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박경리, 『시장과 전장』, 나남출판, 1999. |
미소장 |
2 |
권헌익, 정소영 역, 『전쟁과 가족』, 창비, 2020. |
미소장 |
3 |
린다 맥도웰, 여성과 공간 연구회 역, 『젠더, 정체성, 장소』, 한울, 2010. |
미소장 |
4 |
스즈키 토미, 한일문학연구회 역, 『이야기된 자기』, 생각의 나무, 2004. |
미소장 |
5 |
오토 프리드리히 볼노, 이기숙 역, 『인간과 공간』, 에코리브르, 2011. |
미소장 |
6 |
이임하, 『전쟁미망인, 한국현대사의 침묵을 깨다』, 책과함께, 2010. |
미소장 |
7 |
찰스 테일러, 권기돈·하주영 역, 『자아의 원천들』, 새물결, 2015. |
미소장 |
8 |
찰스 테일러, 송영배 역, 『불안한 현대사회』, 이학사, 2018. |
미소장 |
9 |
필립 르죈, 윤진 역, 『자서전의 규약』, 문학과지성사, 1998. |
미소장 |
10 |
공임순, 「한국전쟁의 파국과 순국자(殉國者)에 반하는 순애자(殉愛者)의 무/국적 신체들」, 『한국학연구』 59집,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0, 313~341쪽. |
미소장 |
11 |
김미영, 「박경리의 『시장과 전장』에 나타난 낭만성과 숭고」, 『한국문예비평연구』 52집,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6, 33~60쪽. |
미소장 |
12 |
김미영, 「박경리 소설에 나타난 음식의 문학적 재현과 의미―『시장과 전장』을 중심으로」, 『우리말 글』 81집, 우리말글학회, 2019, 239~272쪽. |
미소장 |
13 |
김복순, 「『시장과 전장』에 나타난 구원의 문제와 여성의 인식 방법」, 『페미니즘 미학과 보편성의 문제』, 소명출판, 2005, 207~250쪽. |
미소장 |
14 |
김양선, 「한국 전쟁에 대한 젠더화된 비판의식과 낭만성―박경리의 『시장과 전장』」, 『페미니즘 연구』 8권 2호, 한국여성연구소, 2008, 197~222쪽. |
미소장 |
15 |
김은경, 「박경리 장펴노설에 나타난 인물의 가치에 대한 태도와 정체성의 관련 양상」,『국어국문학』 146집, 국어국문학회, 2007, 443~480쪽. |
미소장 |
16 |
김인경, 「박경리 소설에 나타난 휴머니즘의 회복과 지향점의 모색―『시장과 전장』을 중심으로」, 『인문사회 21』 7권 3호, 아시아문화학술원, 2016, 751~765쪽. |
미소장 |
17 |
나보령, 「시장의 풍경에 주목해 다시 읽는 전후소설 시론-박경리 소설에 나타난 시장의 의미 연구」, 『현대소설연구』 61집, 한국현대소설학회, 2016, 37~66쪽. |
미소장 |
18 |
박은정, 「『시장과 전장』의 생존의 서사」, 『여성문학연구』 38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6, 193~225쪽. |
미소장 |
19 |
박주혜, 「반공에 대한 검토로서의 『시장과 전장』」, 『국어국문학』 185집, 국어국문학회, 2018, 285~310쪽. |
미소장 |
20 |
박진영, 「1960년대 소설에 나타난 ‘광장’, ‘시장’의 토포스 : 최인훈의 『광장』과 박경리의 『시장과 전장』을 대상으로」,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16권 1호,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99~119쪽. |
미소장 |
21 |
오승은, 「찰스 테일러의 인정의 정치」, 『HOMO MIGRANS』 5·6집, 이주사학회, 2012, 5~10쪽. |
미소장 |
22 |
조남현, 「朴景利의 『市場과 戰場』」, 『韓國現代小說의 解剖』, 문예출판사, 1993, 250~272쪽. |
미소장 |
23 |
한금윤, 「박경리의 『시장과 전장』에 나타난 공간과 삶으로서의 은유」, 『한국근대문학연구』 21권 1호, 한국근대문학회, 2020, 181~215쪽. |
미소장 |
24 |
허연실, 「독백의 서사와 이중구조」, 『한국근대문학연구』 7권 2호, 한국근대문학회, 2006, 153~172쪽. |
미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