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동아시아 ‘육유’는 중국 明代에 탄생하였으나 청대 중기에 민중 교화의 덕목으로 수용된 후 『육유연의』가 되어 유구국의 程順則에 의해 당시 유구 사회와 일본에 전해져 일본의 봉건제도 유지 존속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특히, 이 『육유연의』는 일본에 널리 전파되어 선풍적인 인기를 끈 후 식민지 시대에 조선에도 전파·수용되었다. 그러나 한국에서의 ‘육유’ 혹은 『육유연의』의 조선 수용에 관한 연구는 아직 활성화되지 않은 상태이다. 즉 이미 1500년대의 조선 향약에 ‘육유’가 접목되고, 근대 식민지 시대에 일본으로부터 유입된 『육유연의』의 판본이 존재할 뿐만 아니라, ‘육유’가 일본식민지 시대의 황민화 교육에 사용되었음에도 현재 한국 학계에서 ‘육유’에 대한 인식은 거의 없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중국·유구·일본·조선’으로 이동한 『육유연의』의 동아시아 각국에서의 수용과 변용 중에서도 일본과 중국에 비해 선행연구가 거의 없는 조선 향약의 ‘육유’ 도입과 수용, 유학자들의 ‘육유’ 인식과 보급 등을 중심으로 조선에서의 ‘육유’ 및 『육유연의』의 수용 및 변용에 관해 고찰하였다.
The East Asian “Yukyu” was born in the Ming Dynasty of China, but after being accepted as a virtue of folk culture in the mid Qing Dynasty, it was introduced to Japan by the Yugugu State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maintaining Japan's feudal system. In particular, this yukyuyeon was widely introduced to Japan and became popular and was also introduced and accepted to Joseon during the colonial period. However, research on the acceptance of “Yukyu” or Yukyuyeon in Korea has yet to be activated. In other words, there is little awareness of “meat oil” in Korean academia, even though “meat oil” was incorporated into Joseon's incense in the 1500s, and there was a version of “meat oil” introduced from Japan during the modern colonial era.
Therefore, this paper considered the acceptance and transformation of Yuk Yu-yeon, who moved to China, Yugu, Japan, and Joseon, introducing and accepting the “Yuk Yu-yeon” in Joseon, which has little prior research compared to Japan and China.*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