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김병규, 「감각을 디자인하라」, 미래의 창, 2016. | 미소장 |
2 | 심낙훈, 「팔리는 매장을 위한 디스플레이 마케팅」, 우용출판사, 2010. | 미소장 |
3 | Dewey, J., 「경험으로서의 예술」, 나남, 2016. | 미소장 |
4 | Jochum, E., 「Dynamic Branding Thesis: How Flexible Design Systems Turn Brands Into Dynamic Visual Identities」, ZHdK MA Destgn Communicatton, 2013. | 미소장 |
5 | Kapferer, J., 「The New Strategic Brand Management」, Kogan Page Publishers, 2008. | 미소장 |
6 | Ko Floor, 「Branding a Store」, BIS Publishers, 2009. | 미소장 |
7 | Mikunda, C.,「제3의 공간」, 미래의 창, 2005. | 미소장 |
8 | 강윤서, 컨셉 스토어의 감성 디자인을 위한 공간 연출 표현 요소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 | 미소장 |
9 | 김민, 가변적 아이덴티티 시스템에 관한 고찰, 한국디자인학회, 13(3), 2000. | 미소장 |
10 | 김선영, 브랜드 스케이프 환경 구축과 스토어 디자인 콘텐츠, 기초조형학연구, 9(3), 2008. | 미소장 |
11 | 김소현․임하영․이진민․김태범․신은별․장미정, 체험형 콘셉트 스토어 `폼므(POMME)` 브랜드 개발 전략. 숙명디자인학연구, 23(0), 2003, | 미소장 |
12 | 노창영․김진우, Store Identity Program(SIP)이 적용된 국내 가전매장 실내 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09(1), 2007. | 미소장 |
13 | 박지선․정소원, 화장품 제품 형태의 독특한 디자인이 소비자들의 지각된 브랜드 경험에 미치는 영향. 브랜드디자인학연구, 13(3), 2015. | 미소장 |
14 | 박효현․이종호, 점포 개성의 측정도구 개발, 마케팅연구, 24(4), 2009. | 미소장 |
15 | 백지희․김은정․방한나, 스토어 아이덴티티 구성요소에 나타난 브랜드 아이덴티티가 브랜드 태도 및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브랜드디자인학연구, 10(1), 2012. | 미소장 |
16 | 서구원․민형철. 복합 문화 공간형 유통 매장에서의 체험과 소비자 태도, 서울도시연구, 10(4), 2009. | 미소장 |
17 | 안광호․이지은․전주언, 브랜드 태도와 브랜드 애착 형성의 이중경로가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광고학연구, 20(5), 2009. | 미소장 |
18 | 오승희․최진희, 모카골드 팝업스토어에 나타난 공간형 콘텐츠 연구. 브랜드디자인학연구, 19(2), 2021. | 미소장 |
19 | 이상은, 브랜드 개성의 효율적 형성을 위한 통합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전략에 관한 연구, 조형미디어학, 12(3), 2009. | 미소장 |
20 | 이서진. 가변적 아이덴티티를 활용한 도시브랜드 디자인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포럼, 66(0), 2020. | 미소장 |
21 | 이재숙, SIP(Store Identity Program)개발과 그 과정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0. | 미소장 |
22 | 이진희, 컬러커뮤니케이션이 브랜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5), 2012. | 미소장 |
23 | 장윤정․이정교, 브랜드 경험 요소를 적용한 패션 브랜드 플래그쉽 스토어 공간 특성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5(8), 2020. | 미소장 |
24 | 장희나․최상헌, 브랜드 커피 전문점의 공간 디자인 구성 요소와 마케팅과의 관계 분석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19(2), 2010. | 미소장 |
25 | 조현진․장동련, 국내 지역명 수제맥주 브랜드의 패키지 디자인 일러스트레이션이 브랜드 연상에 미치는 영향. 브랜드디자인학연구, 17(4), 2019. | 미소장 |
26 | 채희주․최현영․장진희․고은주, 팝업스토어의 점포 속성이 브랜드 태도와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4(3), 2012. | 미소장 |
27 | 한효정․김주연, 브랜드 체험 수단으로서 플래그쉽 스토어 공간 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15(3), 2006. | 미소장 |
28 | 황연희․김재범, 생명력 있는 브랜드 아이덴티티 구축을 위한 플렉서블 아이덴티티 이용 가능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디자인학회, 26(1), 2010. | 미소장 |
29 | Achrol, R.․Kotler, P., Frontiers of the marketing para digm in the third millennium, Journal of the Acad. Mark. Sci., 40, 2012. | 미소장 |
30 | Brakus, J.․Schmitt, B.․Zarantonello, L., Brand Experience: What Is It? How Is It Measured? Does It Affect Loyalty?, Journal of Marketing, Vol.73, 2009. | 미소장 |
31 | Campbell, M.․Ronald C.,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risk on consumers' evaluations of product incongruity, Th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8(3), 2001. | 미소장 |
32 | Hastie, R.․Kumar, P., Person Memor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7(1), 1979. | 미소장 |
33 | Lange, F.․Dahlén, M., Let’s be strange, Journal of Product & Brand Management, 2003. | 미소장 |
34 | Peracchio, L.․Tybout, A., The moderating role of prior knowledge in schema-based product evaluation,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3(3), 1990. | 미소장 |
35 | Schmitt, B., Experiential Marketing, Journal of Marketing Management, 15(1-3), 1999. | 미소장 |
36 | Sjodin, H․Fredrik, T., When communication challenges brand associations, Journal of Consumer Behaviour, 5(1), 2006. | 미소장 |
37 | Turley, L.․Milliman, R., Atmospheric Effects on Shopping Behavior,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49(2), 2000. | 미소장 |
38 | 뉴스1코리아, https://www.news1.kr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5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