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how solution-focused thinking and social support affect parenting stress in full-time versus part-time working mothers with children in early elementary school. The study included 90 part-time working mothers and 125 full-time working mothers, who were married and had children in early elementary school aged from 7 to 9. Parenting Stress Scale for Parents of School-Aged Children, Solution-Focused Inventory(SFI), and Social Support Scale were used to conduct separate surveys on both the spouse and the non-spouse member of the subjects.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25.0 to carry out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arenting stress of part-time working mother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full-time working mothers. Solution-focused thinking and the resource activation area, sub-domains of solution-focused thinking,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full-time working mothers. Additionally, the non-spouse social support and all sub-domains of social support factor were perceived to be relatively high by part-time working mothers. Second, only the problem disengagement of solution-focused thinking had a negative effect on parenting stress in part-time working mothers. Also parenting stress of full-time working mothers was influenced negatively by the problem disengagement of solution-focused thinking and emotional support by the non- spouse.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매체 탐색을 통한 만다라 미술활동이 만2세 영아의 사회정서 유능성과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Mandala art activity through exploring materials on social-emotional competence and problem behavior of 2-year-old infants 홍지행, 조안나 p. 1-21

초등학교 저학년 자녀를 둔 취업모의 해결중심사고와 사회적지지가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solution-focused thinking and social support on parenting stress in working mothers with children in early elementary school 유정민, 어주경 p. 23-39

중학생의 사회적 위축이 사이버비행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social withdrawal on cyber delinquency behavior of middle school students : the moderated mediating roles of active physical exercise through smartphone dependency / 스마트폰 의존도를 통한 적극적 신체운동의 조절된 매개효과 홍지연, 김윤경, 박주희 p. 41-64

기혼남녀의 성인애착과 결혼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자기분화의 매개효과 검증 = Verification of the mediated effect of self-differenti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marriage satisfaction in married men and women 신소희, 김정은, 남영주 p. 65-83

베이비부머의 자기효능감과 좋은 죽음 인식이 사전연명의료의향서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baby boomers’ self-efficacy and the perception of a good death on attitudes toward advance directives : the mediational role of family support / 가족 지지 매개 효과로 신미헌, 손서희 p. 85-99

코로나19 상황하 저소득 독거노인의 생활경험 연구 = A study on the life experiences of low-income elderly living alone under the situation of pandemic COVID-19 disease 박정란, 황세인 p. 101-118

참고문헌 (41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희경(2003). 학동기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척도 개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2), 31-38. 미소장
2 곽수정(2010). 초등학생 부모의 스트레스와 우울에 대한 연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학위 청구논문. 미소장
3 김선미, 김정민(2020). 영유아 자녀를 둔 어머니의 SNS 상의 사회비교가 양육불안에 미치는 영향: 배우자 및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8(1), 93-109.doi:10.7466/JKHMA.2020.38.1.93 미소장
4 문혁준(2004).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 대한가정학회지, 42(11), 109-122. 미소장
5 박정열, 손영미, 신규리(2016). 기혼 직장여성의 사회적지지가 일과 삶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지, 11(1), 69-81.doi:10.21097/ksw.2016.02.11.1.69 미소장
6 박지원(1985). 사회적지지 척도 개발을 위한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미소장
7 박혜란(2014). 양질의 여성 시간제 일자리 창출 방안. 고려대학교 정책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미소장
8 서경희, 곽원준, 심지현(2015). 경력단절여성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적응성에미치는 영향. 취업진로연구, 5(4), 57-88.doi:10.35273/jec.2015.5.4.003 미소장
9 손수민(2012). 영아기 자녀를 둔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 비교와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9(1), 331-357. 미소장
10 양진희(2016).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사회적지지와 양육스트레스 사이의 종단적 관계 분석. 유아교육연구, 36(1), 385-402. doi:10.18023/kjece.2016.36.1.017 미소장
11 엄지원(2011). 한국 영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예측 변인: 사회인구학적 특성, 영아특성,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 부부관련 특성,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2 윤은주, 어주경(2015). 해결중심 사고척도(Solution-Focused Inventory: SFI)의 요인구조분석. 해결중심치료학회지, 2, 1-19. 미소장
13 이미지(2017). 뇌성마비자녀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해결중심사고와 가족탄력성의 영향.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미소장
14 이선아(2014). 양육스트레스가 취업모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석사학위 청구논문. 미소장
15 이세인, 이숙현, 권영인(2007). 가족의 지원 및가족친화적 조직 문화가 사무직 취업모의일-가족 갈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2(3), 29-57. 미소장
16 이소영, 김은정, 박종서, 변수정, 오미애, 이상림, 이지혜(2018).『2018년 전국 출산력 및가족보건⋅복지 실태조사』, 세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미소장
17 이정숙, 강기정(2015). 경력단절여성의 희망근로형태 (시간제/전일제) 에 영향을 미치는재취업결정요인. 인적자원개발연구, 18(4), 23-51. 미소장
18 이현아, 김선미, 이승미(2012). 외국계기업사례분석을 통한 유연근무제활성화방안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0(2), 173-187.doi:10.7466/JKHMA.2012.30.2.173 미소장
19 장소현(2019). 취업모가 인지한 배우자지지가유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미소장
20 전은다, 김민주(2019). 영유아기 자녀를 둔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부부갈등, 사회적지지, 유아교육기관만족도 및 가족친화제도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3(1), 61-81. 미소장
21 정민수(2018). 기혼여성 시간제일자리의 상태 의존성 (state dependence) 변화. 한국노동경제학회, 41(3), 95-128. 미소장
22 정은영, 강민주(2015). 맞벌이 가정 어머니의양육지식과 직무만족도 및 배우자의 지지가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육아정책연구, 9(1), 201-226. 미소장
23 정지나(2016). 유아기 자녀를 둔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 관련 변인에 관한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25(6), 665-679.doi:10.5934/kjhe.2016.25.6.665 미소장
24 정현지(2004). 여성가구주의 자녀양육부담이취업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미소장
25 차삼숙, 신유림(2005). 유아기 자녀를 둔 취업모의양육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생활과학연구논집, 25, 163-181. doi:10.5934/kjhe.2016.25.6.665 미소장
26 최은아(2018).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관련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생태유아교육연구, 17(4), 193-219.doi:10.30761/ecoece.2018.17.4.193 미소장
27 황우상, 이숙현, 이나련(2012). 비표준근무를하는 취업모의 일상적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7(1), 87-112. 미소장
28 Abidin, R. R. (1992).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behavior.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21(4), 407-412. doi:10.1207/s15374424jccp2104_12 미소장
29 Belsky, J., Crnic, K., & Woodworth, S. (1995). Personality and parenting: Exploring the mediating role of transient mood and daily hassles. Journal of personality, 63(4), 905-929.doi:10.1111/j.1467-6494.1995.tb00320.x 미소장
30 Booth, A. L., & Van Ours, J. C. (2013). Part-time jobs: What women want? Journal of Population Economics, 26(1), 263-283. doi:10.1007/s00148-012-0417-9 미소장
31 Clinebell, S. K., & Clinebell, J. M. (2007). Differences between part-time and full-time employees in the financial services industry. Journal of Leadership & Organizational Studies, 14(2), 157-167.doi:10.1177/1071791907308053 미소장
32 Cohen, S., & Willis, T. (1985).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etin, 98(2), 310-357. doi:10.1037/0033-2909.98.2.310 미소장
33 Corey, G. (2016). Theory and Practice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Cengage Learning. 미소장
34 Deater-Deckard, K. (2008). Parenting stress. Yale University Press. 미소장
35 Grant, A. M., Cavanagh, M. J., Kleitman, S., Spence, G., Lakota, M., & Yu, N. (2012).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olution-focused inventory. The Journal of Positive Psychology, 7(4), 334-348.doi:10.1080/17439760.2012.697184 미소장
36 Holahan, C. K., & Gilbert, L. A. (1979). Interrole conflict for working women: careers versus job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64(1), 86. doi:10.1037/0021-9010.64.1.86 미소장
37 Lazarus, R. S., & Folkman, S.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Springer publishing company. 미소장
38 Xu, Y., & Burleson, B. R. (2004). The association of experienced spousal support with marital satisfaction: Evaluat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sex, ethnic culture, and type of support. The Journal of Family Communication, 4(2), 123-145. doi:10.1207/s15327698jfc0402_3- Web-site 미소장
39 보건복지부. https://www.mohw.go.kr/ “저출산 대응과 아동, 가족 정책을 위해 OECD와 머리 맞댄다” 보도자료. 미소장
40 통계청. http://kostat.go.kr/ [2018 일․가정 양립지표]. 미소장
41 KB경영연구소. https://www.kbfg.com/ [2019 한국 워킹맘보고서]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