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연구의 목적은 모래놀이 집단상담이 발달지연 영유아 부모의 가족탄력성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여 발달지연 영유아 가족의 건강한 성장을 돕는 데 있다. 이 연구의 대상은 P시에 위치한 장애인종합복지관의 가족중심 발달지연영유아 조기개입 프로그램에 참여한 4가족 부모 8명이다. 이들을 대상으로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을 통해 모래놀이 집단상담이 가족탄력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모래놀이 집단상담은 발달지연 영유아 부모의 가족탄력성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탄력성 하위요인별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모래놀이 집단상담은 가족강인성 향상과 가족의사소통 그리고 문제해결 및 대처전략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 연구의 함의를 기초로 임상적 개입방안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sand play group counseling on family resilience of parents with developmental delay children to help their healthy growth.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eight parents of four families who participated in the family-centered early intervention program for children with delayed development of the welfare center for the disabled located in P city. The verified results by the Wilcoxn signed ranks test are as follows: First, sand play group counseling has been shown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family resilience of parents of developmentally delayed children. Second, according to the sub-factors of family resilience, sand play group counseling has shown a significant effect on family hardiness, family communication and problem solving and coping strategies. The clinical intervention based on this study’s implication will be discussed.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국내 도덕성 교육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 Systemic review and meta-analysis on the effect of moral education program in Korea 문화진 p. 1709-1720

하이네 독서 대중에서 시발(始發)된 김남주의 의식 변화 고찰 = A study on changes in consciousness of Kim Nam-Ju as a reader of Heine 염선옥 p. 1721-1736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적 문제해결능력과 전문성인식의 관계에서 놀이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 The mediated effect of play teaching 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problem-solving ability and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이보람 p. 1737-1750

소비자 니즈에 따른 롤온 패키지디자인의 선호도 연구 = A study on preference of roll-on package design according to consumer needs 이선민, 이진욱 p. 1751-1764

바른체형운동 프로그램이 노인의 자세 및 균형에 미치는 영향 = An upright body exercise program for the elderly effect on posture and balance 이성진 p. 1765-1774

재난피해자의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Factors influencing psychological resilience in disaster victims 심경옥, 임혜선 p. 1775-1788

어린이집 남자 예비영유아교사의 대학생활 및 보육실습 경험 탐색 = Exploring experiences of day care center mal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college life and child care practice 임환미, 육길나 p. 1789-1804

모래놀이 집단상담이 발달지연 영유아 부모의 가족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 of sand play group counseling on family resilience of parents with developmental delay children 장덕희, 조여진, 신현진 p. 1805-1820

토픽 모형을 이용한 코로나-19 이후 부동산시장 동향 = Analysis of real estate market trends after COVID-19 using topic modeling 전해정 p. 1821-1831

2019개정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보육교사 2급 자격취득을 위한 아동미술 교과목 적절성 분석 = Based on the 2019 revised standard child care process, appropriateness analysis of children's art subjects for grade 2 qualification of child care teachers 정채영, 신혜원 p. 1833-1847

농어촌 노인 문화복지서비스 욕구 분석에 따른 활성화 방안 = Activation plan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needs for cultural welfare services to senior citizen in rural area 조선하 p. 1849-1864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이 초등학교 아동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 A longitudinal effect of social competence on elementary school adjustment :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by gender / 성별에 따른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최혜선 p. 1865-1880

특수교육지원센터의 가족지원 실시 현황 : Family supports at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 focusing on Busan and Gyeongsangnamdo / 부산, 경남 지역을 중심으로 박가영, 강혜진, 김자경 p. 1881-1889

한국어교육에서 어두음절어 신조어를 교육한 사례 연구 = A study on the teaching of new words of the acronym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김덕신 p. 1891-1903

간호대학 신입생의 자아존중감, 회복탄력성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self-esteem and resilience on college life adaptation of nursing freshmen 곽윤복, 김영화 p. 1905-1916

Q방법론을 활용한 현장 사회복지사의 '소진'에 관한 인식 연구 = A study on the perception types on 'burnout' of social workers in the field using the Q-methodology 정현태, 김한솔 p. 1917-1932

무용교육으로서 창작무용의 역할과 가치 : Role and value of creative dance as dance education : focused on the aesthetic experience of John Dewey / 존 듀이의 미적체험을 중심으로 송미숙 p. 1933-1943

대학과 지역사회 평생교육정책 변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hange of lifelong education policy in universities and local communities : focusing on the national lifelong learning promotion comprehensive plan / 국가 평생학습진흥종합계획을 중심으로 정복임 p. 1945-1959

심리기술훈련에 따른 중국 여자축구선수의 경쟁상태불안, 기분상태 및 fMRI 활성화 = Psychological skill training on competitive state anxiety, mood states and fMRI in the Chinese female football players 풍총, 최연재, 정연택 p. 1961-1972

코로나-19로 인한 온라인 개학이 학업 스트레스에 미친 영향 : The effect of online classes due to COVID-19 on academic stress : for nursing students /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홍경숙, 한정원 p. 1973-1987

코로나19 상황에서 사회복지현장실습에 참여한 사회복지전공 학생의 경험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xperiences of social work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social work field practice in the COVID-19 이오복, 권순애 p. 1989-2000

COVID-19 전후 독거노인의 생활만족도 및 우울 변화에 관한 연구 = Changes in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living alone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outbreak 김은명 p. 2001-2016

성별에 따른 우울 증상의 하위유형에 대한 탐색적 연구 = Gender differences in subtypes of depressive symptoms 박현용 p. 2017-2030

독거노인의 주거환경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residential environment on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living alone : focusing on the mediating role of social capital / 사회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안형용, 백옥미 p. 2031-2044

놀이중심교육에 대한 장애유아 교사의 인식 = Awareness of play-based education in teacher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안영혜 p. 2045-2060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어휘 학습 전략 연구 = A study on Korean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of Chinese learners 양수림 p. 2061-2074

(The) effect of TA analysis on self-esteem,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sexual violent criminals = 교류분석을 적용하여 성폭력 범죄자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길구 p. 2075-2086

Gilbert & Terrell 사회복지정책 분석틀을 이용한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사업 분석 연구 = A study on the jobs for elderly and social activitiy support project using Gilbert & Terrell social welfare policy analysis framework 이형석, 권홍임 p. 2087-2098

사회적 지지와 코칭역량 신뢰가 노인의 매직테니스 활동참여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trust in coaching competence on the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in magic tennis activities : the parameters, the physical efficacy / 매개변수인 신체적 효능감을 위주로 임지헌 p. 2099-2112

『半生緣』을 통해 본 구만루(顧曼璐)의 심리변화 양상 = A study on the psychological changes of Gu Manlu's in Half a Lifelong Romance 진화, 권호종 p. 2113-2126

밀키트 구매 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meal kit purchase 한귀자, 최서연 p. 2127-2140

사회복지사의 공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empathy on job satisfaction of social welfare workers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 mediation effect of social support / 사회적지지 매개효과 권행운 p. 2141-2154

결혼이주여성의 국적취득 개선방안 : Improvement plan of nationality acquisition of married migrant women : especially those living in shelters / 쉼터여성을 중심으로 김수동, 김경제 p. 2155-2166

항공사 CSR과 신뢰, 브랜드 태도, 고객 만족과의 관계 연구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irline CSR and trust, brand attitude, and customer satisfaction : the moderating effect of CSR authenticity / CSR 진정성의 조절효과 김수연 p. 2167-2182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Factors influencing academic stress and reslilience of nursing students on college life adaptation 김은희, 김인주 p. 2183-2196

노인범죄예방시스템 도입을 위한 연구 =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crime prevention system for the elderly 선영화 p. 2197-2208

중년 여성의 어머니 죽음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mother's death experience of middle-aged women 안용찬 p. 2209-2221

선진국의 수요자 중심 지역사회 치매 돌봄에 관한 고찰 = Study on the consumer-focused community dementia care in developed countries 이가경 p. 2223-2238

다문화사회와 다문화교육 = Multicultural society and multicultural education 하성란, 박균열 p. 2239-2249

도시 직장인의 자기효능감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cities workers self-efficacy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 mediated effect of self-elasticity /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이종운, 허만세 p. 2251-2264

김원일 소설에 나타난 부모-자녀 관계 연구 = A study on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in Kim Won-il's novel 이현용, 장영창 p. 2265-2276

비대면 비교과 영어 프로그램 수업을 통한 학습자 인식 분석 = Analysis of learners' perceptions toward online learning in non-credit extracurricular English classes 김동미, 이지은 p. 2277-2291

'적당하다'의 모호성과 공손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vagueness and politeness of 'Jeokdanghada' 김상훈 p. 2293-2308

국제결혼 안내 프로그램의 인권교육 교수 및 학습지도안 개발에 관한 고찰 = A study on teaching and lesson plan on international marriage guidance program 김태은 p. 2309-2322

영어성경에 사용된 동사 연어 분석 : Analysis of collocation of verbs used in English bible : focusing on make, get, and take / make, get, take를 중심으로 유문영 p. 2337-2347

경찰조직의 문화적 특성과 조직혁신 노력이 경찰공무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how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efforts of organizational innovation of police organization exert influence on innovative behavior of police officers 이동원, 윤현석 p. 2349-2361

인문학적 성찰의 기획으로서 매체 문식성 학습 = Learning media literacy as a project of humanities reflection 이원영 p. 2363-2378

네팔 네와르족의 힌두교, 불교 혼합 양상 분석 = An analysis of the mixed aspects of Hinduism and Buddhism of the Newars in Nepal 이효정 p. 2379-2391

인구구조 변화와 지방정부의 대응 = Demographic change and local government's response 최윤영, 송형주 p. 2393-2406

노인의 디지털리터러시와 성공적 노화간의 관계에서 인지유연성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flexi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literacy and successful aging of senior 박진숙, 김남숙 p. 2407-2422

프로젝트 관리자의 역량과 한국형아유르베다 기본심리유형의 관계 연구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etency and Korean ayurveda basic psychology type of PM 김주현, 윤천성 p. 2423-2437

수준별 학습자가 인지하는 EFL 학습성과의 귀인 = Attributions for EFL performance perceived by basic and intermediate learners 김형선 p. 2439-2451

진로탐색 상담프로그램이 장애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 of career exploration counseling program on career decisi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손주희, 노승현 p. 2453-2466

'번뇌'의 관점에서 본 '트라우마' 증상 : The symptoms of 'trauma' from the perspective of 'kleśa' : focus on 'auddhatya' and 'styāna / '도거(掉擧)'와 '혼침(惛沈)'을 중심으로 안환기 p. 2477-2490

사회복지기관 종사자의 긍정심리자본이 삶의 목적에 미치는 영향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the purpose of life in social welfare institutions 이태숙, 박선실 p. 2491-2503

장르 중심 쓰기를 바탕으로 한 한국어 번역 수업 모델 연구 = A study on the Korean translation class model based on genre-based writing 함계임 p. 2505-2517

아버지 애착에 대한 국내외 학술지 연구 동향 분석 =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Korean and English academic journals on father attachment 강정원 p. 2519-2534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이주 관련 연구동향 분석 = Research trends related to migration by text-mining analysis 서보영, 박현재 p. 2323-2336

경상남도 거주 장애인의 체육활동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physical activities on health of person with disability in Gyeongsangnam-do : focused on the difference of the grading disability / 장애정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임채영, 김새봄, 박해긍 p. 2467-2476

가족 스트레스가 아동의 집행기능 곤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종단연구 : A longitudinal study on the effect of family stress on children's executive dysfunction :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in mothers /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우울의 이중매개 효과 성윤희, 계은경 p. 2535-2550

참고문헌 (3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가족스트레스연구회(1994), 엄마의 스트레스 , 창지사. 미소장
2 김계숙(2016), “가족탄력성이 장애아동의 가족관계에 미치는 영향: 장애 예후에 관한 기대감의 조절효과”, 한국장애인복지학 , 31: 163-192. 미소장
3 김미옥(2001), “장애아동의 가족탄력성(Family Resilience)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연구”, 한국가족복지학 , 8: 9-40. 미소장
4 김찬혁(2021), “발달장애 치료, 만 3세 전에 시작해야 효과 커”, 청년의사 (1월 13일), . 미소장
5 노희원・김현주(2019), “모-자 집단놀이치료가 발달지연 유아와 모의 상호작용 행동과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놀이치료연구 , 23(2): 35-51. 미소장
6 박선희(2008), “모래상자놀이가 발달장애 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7 박진숙(2013), “집단모래상자놀이가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8 박창현(2020), “2019 장애 영유아 양육 정책의 현주소와 해결해야 할 정책 과제를 살펴본다”, 육아정책포럼 , 63: 16-23. 미소장
9 송영혜(2008), “상담에서 모래상자놀이의 활용”, 아동심리치료연구소 연수자료집 . 미소장
10 송영혜(2012), “기초연구: 모래상자 놀이의 과거와 미래: 상담 매체로 사용하기 위한 준비”, 놀이치료연구 , 16(2): 1-15. 미소장
11 오승아・이양희(1999), “장애아동 가족의 Resilience 관련 요인 척도의 개발”, 미래유아교육학회지 , 2: 21-48. 미소장
12 이선애(2004), “만성질환아동 가족의 가족탄력성이 가족적응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사회복지학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3 이원남・김경신(2017), “발달장애 성인자녀를 둔 부모의 돌봄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 가족탄력성,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한국가족관계학회지 , 21(4): 27-50. 미소장
14 이주희・정현주(2009), “가족스트레스가 자폐성 장애아동의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 30(4): 15-31. 미소장
15 이진숙・심희옥・한유진(2012), 모래놀이치료: 심리치료사를 위한 지침서 , 서울: 학지사 미소장
16 이진희(2016), “모래놀이치료가 장애아동 어머니의 불안과 방어기제 유형 변화에 미치는 효과”,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7 장용주(2008), “취학전 장애아동 가족의 가족적응에 관한 연구: 가족탄력성을 중심으로”,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 47(1): 67-87. 미소장
18 전귀연(1994),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응집성, 가족적응성 및 가족체계 유형이 청소년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9 장덕희・서은주・윤현자(2018), “집단모래놀이상담이 중년여성의 우울과 회복탄력성에 미치는효과”, 인문사회 21 , 9(6): 885-898. 미소장
20 정현주(2008), “자폐아동 가족의 스트레스와 가족적응이 자폐아동의 사회적응에 미치는 경로분석: 가족탄력성의 조절효과 검증”, 한국가족복지학 , 13(3): 89-110. 미소장
21 최희정・이인수(2009), “가족탄력성이 정신장애인의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대처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치료학 , 17(2): 175-194. 미소장
22 한길자(2009), “자아성장 모래상자놀이가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3 한금선・김영자・이평숙・이숙자・박은숙・박영주・유호신・강현철(2004), “만성정신질환자 가족기능 예측모형”, 정신간호학회 , 2: 146-155. 미소장
24 한송희(2016), “모래놀이치료가 장애아동 어머니의 우울과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5 Hartshorne, T. S., Schafer, A., Stratton, K. K., & T. M. Nacarato(2013), “Family Resilience Relative to Children with Severe Disability”, In Becvar, D. S. (Ed.), Handbook of Family Resilience , 361­383. 미소장
26 Humphry, R. & L. Wakeford(2006), “An Occupation-Centered Discussion of Development and Implications for Practic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 60: 258-267. 미소장
27 McCubbin, H. I., Olson, D., & A. Larsen(1981), “Family Crisis Oriented Personal Scales (F-COPES)”, In McCubbin, H. I., Thompson, A. I., & M. A. McCubbin (Eds.), Family Assessment: Resiliency, Coping & Adaptation: Inventories for Research and Practice , 455-507, Madison, WI: University of Wisconsin System. 미소장
28 McCubbin, M. A. & H. I. McCubbin(1993), Families Coping with Illness: The Resiliency Model of Family Stress, Adjustment, and Adaptation. Families, Health, & Illness: Perspectives on Coping and Intervention , St. Louis, MO:Mosby. 미소장
29 McCubbin, M. A., McCubbin, H. I., & A. I. Thompson(1996), “Family Hardiness Index (FHI)”, In McCubbin, H. I., Thomspson, A. I., & M. A. McCubbin (Eds), Family Assessment: Resiliency, Coping and Adaptation-Inventories for Research and Practice , 239-305, Madison: University of Wisconsin System. 미소장
30 McCubbin, H. I., McCubbin, M. A., Thompson, A. I., Han, S. Y., & C. T. Allen (1997), “Families under Stress: What Makes Them Resilient”, Journal of Family and Consumer Sciences , 89(3): 2-11. 미소장
31 Olson, D. H., Portner, J., & Y. Lavee(1985), Family Adaptability & Cohesion Scales-FACES Ⅲ (Research Instrument and Manual) , St. Paul, MN: University of Minnesota, Family Social Science. 미소장
32 Sato, N., Araki, A., Ito, R., & K. Ishigaki(2015), “Exploring the Beliefs of Japanese Mothers Caring for a Child With Disabilities”, Journal of Family Nursing , 21(2): 232-260. 미소장
33 Walsh, F.(2006), Strengthening Family Resilience , New York:The Guilford Press.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