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한강주유아회도첩》은 1811년 문인관료들이 한강 일대를 유람하고 쓴 시문과 그림, 그리고 발문이 합쳐진 시서화합벽첩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 아회도첩이 제작된 배경과 아회에 참여한 구성원들이 누구였는지 유람의 여정 을 좇아 추정해보았다. 1박 2일의 일정 동안 이루어진 한강 유람에는 이시수(1745-1821)를 비롯한 그의 교유범위 내에 있는 지인들이 참여했을 것으로 사료된다. 아회도첩에 등장하는 “개석”이나 “건재”라는 이름은 개석정과 급건 재를 가리키는데 모두 이시수의 호이며 그가 한강변 금호에 지은 별서이다. 아회도첩의 그림 중 이인문이 그린 <개 석만조>와 <건재행배>, <재각관기>는 개석정과 급건재를 그린 것으로, 아회의 일정 중 중심이 되는 중요한 장소이 다. 따라서 개석정과 급건재의 주인이었던 이시수가 이 아회의 일원이며 아회에 참여했던 백사와 유사의 인물들 역 시 그와 교유관계에 있던 인물들로 한정시킬 수 있겠다. 아회도첩의 발문을 썼던 ‘하서우자’ 또한 西湖의 ‘덕은병사’ 에서 거하던 김재찬이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한강주유아회도첩》은 한강주유의 유람문화의 새로운 측면을 볼 수 있었던 동시에 한강 琴湖의 유명한 누정으로서 급건재와 개석정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문인사대부의 사적이며 자유 로운 모임, 즉 배를 타고 시를 짓고, 술을 마시고 바둑을 두거나 저녁경치를 구경하거나, 소동파처럼 보름달이 뜬 밤 뱃놀이를 하거나 고기잡는 것을 보거나 활을 쏘는 것과 같은 다양한 아회활동의 일면을 살필 수 있는 작품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조선시대 밀양 지역 명승 형성양상 : Formation of famous spots in Miryang area during the Joseon Dynasty : focusing on The Ten Scenes of Miryang and The Twelve Scenes of Geumsidang / 「밀양십경」·「금시당십이경」을 중심으로 김지현 p. 41-65

신경준 『산수고』와 『산경표』의 내용비교 = Comparison of the contents on Sin Gyeongjun's Sansugo(山水考) and Sangyeongpyo(山經表) 도도로키 히로시 p. 95-111

국립중앙박물관 및 수원광교박물관 소장 「金剛山風景計劃案」·「金剛山探勝施設計劃案」 연구 = A study on plan for the landscape of Mt. Geumgang and Plan on Mt. Geumgang sightseeing facilities in National Museum of Korea and SuwonGwangGyo Museum 김지영 p. 167-202

『天下全輿總圖』에 대한 비판적 고찰 = A critical study on Tianxia Quanyu Zongtu(天下全輿總圖) 오상학 p. 67-93
1811년 ≪漢江舟遊雅會圖帖≫ 연구 = A study on Han-gang Juyu Ahoe Docheop(漢江舟遊雅會圖帖) in 1811 김소영 p. 113-139
지도를 통해 본 조선과 청의 定界와 변경 인식의 변화 = The changes in the recognition of northern areas before and after decision boundaries between Joseon and Qing through the maps in the reign of King Sukjong 정은주 p. 5-39

일본 동양문고 소장 필사본 『대동여지도』(18첩) 연구 : A study on Daedongyeo-jido(大東輿地圖, 18 folders) in toyo bunko : comparative study with edition of National Library of Korea / 한국 국립중앙도서관본과 비교를 중심으로 김기혁 p. 142-166

참고문헌 (61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屐園遺稿』 미소장
2 『金陵集』 미소장
3 『及健齋漫錄』 미소장
4 『茶山詩文集』 미소장
5 『斗室存稿』 미소장
6 『承政院日記』 미소장
7 『新增東國輿地勝覽』 미소장
8 『安和堂私集』 미소장
9 『日省錄』 미소장
10 『海石遺稿』 미소장
11 『弘齋全書』 미소장
12 강관식, 2001, 『조선후기 궁중화원연구』, 상․하, 돌베개. 미소장
13 강명관, 2001, 『조선시대 문학예술의 생성 공간』, 소명출판. 미소장
14 고연희, 2001, 『조선후기 산수기행예술 연구」, 일지사. 미소장
15 서울역사박물관, 2018, 『京江, 광나루에서 양화진까지」, 서울역사박물관. 미소장
16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2012, 『서울의 누정」,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미소장
17 송희경, 2008, 『조선후기 아회도」, 다할미디어. 미소장
18 오주석, 2007, 『이인문의 강산무진도」, 신구문화사. 미소장
19 이태호, 1995, 『그림으로 본 옛 서울」, 서울학연구소. 미소장
20 이현군, 2009, 『옛 지도를 들고 서울을 걷다」, 청어람미디어. 미소장
21 임형택, 1981,「委巷文學과 庶民文學」, 『한국학연구입문」, 지식산업사. 미소장
22 정옥자, 1997, 『조선후기 문화운동사」, 일조각. 미소장
23 정옥자, 1990,『조선후기 문학사상사」, 서울대출판부. 미소장
24 姜明官, 1998, 「朝鮮後期 京華世族과 古董書畵 趣味」, 『동양한문학연구』 12, 5-38. 미소장
25 김소영, 2015, 「古松流水館道人 李寅文 硏究」,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26 김소영, 2015, 「李寅文의 山靜日長圖 연구」, 『인문과학연구논총』 36(2), 213-236. 미소장
27 김지희, 2006, 「朝鮮時代 漢江圖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8 김현정, 2005, 「19世紀 朝鮮 紀行寫景圖 硏究」,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9 김현정, 2009, 「19세기 京華世族의 實景山水畵 後援 배경과 畵壇에 미친 영향」, 『미술사연구』 23, 279-307. 미소장
30 나혜영, 1999, 「朝鮮後期 漢陽名勝圖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1 민길홍, 2002, 「朝鮮 後期 唐詩意圖-山水畵를 중심으로」, 『미술사학연구』 233․234, 63-94. 미소장
32 文德熙, 1994, 「南公轍(1760-1840)의 書畵觀」,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3 朴秀嬉, 2004, 「朝鮮 後期 開城 金氏 畵員 硏究」,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4 박시현, 2012, 「이인문의 <누각아집도>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5 박은순, 2012, 「조선 후기 관료문화와 진경산수화:소론계 관료를 중심으로」, 『미술사연구』 27, 89-119. 미소장
36 박은순, 2002, 「조선후기 사의적 진경산수화의 형성과 변천」, 『미술사연구』 16, 333-363. 미소장
37 宋泰元, 1990, 「兢齋 金得臣의 繪畵 硏究」,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8 심경호, 1998, 「조선후기 시사와 동호인 집단의 문학활동」,『민족문화연구』 31, 99-236. 미소장
39 안대회, 2013, 「18세기 詩社의 현황과 전개양상」, 『고전문학연구』 44, 421-450. 미소장
40 안대회·박진욱·김세호, 2017, 「18세기 한강(漢江)의 누정(樓亭) 조사 연구」-엄경수(嚴慶遂)의 『연강정사기(沿江亭榭記)』를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5(3), 76-93. 미소장
41 오현숙, 1995, 「松月軒 林得明의 繪畵硏究」,영남대학교 대학원 사학위논문. 미소장
42 劉美那, 2006, 「中國詩文을 주제로 한 朝鮮後期 書畵合璧帖 硏究」,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43 柳普恩, 2006, 「朝鮮時代 西園雅集圖 硏究」,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44 尹軫暎, 2003, 「朝鮮時代 契會圖 硏究」,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45 이국진, 2012, 「명나라 사신들의 한강유람과 문학적 형상화」, 『한문고전연구』 25, 7-42. 미소장
46 李璟珣, 2013, 「17-18세기 士族의 유람과 山水空間 인식」, 서강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47 이상균, 2012, 「朝鮮時代 遊覽을 통한 士大夫의 交遊樣相」, 『사학연구』 106, 101-140. 미소장
48 이상균, 2015, 「조선시대 선유문화의 양상과 그 폐단」, 『국학연구』 27, 215-255. 미소장
49 이수미, 1995, 「조선시대 漢江名勝圖 연구-鄭遂榮의 <漢臨江名勝圖卷>을 중심으로」, 『서울학연구』 6, 217-246. 미소장
50 이순미, 2012, 「朝鮮後期 鄭敾畵派의 漢陽實景山水畵 硏究」,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51 이순미, 1995, 「18-19세기 예술사의 성격」, 『한국학 연구』 7, 5-24. 미소장
52 장진성, 2007, 「조선후기 사인풍속화와 여가문화」,『미술사논단』 24, 261-291. 미소장
53 정은주, 2016, 「《영사정팔경도(永思亭八景圖)》의 문화적 함의와 회화적 특징」, 『정신문화연구』 39(3), 139-175. 미소장
54 정은주, 2021, 「손기양 학맥의 상징과 현창, 《七灘亭十六景畵帖》」, 『한국문화』 93, 305-347. 미소장
55 조규희, 1998, 「朝鮮時代의 山居圖」, 『미술사학연구』 217․218, 29-60. 미소장
56 조규희, 2006, 「朝鮮時代 別墅圖 硏究」,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57 지용환, 2008, 「朝鮮時代 西湖圖 硏究」,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58 한정희, 2014, 「동아시아 산수화에 보이는 이상향」, 『산수화, 이상향을 꿈꾸다』, 국립중앙박물관, 208-221. 미소장
59 황정연, 2008, 「朝鮮後期 書畵收藏 硏究」,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60 네이버 위성지도 http://map.naver.com 미소장
61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http://e-kyujanggak.snu.ac.kr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