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18세기 '풍속'의 발견 : 유득공의 풍속 관련 기록의 내용과 그 성격 = The discovery of the 18th century 'custom' : contents and features of Yoo Deuk-gong's records on custom / 鄭煥局 1

目次 1

국문요약 1

I. 전통시대 '풍속'의 함의와 양가성 2

II. 유득공, 세시와 풍속을 기록하다 5

III. 18세기 후반 조선과 접경지의 풍속 9

1. 한양 풍속의 구도 10

2. 지방과 접경 지역, 해외의 풍속 습유 13

IV. 유득공의 풍속 기록의 성격과 시각 17

V. 남은 문제 23

참고문헌 25

Abstract 26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기자조선은 사실인가 허구인가 = Fiction or reality? The problem of Kija Joseon in ancient Korean history 韓永愚 p. 1-40

보기
强首와 冶家之女 = Kang Soo & the blacksmith's daughter 徐榮敎 p. 41-62

보기
삼성산 안양사지 <중초사지당간지주명문>과 <안양사탑비>의 성격에 대한 재검토 = Re-understanding the inscription on the flagpole support and the stele for a 12th century monk in Anyang-sa temple at Mt. Samseong 崔鈆植 p. 63-94

보기
광해군대 仁慶宮 건립과 '仁王山王氣'說 : Construction of Inkyung-gung Palace(仁慶宮) during the reign of King Gwanghaegun and the view of King's fortune in Inwangsan mountain(仁王山王氣說) : Correlationship with enthronement sites of King Seonjo(宣祖) / 宣祖 즉위 사적과의 상관성 尹晶 p. 95-133

보기
조선후기 함경도 지역민의 국가의식 = National awareness of Hamgyeong-do People in the late Joseon Dynasty 姜錫和 p. 135-160

보기
식민지기 유교 지식인의 도시 이주와 일상생활 : Migration to the city and daily life of Confucian intellectual in Japanese colonial era : a focus on the social life of Hae-ak(海岳) Kim Kwang-Jin(金光鎭) and the meaning of 'the traditional' / 신간회 대구지부장 해악 김광진의 사회생활과 '전통적인 것'의 의미를 중심으로 朴芝賢 p. 161-187

보기
서거정의 황화수창과 문학적 대결의식 = Seo Geo-jeong's Hwanghwasuchang and consciousness of literary confrontation 金德秀 p. 189-220

보기
세조-성종연간 서거정의 저술과 편찬 활동 = Sŏ Kŏjŏng's writings and book compilations sponsored by government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 and King Sŏngjong 魯耀翰 p. 221-259

보기
활자본 『楞嚴經諺解』의 傍點 校正 연구 = On the revision of side dots in the revised Neungeom kyeong eonhae(a movable-type edition) 兪弼在 p. 261-296

보기
3·1독립선언서의 진본 확정을 위한 국어학적 고찰 : A linguistic approach for confirming the original copy of the "Proclamation of Korean Independence" : focusing on the Boseongsa and the Sinmungwan editions / 보성사판과 신문관판을 대상으로 鄭敬在 p. 297-330

보기
서남방언의 '-느-' 탈락의 형태음운론적 해석 = Morphophonological aspects on '-nɨ-' deletion in Southwestern Korean : focusing on the simplification of alternation and analogical change : 교체의 단순화 및 유추 변화의 관점에서 金泳圭 p. 331-351

보기
'今聲'과 '生趣'의 관점에서 본 유득공 시의 제재와 문예미 = Topic and beauty of literary art of Yu Deuk-gong's poetry from the point of view of a sound that reflects today's sentiments and a lively mood 申翼澈 p. 355-384

보기
18세기 백탑동인과 청조문사 교유의 공감정서 = A shared sense felt by intellectuals of the Joseon and Qing dynasties in the 18th century : 유득공의 백탑청연시절 시를 중심으로 李澈熙 p. 385-406

보기
유득공의 검서관 활동과 고증학적 면모 = Aspect of Yu Deukgong as Gumseogwan and scholar of evidential learning 孫惠莉 p. 407-427

보기
18세기 '풍속'의 발견 : The discovery of the 18th century 'custom' : contents and features of Yoo Deuk-gong's records on custom / 유득공의 풍속 관련 기록의 내용과 그 성격 鄭煥局 p. 429-455

보기
18세기 古代史 硏究의 談論과 柳得恭 = Research discourse on ancient history and Yu Deukgong in 18th century 許太榕 p. 457-488

보기

참고문헌 (2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시경』 미소장
2 『莊子』 미소장
3 成俔, 『慵齋叢話』 미소장
4 유득공, 『京都雜誌』 미소장
5 유득공, 『古芸堂筆記』 미소장
6 유득공, 『熱河紀行詩註』 미소장
7 유득공, 『泠齋集』 미소장
8 柳得恭, 『燕臺再游錄』 미소장
9 姜浚欽, 『三溟詩話』 미소장
10 李鈺, 『鳳城文餘』 미소장
11 李遇駿, 『夢遊野談』 미소장
12 李圭景, 『五洲衍文長箋散稿』 미소장
13 櫻井秀, 『日本風俗史槪說』, 岩波書店, 1931. 미소장
14 張亮采 編, 『中國風俗史』, 臺灣商務印書館, 1977. 미소장
15 에두아르트 푹스, 이기웅ㆍ박종만 옮김, 『풍속의 역사 Ⅳ-부르주아의 시대』, 까치, 1986. 미소장
16 정승모 외, 『조선시대세시기』, 국립민속박물관, 2007. 미소장
17 실시학사 고전문학연구회 옮기고 엮음, 『열하를 여행하며 시를 짓다』, 휴머니스트, 2010. 미소장
18 홍석모저․장유승 역해, 『동국세시기-동아시아 문화의 보편성으로 조선의 풍속을 다시 보다』, 아카넷, 2016. 미소장
19 실시학사 고전문학연구회, 『영재 유득공의 영재집』, 학자원, 2020. 미소장
20 김윤조 외 교점, 『교감표점 고운당필기』, 한국고전번역원, 2020. 미소장
21 김영진, 「유득공의 생애와 교유, 연보」, 『대동한문학』 27집, 대동한문학회, 2007. 미소장
22 나경수, 「영재 유득공 『경도잡지』의 민속문화론적 가치」, 『대동한문학』 27집, 대동한문학회, 2007. 미소장
23 김윤조, 「『경도잡지』 연구」, 『동양한문학연구』 32집, 동양한문학회, 2011. 미소장
24 조성산, 「18세기 후반∼19세기 전반 조선의 세시풍속과 일상의 기술」, 『역사교육』 120집, 역사교육연구회, 2011. 미소장
25 이철희, 「유득공의 연행과 동아시아 소통의 문학」, 『실학파문학연구』(이지양 외), 사람의무늬, 2012. 미소장
26 박은정, 「조선후기 세시풍속, 그리고 일상-세시기, 세시기속시를 중심으로」, 『동아시아문화연구』 58집,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14.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