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강민희(2005), 웰빙트렌드 신제품 개발을 위한 소비자 가치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 |
고은희(2019), 호텔 이용 고객의 친환경 행동의도결정과정 연구: 규범 활성화 모델을 중심으로, 호텔경영학연구, 28(7), 37-56. |
미소장 |
3 |
권영국⋅김영중⋅윤혜현(2012), 리조트의 소비가치와 서비스 품질이 소비자 만족에 미치는 영향, 호텔경영학연구, 21(3), 69-85. |
미소장 |
4 |
김건휘(2013), 호텔 종사자의 친환경 사명가마에 미치는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가천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5 |
김병수(2016), 커피 전문점의 인지된 가치가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실용적, 유희적, 사회적가치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4), 195-203. |
미소장 |
6 |
김연신(2004), 친환경 행동과 친환경 소비주의의 결정요인들, 한국광고홍보학보, 6(4), 7-49. |
미소장 |
7 |
김윤서⋅신형철(2020), 친환경 의식과 소비가치, 친환경 브랜드 인지도, 행동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외식경영연구, 23, 7-28. |
미소장 |
8 |
김주현(2018), 친환경 호텔을 방문하는 고객의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확장된 계획행동 이론을 중심으로, 관광학연구, 42(2), 29-46. |
미소장 |
9 |
김희주(2015), 호텔 베이커리 이용객의 소비가치가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레저연구, 27(11), 155-174. |
미소장 |
10 |
동아닷컷(2020. 10. 30), 윤리적 소비 가치 중시 MZ 세대와 함께 가치소비 이끌어가는 브랜드는?,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01029/103703930/2 |
미소장 |
11 |
류은정(2002), 의복소비가치가 인터넷 의류쇼핑몰의 서비스품질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52(3), 61-169. |
미소장 |
12 |
박종철⋅최현정(2019), 호텔기업의 소비가치, 브랜드 이미지, 소비자의 사회적 가치 및 구매의도간의 구조적관계, 호텔경영학연구, 28(7), 57-70. |
미소장 |
13 |
서예정⋅한진수(2020), 친환경 호텔 투숙객의 환경에 대한 인식이 고객만족과 행동의도에 미치는영향 연구, 관광레저연구, 32(3), 235-252. |
미소장 |
14 |
성영애(2005), 인천지역 성인소비자의 환경의식과환경의식적 행동에 관한 연구, 가정과삶의질연구, 23(3), 35-51. |
미소장 |
15 |
세계일보(2020. 12. 06), 2020년 지구 가장 열받았던해 ‘Top3’ 든다, http://www.segye.com/newsView/20201206513310?OutUrl=naver |
미소장 |
16 |
안소영⋅한진수(2017), 호텔의 친환경 경영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호텔경영학연구, 26(2), 1-18. |
미소장 |
17 |
이성각⋅조현진⋅박정수(2015), 특급호텔의 친환경 경영이 고객만족과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호텔경영학연구, 24(7), 19-34. |
미소장 |
18 |
이유경(2015), 중국 소비자의 신생태적 패러다임과환경지식이 친환경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환경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무역통상학회지, 15(3), 251-270. |
미소장 |
19 |
이윤희(2011), 개인소비가치에 따른 베이커리 유기농제품의 태도 및 관심도가 구매 후 만족도에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20 |
이종호⋅노정구⋅김인숙(2000), 환경의식적 소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경영학연구, 29(2), 171-195. |
미소장 |
21 |
이충기(2017), 관광조사통계분석, 서울, 대왕사. |
미소장 |
22 |
이현주(2015), 소비자의 가치가 친환경 구매행동에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환경태도와 관여도의조절적 역할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23 |
조민호⋅문승일(2008), 환경 친화적인 호텔 객실 속성에 관한 연구, 호텔경영학연구, 17(1), 1-16. |
미소장 |
24 |
허경석(2019), 호텔 그린마케팅에 대한 소비자 행동요인에 관한 연구: 밀레니얼 세대를 중심으로, 관광레저연구, 31(4), 271-290. |
미소장 |
25 |
현재천⋅김성섭⋅오문향(2011), 친환경 호텔 속성 지각 차이에 관한 연구, 관광연구, 26(1), 435-457. |
미소장 |
26 |
현재천⋅오문향(2012), 호텔직원의 친환경 호텔 환경속성 지각 차이에 관한 연구, 관광연구, 27(1), 513-534. |
미소장 |
27 |
홍정화(2020), MZ세대의 가치가 식품 친환경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호텔리조트연구, 19(4), 201-220. |
미소장 |
28 |
환경부(2020), 환경보전에 관한 국민의식조사,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456 |
미소장 |
29 |
Abraham, J., Pane, M., & Chairiyani, R.(2015), An investigation on cynicism and environmental self-efficacy as predictors of pro-environmental behavior, Psychology, 6, 234-242. |
미소장 |
30 |
Bandura, A.(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W. H. Freeman and Company. |
미소장 |
31 |
Baron, R. M., & Kenny, D. A.(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 |
미소장 |
32 |
Chen, A., & Peng, N.(2012), Green hotel knowledge and tourists' staying behavior, Annals of Tourism Research, 39(4), 2211-2219. |
미소장 |
33 |
Han, H.(2015), Travelers' pro-environmental behavior in a green lodging context: Converging valuebelief-norm theory and the theory of planned bahavior, Tourism Management, 47, 164-177. |
미소장 |
34 |
Holbrook, M. B.(2006), Consumption experience, customer value, and subjective personal introspection:An illustrative photographic essay,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59(6), 714-725. |
미소장 |
35 |
Huang, H.(2016), Media use, environmental beliefs, self-efficacy, and pro-environmental behavior,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69(6), 2206-2212. |
미소장 |
36 |
Hungerford, H. R., & Volk, T. L.(1990), Changing learner behavior through environmental education, The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21(3), 8-21. |
미소장 |
37 |
Kaiser, F. G., & Gutshcer, H.(2003), The proposition of a general version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Predicting ecological behavior,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33(3), 586-603. |
미소장 |
38 |
Kinnear, T. C., & Taylor, J. R.(1973), The effect of ecological concern on brand perception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0(2), 191-197. |
미소장 |
39 |
Kollmuss, A., & Agyeman, J.(2002), Mind the gap:Why do people act environmentally and what are the barriers to pro-environmental behavior?,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8(3), 239-260. |
미소장 |
40 |
Peattie, K.(2001), Golden goose or wild goose? The hunt for the green consumer, Business Strategy and the Environment, 10(4), 187-199. |
미소장 |
41 |
Rice, G., Wongtada, N., & Leelakulthanit, O.(1996), An investigation of self-efficacy and environmentally concerned behavior of Thai consumers, Journal of International Consumer Marketing, 9(2), 1-19. |
미소장 |
42 |
Sheth, J. N., Newman, B. I., & Gross, B. L.(1991), Consumption values and market choices: Theory and applications, Cincinnati, OH, South-Western Pub. |
미소장 |
43 |
Webster, F. E.(1975), Deter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ly conscious consumer,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3), 188-196. |
미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