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18세기 가집 『해동가요(海東歌謠)』에 수록된 노가재(老歌齋) 김수장(金壽長, 1690∼?)의 자작 사설시조를 중심으로, 작품이 가집에 수록되어 있는 양상을 후기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적 탐구(Philosophische Untersuchungen)』 가운데 핵심 개념인 ‘가족유사성(family resemblance)’을 기반으로 하여 작품 배열 원리를 확인하였다.

『해동가요』에 수록되어 있는 김수장 자작 사설시조는 소재나 주제에 의한 일정 기준 없이 작품들이 흩어져 무질서한 나열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나 이는 인접한 소재와 연상작용에 의한 배열 방식으로, 작품 배열의 전후에 놓인 유사성에 의해 일정한 관계성을 유지하고 있는 편집체재였다. 즉 각 작품의 소재에서 발견되는 유사성들의 중첩에 의한 연결을 통하여 본고에서 설명하고자 했으며, 이러한 발견은 비트겐슈타인의 ‘가족유사성’ 개념과 상통하였다.

조선후기 가객 김수장의 일상세계는 곧 작품세계로 형상화되었으며 작품에 대한 묘사가 당시의 사실과 가객의 경험을 반영하고 있었다. 이러한 작업에 의해 첫 작품은 놀이의 ‘풍류’와 관련된 유사한 소재들로 묶여 배치되어 있었으며 곧이어 ‘시름’, ‘유교적 세계관’, ‘김수장의 일상’, ‘신선’, ‘인물’, ‘몽유’, ‘유흥’ 등 8가지의 소재로 분류 및 나열된 편집체재 규칙을 찾았다. 작품 전후에 놓인 다른 소재와의 경계는 뚜렷하게 나누어지지 않고 서로 맥락이나 단어의 유사성에 의한 중첩 양상을 보였다.

가객 김수장은 사설시조를 연행의 놀이공간에서 향유하기 위한 용도로 창작하였으며 놀이 개념을 자신의 작품 편집체재에도 적용시켰다. 이것은 예리한 경계 구분에 의한 작품 나열이 아닌, 서로 겹치는 유사성을 바탕으로 한 배열 규칙으로 설명된다. 결론적으로 김수장의 자작 사설시조의 배열 규칙은 비트겐슈타인의 ‘가족유사성’ 이론으로 설명됨을 지적하여 본고에서는 김수장이 가집 편찬자이자 편집자로서의 면모를 규명할 수 있었으며 조선후기 시조사에서 가객 김수장의 위치를 재조명 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질병의 불안에 대한 서사적·극적 처방전 = An epic and dramatic prescription for the anxiety of disease : '손님굿'의 신화와 놀이를 중심으로 조현설 p. 7-35

온전하지 못한 몸과 마주보기 : The case of facing the body that is not intact : including disease, disability, and accidents in some Korean classical poetry / <도천수관음가>와 <처용가>의 질병, <노처녀가>의 장애, <덴동어미화전가>의 사고 서철원 p. 37-68

『흠영(欽英)』에 기록된 감염병의 경험 : Infectious disease experience in Heumyoung : focusing on the measles epidemic in Seoul in 1786 / 1786년 서울의 홍진(紅疹) 유행을 중심으로 김하라 p. 69-98

판소리 사설에 나타난 질병에 대한 기억과 반응 : Memories and reaction to disease in Pansori : focusing on the 19th century cholera epidemic and Byeongangsoi-ga / 19세기 콜레라의 유행과 <변강쇠가>를 중심으로 오성준 p. 99-131

왕실의 인물을 바라보는 시선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Gwangak literature of 15th century Joseon through Jongbanhaengjuk(宗班行蹟) / 『종반행적(宗班行蹟)』에 담긴 15세기 관각문학의 일면 구슬아 p. 135-167

이현보의 『애일당구경첩』 수록 그림과 분강가단의 강호가도 = The pictures of Aeildang-gugyeongcheop and Gangho-Gado of Bungang-Gadan for Lee HyeonBo 권정은 p. 169-191

<석촌별곡(石村別曲)>에 나타난 현실 인식과 그 의미 = The perception of reality and its significance in Seokchon Byeolgok 김혜진 p. 193-218

가족유사성의 개념을 통한 김수장 자작 시조의 배열 원리 고찰 = A study on the principle of the arrangement of Kim Su-jang's own Sijo through the concept of family similarity : 주씨본 『해동가요』에 수록된 사설시조를 중심으로 이혜경 p. 219-250

한글장편소설 여성인물의 비혼(非婚)에 대한 희구(希求) : The wish for unmarried in Korean classical long novel : focused on Ssangcheongibong, Boeungiurok, and Imhwajungyeon / <쌍천기봉>, <보은기우록>, <임화정연>을 중심으로 고은임 p. 251-282

19세기 조선 문인의 『해국도지(海國圖志)』 독서 체험과 문학적 형상화 : 19th-century Chosŏn literati's literary imagination through a reading of Haiguo tuzhi : focusing on Shin Pilyeong's Haeguk jukjisa / 신필영(申弼永)의 「해국죽지사(海國竹枝詞)」 연구 표가령 p. 283-313

조선후기 문집 간행 및 유통 양상 재고 = The publication and distribution of literary collection in the late Choson period 장유승 p. 315-341

영화 <마녀>를 통해 본 <아기장수> 전설의 현재적 의의 = On the current significance of Mighty Baby seen through the movie The Witch 심우장 p. 343-3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