168쪽. | 미소장 |
4 | 김재용, 「계모형 고소설의 시학」, 집문당, 1996. | 미소장 |
5 | 김현수, 「김인향전 연구」, 부산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04. | 미소장 |
6 | 김현주, 「가족 갈등형 고소설의 여성주의적 연구」, 경희대학교대학원 박사논문, 2010. | 미소장 |
7 | 김현화, 「고전소설 공간성의 문예미」, 보고사, 2012. | 미소장 |
8 | 류병일, 「한국서사문학의 재생설화 연구」, 보고사, 2000. | 미소장 |
9 | 박대복, 「고소설의 사생관: 주인공과 그의 부모를 중심으로」, 「어문연구」 91, 어문연구학회, 1996, 51-70쪽. | 미소장 |
10 | 방은숙, 「계모형 가정소설의 인물성격 연구」, 세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02. | 미소장 |
11 | 백수근, 「계모형 고소설의 갈등구조와 인물 연구」, 전주대학교대학원, 석사논문, 2004. | 미소장 |
12 | 서유석, 「김인향전에 나타나는 애도작업(Travail du deuil)의 두 가지 방향: 애도 부재로 인한 자살과 해원을 통한 재생의 새로운 의미」, 「라깡과 현대정신분석」, 한국라깡과 현대정신분석학회, 2013, 121-145쪽. | 미소장 |
13 | 우미진, 「장화홍련전과 김인향전의 대비 연구」, 안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07. | 미소장 |
14 | 윤정안, 「김인향전의 의미 형상화 방식: 장화홍련전과의 차이를 중심으로」, 「국어국문학」 제152호, 국어국문학회, 2009, 307-330쪽. | 미소장 |
15 | 이금희, 「계모형 소설 연구: 장화홍련전과 김인향전을 중심으로」, 「고소설연구」 제19집, 월인, 2005, 113-135쪽. | 미소장 |
16 | 이금희, 「김인향전 연구」, 「고소설연구」 제15집, 한국고소설학회, 2003, 167-188쪽. | 미소장 |
17 | 이금희, 「김인향전에 나타난 노인(어른) 삶의 양상」, 「문명연지」 제4권 제2호, 한국문명학회, 2003, 113-137쪽. | 미소장 |
18 | 이금희, 「김인향전 연구」 수록 「김인향전」(활자본), 푸른사상, 2005. | 미소장 |
19 | 이기대, 「장화홍련전 연구」, 고려대학교대학원, 석사논문, 1998. | 미소장 |
20 | 이윤경, 「계모형 가정소설의 서사구조적 원리와 존재양상 연구」, 「고소설연구」 제16집, 한국고소설학회, 2003, 5-43쪽. | 미소장 |
21 | 이지하, 「김인향전의 인물형상화와 작품지향성의 관계: 장화홍련전과의 비교를 토대로」, 「동양고전연구」 제38집, 동양고전학회, 2010, 137-167쪽. | 미소장 |
22 | 전종한 외, 「인문지리학의 시선」, 논형, 2005. | 미소장 |
23 | 정일승, 「장화홍련전의 구조적 특징 고찰」,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04. | 미소장 |
24 | 조동일, 「문학연구방법」, 지식산업사, 1980. | 미소장 |
25 | 최기숙, 「여성 원귀의 환상적 서사화 방식을 통해서 본 하위 주체의 타자화 과정과 문화적 위치-고전소설에 나타난 ‘자살’과 ‘원귀’ 서사의 통계 분석을 바탕으로」, 「고소설연구」22, 한국고소설학회, 2006, 325-355쪽. | 미소장 |
26 | 최기숙, 「처녀귀신」, 문학동네, 2010, 80쪽. | 미소장 |
27 | 탁원정, 「조선 후기 고전소설의 공간 미학」, 보고사, 2013. | 미소장 |
28 | 한상현, 「김인향전 주인공의 인격적 성향과 가정비극의 상관성: 계모형 가정소설과 관련하여」, 「고전문학연구」 제17집, 월인, 2000, 199-237쪽.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