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고는 원전 텍스트에 대한 정밀한 재해석을 바탕으로 민주평화론을 공화주의 평화론으로 바로잡고자 한다. 마이클 도일을 필두로 한 민주평화론자들의 핵심 주장은 민주주의 국가 간에는 전쟁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 이론의 핵심적인 사상적 배경은 임마누엘 칸트의 ‘공화국 연방’ 구상에 대한 자유주의적 민주적 해석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칸트가 영구평화의 전제로서 제시한 체제가 명백하게 민주제가 아니라 공화제라는 점에서 칸트에 대한 오독에서 비롯된 것이다. 칸트는 여러 저작에서 민주제와 공화제를 확고하게 구분할 뿐만 아니라 전자에 대해서 크게 비판적이었다. 게다가 그는 영구평화의 주체를 민주제 정부가 아닌 공화제 정부로 제시하고 있다. 이 문제에 대한 이론적 계보를 수립하기 위해서는 칸트 이전부터 공화국 간의 평화를 주장한 사상가들로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 장 자크 루소, 데이비드 흄, 제임스 매디슨은 공화국이 내부의 평화를 확립한 연후에 외부 평화로 확장 가능하다고 보았다. 그들은 이를 인간 본성이라는 가장 근본적인 단위에서부터 시작하여 연방이라는 제도의 차원까지 연결하였다. 공화국은 인간의 불완전성에 대한 인식을 통해 타자와의 공존을 바탕으로 한 제도적 실천으로서의 내부 안정과 평화를 추구한다. 이렇게 확립된 내부 평화는 대의제와 연방제를 통해 같은 원리로 외부의 공화국과 공존 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한다. 매디슨과 칸트의 개념과 이론이 보여주듯 이 때 공화는 대의·대표와 같은 의미를 갖는다. 본고는 기존의 민주평화론의 오류를 극복한 대안을 공화주의 평화론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공화주의적 평화에 대한 사유와 실천은 오늘날 민주주의가 안고 있는 내부와 외부의 갈등과 대결을 넘어 두 차원 모두에서 함께 평화를 확립해야 할 이론적이며 제도적인 동시에 실천적인 과제와 역할을 이해하는데 불가결한 토대를 제공해 줄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redress democratic peace theory for republican peace theory through the detailed reinterpretation of the original text. First argued by Michael Doyle, democratic peace theory mainly argues that liberal democracies do not engage in war against one another. The theory has been based upon Immanuel Kant’s idea of liberal republican peace. However, democratic peace theorists have misinterpreted his republican norms and institutions by equating Kant’s clear distinction between republic and democracy. Revisiting the earlier theories of Jean-Jaques Rousseau, David Hume, and James Madison shall provide the appropriate theoretical genealogy of the very issue in peace theory. Their arguments on peace among republics associate republican human nature with the federal institutional form. A republican constitution pursues the institutional coexistence with the others by emphasizing the danger of the absolute monopoly of the self, be it individual or small republic. The internal peace established by this basic composing principle of the republic extends to other republics with the same principle resided in representation and federation. Thus, this paper suggests republican peace theory as a recalibration, which overcomes the limits of democratic peace theory. The philosophy and practice of republican peace shall provide both theoretical and institutional foundations to establish peace over internal and external conflicts.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갈상돈(2011). 연방헌법에 투영된 매디슨의 자유주의적 공화주의–매디슨 딜레마에 대한 해법모색을 중심으로. 정치사상연구. 17(2). pp.151-180. | 미소장 |
2 | 김석우(1997). ‘민주적 평화’와 안보 협상. 국제정치논총. 37(1). pp.83-107. | 미소장 |
3 | 김용민(2016). 루소와 공화주의. 한국정치연구. 25(1). pp.167-192. | 미소장 |
4 | 나종석(2020). 장 자크 루소의 국제 관계론에 대한 신현실주의적 해석과 그 한계에 대해. 사회와 철학. 39. pp.107-146. | 미소장 |
5 | 루소, 장 자크(2017). 사회계약론 외 (박호성 역). 서울: 책세상. | 미소장 |
6 | 박성우(2008). 매디슨 공화주의의 정의와 현대적 의의. 21세기정치학회보. 18(3). pp.1-22. | 미소장 |
7 | 박호성(1989). 루소(Jean-Jacques Rousseau)의 평화사상. 평화연구. 8(1). pp.67-91. | 미소장 |
8 | 아렌트, 한나(2000). 칸트 정치철학 강의 (김선욱 역). 파주: 푸른숲. | 미소장 |
9 | 밀러, E. N.(2020). 칸트의 ‘이성의 한계 안의 종교’ 입문 (김성호 역). 서울:서광사. | 미소장 |
10 | 이혜정(2008). 민주평화론의 패러독스: 칸트 평화사상의 왜곡과 오용. 한국정치외교사논총. 29(2). pp.129-154. | 미소장 |
11 | 진인혜(2012). 루소 번역에 있어서 개념어의 문제. 인문과학. 96(0). pp.117-139. | 미소장 |
12 | 최상용(2006(1997)). 평화의 정치사상. 파주: 나남출판. | 미소장 |
13 | 칸트, 임마누엘(2017a). 영원한 평화 (백종현 역). 서울: 아카넷. | 미소장 |
14 | 칸트, 임마누엘(2017b). 이성의 한계 안에서의 종교 (백종현 역). 서울: 아카넷. | 미소장 |
15 | 해밀턴, 알렉산더외(2019). 페더럴리스트페이퍼(박찬표역). 서울: 후마니타스. | 미소장 |
16 | Adair, D.(1957). That politics may be reduced to a science: David Hume, James Madison, and the Tenth Federalist. Huntington Library Quarterly. 20(4). pp.343-360. | 미소장 |
17 | Arena. V.(2016). The Roman Republic of Jean-Jacques Rousseau. History of Political Thought. 37. pp.8-31 | 미소장 |
18 | Caranti, L.(2016). Kantian peace and liberal peace: three concerns. The Journal of Political Philosophy. 24(4). pp.446-469. | 미소장 |
19 | Cavallar, G.(2011). Kantian perspectives on democratic peace: alternatives to Doyle. Review of International Studies. 27(2). pp.229-248. | 미소장 |
20 | Cohen, J.(2012). Globalization and Sovereignt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21 | Conniff, J.(1975). On the obsolescence of the General Will: Rousseau, Madison, and the Evolution of Republican political thought. The Western Political Quarterly. 28(1). pp.32-58. | 미소장 |
22 | Doyle, M.(1983a). Kant, liberal legacies, and foreign affairs. Philosophy & Public Affairs. 12(3). pp.205-235. | 미소장 |
23 | Doyle, M.(1983b). Kant, liberal legacies, and foreign affairs, Part 2. Philosophy & Public Affairs. 12(4). pp.323-353. | 미소장 |
24 | Doyle, M.(1986). Liberalism and world politics. The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80(4). pp.1151-1169. | 미소장 |
25 | Doyle, M.(1997). Ways of War and Peace. NY: W.W. Norton & Company, Inc. | 미소장 |
26 | Farber, Henry S. & Gowa, Joanne(1996). Polities and peace. In Michael E. Brown, Sean M Lynn-Jones and Steven E. Miller(Eds.), Debating the Democratic Peace (pp.239-262). MA: The MIT Press. | 미소장 |
27 | Hume, D.([1754] 2008). Idea of a perfect commonwealth. In Stephen Copley and Andrew Edgar(Eds.), Selected Essays(pp.301-315).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28 | Kylmakoski, M.(2001). The Virtue of the Citizen: Jean-Jacques Rousseau’s Republicanism in the Eighteenth-Century French Context. Bern:Peter Lang. | 미소장 |
29 | Layne, C.(1996). Kant or Cant. In Michael E. Brown, Sean M Lynn-Jones and Steven E. Miller(Eds.), Debating the Democratic Peace (pp.157-201). MA: The MIT Press. | 미소장 |
30 | Madison, J.(1787, April). Vices of the Political System of the U. States. National Archives. https://founders.archives.gov/documents/Madison/01-09-02-0187 | 미소장 |
31 | Madison, J.(1999).James Madison Writings(Rakove, J. N. Ed). NY: The Library of America. | 미소장 |
32 | Mansfield, E. D. & Snyder, J.(1996). Democratization and the danger of war. In Michael E. Brown, Sean M Lynn-Jones and Steven E. Miller(Eds.), Debating the Democratic Peace(pp.301-335). MA: The MIT Press. | 미소장 |
33 | Manzer, R. A.(1996). The Promise of peace?: Hume and Smith on the effects of commerce on war and peace. Hume Studies. 22(2). pp.269-382. | 미소장 |
34 | Mom, K.(2006). Democratic and perpetual peace: Kant and contemporary peace politics. Theoria: A Journal of Social and Political Theory. 110. pp.50-73. | 미소장 |
35 | Owen, J. M.(1996). How liberalism produces democratic peace. In Michael E. Brown, Sean M Lynn-Jones and Steven E. Miller(Eds.), Debating the Democratic Peace (pp.116-155). MA: The MIT Press. | 미소장 |
36 | Palmer, T. J.(2002). Madison and multiculturalism: group representation, group rights, and constitutionalism. In John samples(Ed.), James Madison and the Future of Limited Government [eBook edition] (861-1560). NW: Cato Institute. | 미소장 |
37 | Preuss, U. K.(1995). Constitutional Revolution (Deborah Lucas Schneider, Trans.). NJ: Humanities Press. | 미소장 |
38 | Rakove, J. N.(2007). James Madison and the Creation of the American Republic. London: Pearson. | 미소장 |
39 | Rasch, W.(2008). Kant’s project of perpetual pacification. Law and Critique. 19(1). pp.19-34. | 미소장 |
40 | Ribeiro, R. J.(2008). Democracy versus Republic: inclusion and desire in social struggles. Diogenes. 55(4). pp.45-53. | 미소장 |
41 | Riley, P.(1973). Rousseau as a theorist of national and international federalism. Publius. 3(1). pp.5-17. | 미소장 |
42 | Rousseau, J. J.(1994). The Social Contract (Christopher Betts, Tran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43 | Rousseau, J. J.(2005). The Plan for Perpetual Peace, On the Government of Poland, and Other Writings on History and Politics(Kelly, C. & Bush, J. Trans., Eds.). Dartmouth College Press. | 미소장 |
44 | Rousseau, J. J.(2018). Discourse on the Origin of Inequality. [ēBook edition] E-artnow. https://play.google.com/store/books/details?id=LIZjDwAAQBAJ&pcampaignid=books_web_aboutlink. | 미소장 |
45 | Ruffing, M.(2015). Political and religions aspects of community according to Kant. Florianopolis. 14(2). pp.338-352. | 미소장 |
46 | Russet, B.(1996). Why democratic peace? In Michael E. Brown, Sean M Lynn-Jones and Steven E. Miller(Eds.), Debating the Democratic Peace(pp.82-115). MA: The MIT Press. | 미소장 |
47 | Sheehan, C. A.(2009). James Madison and the Spirit of Republican Self-Government.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48 | Spencer, M. G.(2002). Hume and Madison on faction. The William and Mary Quarterly. 59(4). pp.869-896. | 미소장 |
49 | Spiro, D. E.(1996). The Insignificance of the liberal peace. In Michael E. Brown, Sean M Lynn-Jones and Steven E. Miller(Eds.), Debating the Democratic Peace (pp.202-238). MA: The MIT Press. | 미소장 |
50 | U.S. Const. Preamble.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