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김지하, 「풍자냐 자살이냐」, 『타는 목마름으로』, 창작과비평, 140-156쪽, 1982. | 미소장 |
2 | 박종홍, 「이문열 소설의 권력, 애정, 예술」, 『현대소설연구』6, 1997.6, 71-93쪽. | 미소장 |
3 | 신익호, 「민중 의식적 신앙관과 ‘욕망’의 구조 통한 신앙적 갈등 양상」, 『현대문학이론연구』46, 2011.9, 97-123쪽. | 미소장 |
4 | 에른스트 디터 란터만, 이덕임 역, 『불안사회』, 책세상, 2019. | 미소장 |
5 | 이미영, 「누가 교양소설을 노래하는가 교양 주체의 남성(성) 네트워크와 이문열의 1980년대 텍스트」, 『상허학보』56, 2019.6, 481-524쪽. | 미소장 |
6 | 이병군, 「『사람의 아들』의 노장적 해석」, 『어문론총』77, 2018.9, 177-202쪽. | 미소장 |
7 | 이순원, 「사람의 아들에서 변경까지 문학적 연대기 : 방황, 독서, 여행」, 『작가세계』, 1989.6, 36-46쪽. | 미소장 |
8 | 이신형, 「『사람의 아들』에서 제기된 신학적인 질문」, 『신학과 사회』29, 2015, 43-75쪽. | 미소장 |
9 | 이철호, 「황홀과 비하 한국 교양소설의 두 가지 표정 이광수와 이문열을 중심으로」, 『상허학보』37, 2013, 321-361쪽. | 미소장 |
10 | 이철호, 「장치로서의 연좌제」, 『현대문학의 연구』, 2015.6, 369-396쪽. | 미소장 |
11 | 정일, 「이문열 「사람의 아들」의 구조주의적 분석」, 『인문학연구』81, 2010, 65-89쪽. | 미소장 |
12 | 정주아, 「이념적 진정성의 시대와 원죄 의식의 내면」, 『민족문학사연구』54, 2014, 7-33쪽. | 미소장 |
13 | 조남현, 「소설 공간의 확대와 사상의 실험」, 『작가세계』, 1989.6, 70-82쪽. | 미소장 |
14 | 폴 존슨, 김주한 역, 『2천 년 동안의 정신』1, 살림, 2005.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3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