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비평의 시대와 그 무수한 흔적들 : The era of criticism and its myriad traces : a mapping on literary media in the 1990s / 90년대 문학의 매체와 그 지형도 노태훈 p. 5-37
비극적으로 아름다워야 한다는 조건 : Tragic beauty as requirement : women’s literature’s incorporation into ‘literature’ in the 1990s / 1990년대 여성문학의 제도 문학 편입 맥락과 그 과정 한경희 p. 39-85
1980년대 말~1990년대 초반 민중·민족문화운동의 미디어성과 잊힌 가치들 : Media and forgotten values of the Minjung-people movements in the late 1980s and early 1990s : focusing on the cultural form of the assembly / 집회의 문화적 형식을 중심으로 박상은 p. 87-114
박완서 소설의 죽음정치적 특성과 그 의미 : The aspects and meaning of necro-politics in Park Wan-seo's novel : focusing on 『A Very Old Joke』 / 『아주 오래된 농담』을 중심으로 권영빈 p. 115-145

'민족'과 '사회' 사이의 '횡보(橫步)'의 원리 : 'Sideways-walking(橫步)' between 'nationalism' and 'socialism' : with a focus on Yeom Sang-seop’s <Love and Guilt> / 염상섭의 장편 『사랑과 죄』를 중심으로 김은하 p. 147-187
이효석 소설에 나타난 도시성과 사회사적 맥락 = Urbanity and social historical context in Lee Hyo-seok’s novels 김정남 p. 189-221
카프 해산 이후 문인들의 검열인식 = The cognition of censorship after the disbandment of KAPF 김준현 p. 223-250

부역작가도, 종군작가도 아닌 : Neither war traitor writer nor army writer : re-visiting Choi Jung-Heui’s literary activities in the 1950s / 1950년대 최정희의 문학 활동에 대한 재조명 나보령 p. 251-282
상실 주체와 '상실 주변'의 '(불)가능한 애도' 양상 연구 : A study on '(im)possible mourning' in the subject experiencing loss and the 'periphery of loss' : focusing on Kwon Yeo-seon’s 『Lemon』 / 권여선의 『레몬』을 중심으로 마혜정 p. 283-310

단정 수립 이후 염상섭 문학의 중도적 정치성 연구(1948-1950) : A study on the moderate politics of Yeom Sang-seop's literature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separate government(1948-1950) : focusing on national unity and the liquidation of pro-Japanese collaborators / 민족통합과 친일파 청산 문제를 중심으로 박성태 p. 311-340

좀비 서사의 변주와 감염병의 상상력 : Variation of zombie narrative and imagination of infectious diseases : focusing on the shape of fear and aversion to new infectious diseases / 신종감염병에 대한 공포와 혐오의 형상화를 중심으로 박성호 p. 341-366

서정인의 『모구실』 연구 : A study on Seo Jeong-In’s novel 'Mogusil' : focusing on transformation of Ovid's story 'Metamorphoses' / 오비디우스의 『Metamorphoses』의 변용을 중심으로 박희현 p. 367-394
여성 노동자, 재생산 노동, 가족 : Women workers, reproductive work, and family : labor literature X women’s liberation movement in the early 1990s / 1990년대 초 노동소설 속 '여성노동해방'의 전망 배하은 p. 395-427
'바보 왕' 신화와 복화술의 정치학 = The myth of idiot king and the politics of ventriloquism : 이문열의 『황제를 위하여』를 중심으로 오자은 p. 429-469
『사랑』과 안식교 = Love and seventh-day adventist church 유승환 p. 471-519
감정 주체의 행방 : The study for emotional dynamics described in Pak Kyongni’s 1950’s shorts stories / 박경리의 초기 단편 소설 세계를 중심으로 전소영 p. 521-548
1930년대 후반 잡지 『여성(女性)』의 독자 글쓰기 연구 = A study on the reader's writing of the magazine Yeosung in the late 1930s : 여성주체의 형성과 여성의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정영진 p. 549-580
1960년대 유토피아의 지향과 균열 『완전사회』 = The orientation and crack of utopia in the 1960s, Perfect Society 최애순 p. 581-616

참고문헌 (1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이문열, 황제를 위하여 1권, 민음사, 2011. 미소장
2 이문열, 황제를 위하여 2권, 민음사, 2011. 미소장
3 이문열, 황제를 위하여, 알에이치코리아, 2020. 미소장
4 조선일보 미소장
5 신동아 미소장
6 김명인, 「한 허무주의자의 길 찾기」, 류철균 외, 이문열, 살림, 1993, 미소장
7 김현, 「베끼기의 문학적 의미」, 이태동 외, 이문열, 서강대학교출판부, 1996. 미소장
8 류철균, 「이문열 문학의 정통성과 현실주의」, 이문열, 살림, 1993. 미소장
9 김개영, 「이문열 황제를 위하여의 전통 서사(양식)의 변용 양상」, 한국문학연구61집,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9, 201-228면. 미소장
10 김미정, 「황제를 위하여 와 “Pour l’empereur!” 사이」, 한국근대문학연구 17권 2호, 근대문학회, 2016, 141-172면. 미소장
11 이노신, 「미하일 바흐친의 대화이론에 대한 분석적 비평: 화용론과 기호학적 접근을 중심으로」, 영어어문교육 16권 4호,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2010, 223-238면. 미소장
12 이창언, 「전두환 노태우 정권과 공안정치」, 내일을 여는 역사 53호 재단법인 내일을여는역사재단, 2013, 71-84면. 미소장
13 심지은, 「러시아와 독일의 민담에 나타난 바보 인물의 비교연구」, 러시아연구 23권 1호, 한국러시아문학회, 2004, 127-154면. 미소장
14 정재서, 「이문열, 황제를 위하여에 대한 전통소설론적 접근-소설 문법의 다원화를 위하여」, 중국소설논총 7집, 한국중국소설학회, 1998, 11-25면.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