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고는 소동파의 적벽선유 재연을, 조선조 상주 낙동강권 문인들의 시회 시문집인 『임술범월록(壬戌泛月錄)』을 중심으로 고찰하고 있다.

그들은 적벽선유의 문화모델을 채택하면서, 그것을 창조적으로 변용하여, 자기화, 지역화하고 있다. 이에는 밝은 달 아래 술을 마시고 시문을 읊으며 담소를 즐기는 풍류가 녹아있다. 특히 유학 도맥(道脈)의 계승이나 우국충정에 관련한 것은 다른 지역의 선유에서는 보기 쉽지 않은 독특한 면모로, 선비정신이 표현되어 있다. 이 선유 시회는 구성원간의 소통과 화합단결의 무대이기도 하다.

조선조 상주권 문인의 소동파 적벽선유 재연 풍조는 중국으로부터 조선으로의 문화의 이동이라고 할 수 있다. 소동파 「적벽부」 모델의 수용 풍조와 유학 도맥의 계승 이 두 축은 때로 맞서면서도 상호 보완적인 작용을 하고 있어, 이중주가 되고 있다.

상주 낙강(洛江) 범주(泛舟) 시회는 고려 이규보(李奎報: 1196)로부터 조선 후기 1862년까지 666년간 51회나 지속된 상주 낙동강 선유 창작모임이다. 특히 『임술범월록』은 171년간(1607∼1778년) 대대로 이어진 문단 활동의 기록으로, 지금까지의 기록상으로는 중국에서도 유례를 찾을 수 없고, 동아시아는 물론 세계 최장의 선유 시회의 시문집으로 추정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고소설의 못난 사위담을 활용한 자기 서사 글쓰기 : Writing of self-narrative using the story of foolish son-in-law in old novels : centered on Yi-kyeongjak, So-daesung, Songi / ‘이경작, 소대성, 손기’를 중심으로 김용기 p. 5-36
<바보사위> 설화 속 '지적장애'의 징후 : Signs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 folklore of the <Foolish Son-in-Law> : wife's family understanding and accepting of son-in-law's compulsory memorandum / 사위의 암기강박과 처가의 이해와 수용 김용선 p. 37-69
월극 춘향전의 시대적 음악 양상 = Periodic music modality of Yue opera Chunhyangjeon 박은옥 p. 71-98
일제강점기 과학소설과 희곡에 나타나는 노동문제 양상 : Japanese colonial era aspects of labor problems in science fiction and play : focusing on 『Utopia』 by Japanese writer Jeong Yeon-gyu and 『Artificial Workers』 by Park Young-hee / 재일작가 정연규의 소설 『이상촌』과 박영희의 번안 희곡 『인조노동자』를 중심으로 엄학준, 모희준 p. 99-129
베트남전쟁 소설에 나타난 기억의 서사 분석 = The analysis into the narratives of memories in the novels about the Vietnam War : 방현석의 「존재의 형식」, 「랍스터를 먹는 시간」을 중심으로 김자영 p. 131-156
1950년대 북-소 공동제작 영화에 나타난 북한무용의 트랜스 컬처성 연구 : A study on the transculturality of North Korean dance in the North Korean-Soviet co-produced films in the 1950s : focusing on <The Story of Sado Castle> and <Brothers> / <사도성의 이야기>와 <형제들>을 중심으로 양민아 p. 157-189

조선조 한문학에 나타난 소동파 '적벽선유'의 재연 연구 : A study on the reenactment of Su Dongpo's Chibi boating excursion in Sino-Korean literature during the Joseon Dynasty : focusing on the『Imsulbeomwolrok(壬戌泛月錄)』 / 『임술범월록(壬戌泛月錄)』을 중심으로 조규백 p. 191-227

맥국(貊國) 문화 편린의 스펙트럼 = Spectrum of Macguk a piece of culture 강명혜 p. 229-270

참고문헌 (3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孔凡禮 點校, 蘇軾文集(全6冊), 中華書局, 北京, 1990. 미소장
2 류종목, 소동파 문학의 현장 속으로(1-2),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5. 미소장
3 왕수이자오 지음, 조규백 옮김, 소동파 평전 - 중국의 문호 소식의 삶과 문학, 돌베개, 2013. 미소장
4 蘇東坡 著, 조규백 역주, 蘇東坡詞選, 문학과지성사, 2007. 미소장
5 蘇東坡 著, 조규백 역주, 역주 蘇東坡散文選, 백산출판사, 2011.수정판 (2005, 초판) 미소장
6 조규백, 한국 한문학에 끼친 소동파의 영향, 명문당, 2016. 미소장
7 池澤滋子, 日本的赤壁會和壽蘇會, 上海人民出版社, 2008. 미소장
8 鄒同慶, 王宗堂, 蘇軾詞編年校註(上中下), 中華書局, 2002. 미소장
9 權泰乙 譯註, 譯註 洛江泛月詩, 아세아문화사, 2007. 미소장
10 李德弘, 艮齋集, 韓國文集叢刊 51집. 미소장
11 李頥淳, 後溪集, 韓國文集叢刊 269집. 미소장
12 李㙉, 月澗集, 韓國文集叢刊 속10집. 미소장
13 李埈, 蒼石集, 韓國文集叢刊 64∼65집. 미소장
14 李滉, 退溪集, 韓國文集叢刊 29∼31집. 미소장
15 趙靖, 黔澗集, 韓國文集叢刊 61집. 미소장
16 詳說古文眞寶大全, 보경문화사, 1995. 미소장
17 권태을, 尙州漢文學硏究 - 상주지역을 중심으로, 문창사, 2005. 미소장
18 변종현, 고려조한시연구- 唐宋詩 수용양상과 한국적 수용, 태학사, 1994. 미소장
19 楊文生 著, 이태형 역, 중국 詞譜의 이해, 학고방, 2018. 미소장
20 吳楚材, 吳調侯 編, 崔奉源 譯註, 古文觀止譯註(1∼5), 역락, 2013. 미소장
21 王甦 著, 李章佑 譯, 退溪詩學, 退溪學硏究院, 1981. 미소장
22 韋旭昇 著, 이해산, 우쾌재 공역, 한국문학에 끼친 중국문학의 영향, 아세아문화사, 1994.1 미소장
23 姜慶熙 , 「조선시대 東坡 「赤壁賦」의 수용 - 赤壁船遊와 「赤壁賦」倣作을중심으로」, 중국어문학논집 61집, 중국어문학연구회, 2010.4. 405∼425쪽. 미소장
24 권태을, 「洛江詩會 硏究 - 尙州圈 낙동강을 중심으로」, 한문학연구 - 상주지역을 중심으로, 문창사, 2005. 157〜224쪽. 미소장
25 孫有珍, 「壬戌泛月錄에 나타난 공간인식의 양상과 의미」,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논문, 2011.12. 1〜112쪽. 미소장
26 禹埈浩, 「蘇東坡辭賦硏究」, 한국외국어대 대학원 박사논문, 1990.8. 1〜257쪽. 미소장
27 이상균, 「조선시대 船遊文化의 양상과 그 폐단」, 국학연구 27, 한국국학진흥원, 2015.8. 215∼329쪽. 미소장
28 정우락, 「조선중기 江岸지역의 문학활동과 그 성격 - 낙동강 중류 지역을중심으로 한 하나의 시론」, 한국학논집 40,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10.6. 203〜257쪽. 미소장
29 조규백, 「朝鮮朝 漢文學에 나타난 蘇東坡 前後 「赤壁賦」의 受容과 ‘赤壁船遊’의 再演」, 중국학연구 67, 중국학연구회, 2014.3. 127∼147쪽. 미소장
30 조규백, 「천고의 명작 소동파 「赤壁賦」의 문학세계 탐색」, 제주문학 35집, 한국문인협회 제주도지회, 2001.8. 307〜329쪽. 미소장
31 조규백, 「조선조 한문학에 나타난 소동파 ‘적벽선유’의 재연 연구 - 한강권을중심으로」, 한국문학과 예술 30, 숭실대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9.6. 5∼37쪽. 미소장
32 曾棗莊, 「“赤壁何須問出處” - 中日韓赤壁之遊」, 中國典籍與文化, 2010, 03期. 131∼137쪽. 미소장
33 許捲洙, 「蘇東坡詩文의 韓國的 受容」, 中國語文學 14집, 嶺南中國語文學會, 1988. 7. 49∼69쪽.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