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만 3-9세 아동의 미디어 이용에 대한 부모의 인식 및 지도 행위 연구 : 부모의 미디어교육 경험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Parents' perceptions and guidance behavior on media use of children aged 3-9 years old : focusing on differences in parents' media education experience / 양길석 ; 서수현 ; 옥현진 1

목차 1

1. 서론 1

2. 선행연구 검토 4

1) 미디어 리터러시 4

2) 가정의 후원과 미디어 리터러시의 발달 5

3) 미디어 이용에 관한 실태 조사 6

3. 연구 방법 8

1) 연구 대상 8

2) 측정 도구 9

3) 자료 처리 및 분석 11

4. 분석 결과 11

1) 미디어교육 경험에 따른 미디어 영향력에 대한 인식 12

2) 미디어교육 경험에 따른 미디어 이용 지도 방식 17

3) 미디어교육 경험에 따른 미디어교육에 대한 요구 19

5. 결론 및 제언 22

참고문헌 25

초록 29

Abstract 30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청소년기 독서 수행 및 인식에 관한 실태 조사 : A survey on reading performance and perception in adolescence : focusing on the reasons for non-reading and aspects of smartphone use / 비독서의 이유와 스마트폰 사용 양상을 중심으로 김혜정, 허모아 p. 9-50

보기
능숙한 독자와 미숙한 독자의 읽기 방식 차이 : Difference in reading method of inexperienced and proficient readers : focusing on the difficulty and appropriateness of vocabulary / 어휘의 난이도와 적절성을 중심으로 신명선, 신희성 p. 51-106

보기
만 3-9세 아동의 미디어 이용에 대한 부모의 인식 및 지도 행위 연구 : Parents' perceptions and guidance behavior on media use of children aged 3-9 years old : focusing on differences in parents' media education experience / 부모의 미디어교육 경험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양길석, 서수현, 옥현진 p. 107-136

보기
독서 복지의 지역 격차에 대한 인식 조사 : Survey on regional disparities in reading welfare : focusing on university students' library use / 대학생의 도서관 이용을 중심으로 류보라 p. 137-160

보기
신문기사에 나타난 독서토론 담론의 비판적 분석 = Critical analysis of discourse on reading discussion in newspaper articles 김명민, 정옥년 p. 161-189

보기
작중인물의 장소 경험과 장소에 대한 정체성 이해에 초점을 둔 소설교육 = Novel teaching focusing on the experience of the place and understanding identity of the place of the characters 선주원 p. 191-219

보기
고등학생 학습자의 상호문화적 인식에 대한 조사연구 : Survey on intercultural perception of high school learners : focusing on the response to the novel Wandeugi / 소설 ≪완득이≫에 대한 반응을 중심으로 장현정, 장성민 p. 221-244

보기

참고문헌 (3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수지, 김영주, 이숙정, 박민규(2020). 2020 어린이 미디어 이용 조사.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미소장
2 김양은(2016). 소셜 미디어 리터러시. 커뮤니케이션북스. 미소장
3 김지선, 이강이(2019). 부모의 미디어 리터러시, 스마트미디어 중재,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사용 시간, 사회적 유능감의 구조적 관계. 아동학회지, 40(6), 한국아동학회, 63-76. 미소장
4 김지연, 김종윤, 서수현, 옥현진(2015). 디지털 리터러시의 정의적 영역 평가 도구개발 방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국어교육학연구, 50(2), 국어교육학회, 205-230. 미소장
5 김현진, 김현영, 김은영, 류향승, 김보윤, 박희락, 최미애(2020). 민주시민육성을위한 미디어리터러시 역량의 의미와 정규교육과정 통합 방안.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1),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473-500. 미소장
6 노들, 옥현진(2020).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통한 미디어 리터러시와 디지털 리터러시 개념의 비교 분석: 신문 기사를 중심으로. 리터러시연구, 11(5), 한국리터러시학회, 103-129. 미소장
7 도남희, 박진아, 예한나(2019). 유아 생활 실태조사를 위한 기초연구(과제번호 2019-01).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미소장
8 박점희(2018). 학부모를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 실천 ‧ 지도 매뉴얼. 한국언론진흥재단. 미소장
9 서수현, 옥현진(2012). 문식성 후원자의 작용 양상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초등국어교육, 48,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63-85. 미소장
10 송요현(2016). 부모-자녀 상호작용 및 미디어 이용정도에 따른 군집유형별 유아문제행동 차이. 한국아동패널연구, 7, 122-144. 미소장
11 안후남, 최명옥, 김영식, 정남수(2019). 청소년의 인터넷 과의존 수준에 따른 이용동기와 디지털 리터러시의 차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6), 학습자 중심교과교육학회, 1345-1363. 미소장
12 양길석, 옥현진, 서수현(2020). 우리나라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의정의적 특성과 가정 변인 간의 관계. 교육논총, 40(1),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199-222. 미소장
13 양정애, 김아미, 박한철(2019). 미디어교육의 재구조화: 21세기 한국의 미디어교육영역 및 구성. 한국언론진흥재단. 미소장
14 유구종, 문주희, 김은아, 최승연(2013). 종이책, 멀티전자책, 스마트전자책을 활용한 이야기꾸미기 활동에서의 가상적 내러티브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8(2), 열린유아교육학회, 389-413. 미소장
15 유구종, 조희정, 김은아, 윤향실(2014). 유아 스마트매체 활용에 따른 상호작용 및사회, 정서 행동 양상 분석: 자유선택활동에서 생태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19(3), 열린유아교육학회, 159-186. 미소장
16 이종숙(2010). 초등학교 인터넷 교육에서의 미디어 개념에 대한 비판적 고찰. 미디어, 젠더 & 문화, 15,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195-235. 미소장
17 정부만, 민성준, 이용한, 한유정(2020). 2019 인터넷이용실태조사. 서울: 한국정보화진흥원. 미소장
18 정현선(2002). 성찰적 문화교육으로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국어교육학연구, 14, 국어교육학회, 387-408. 미소장
19 정현선(2017). 시작하겠습니다, 디지털 육아. 우리학교. 미소장
20 정현선(2020). 인공지능 시대의 미디어 리터러시의 오래된 과제와 새로운 과제. 새국어교육, 125, 한국국어교육학회, 7-37. 미소장
21 정현선, 김아미, 박유신, 전경란, 이지선, 노자연(2016). 핵심역량 중심의 미디어리터러시 교육 내용 체계화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11),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1-238. 미소장
22 정현선, 정혜승, 김정자, 민병곤, 손원숙(2014). 초등학생의 매체 문식 활동에 관한조사 연구. 독서연구, 33, 한국독서학회, 127-170. 미소장
23 한국인터넷진흥원(2007). 유아 및 초등학생의 인터넷 이용 실태 분석. 서울: 한국인터넷진흥원. 미소장
24 Barton, D.(2007). Literacy. UK: Blackwell Publishing. 미소장
25 Bissex, G. L.(1980). Gnys at wrk. Harvard University Press. 미소장
26 Brandt, D.(1998). Sponsors of Literacy. College Composition and Communic ation, 49(2), pp.165-185. 미소장
27 Buijzen, M., Rozendaal, E., Moorman, M., & Tanis, M.(2008). Parent versus child reports of parental advertising mediation: Exploring the meani ng of agreement.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52(4), 509-525. doi: https://doi.org/10.1080/08838150802437180. 미소장
28 Cingel, D. P., & Krcmar, M.(2013). Predicting media use in very young children:The role of demographics and parent attitudes. Communication Studies, 64(4), 374-394. 미소장
29 Donohue, C., & Schomburg, R.(2017). Technology and interactive media in early childhood programs: What we’ve learned from five years of research, policy, and practice. YC Young Children, 72(4), 72-78. 미소장
30 Livingstone, S., & Helsper, E. J.(2008). Parental mediation of children Internet use. Journal of Broadcast & Electronic Media, 52, 309-329. 미소장
31 Purcell-Gates, V.(2000). Family literacy. In M. L. Kamil, P. B. Mosenthal, P. D. Pearson, & R. Barr(Eds.), Handbook of reading research (vol. 3., pp.853-870). Mahwah, NJ: LEA. 미소장
32 Rifkin, J.(2011). The third industrial revolution. New York: Palgrave Macmillan. 미소장
33 Rogoff, B.(1990). Apprenticeship in thinking: Cognitive development in social context. Oxford University Press. 미소장
34 Schwab, K.(2016).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Geneva: World Economic Forum. 미소장
35 Vygotsky, L. S.(1978). Mind in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processes. Harvard university press. 미소장
36 Zimmerman, B. J.(2000). Attaining self-regulation. In M. Boekaerts, P. R. Pintrich and M. Zeidner(Eds.), Handbook of self-regulation (pp.13-39). San Diego: Academic Press.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