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cultural contents in the 2015 curriculum-based 5th-6th grade English textbooks in terms of cultural topics, backgrounds and dimensions, and compare them with those in the 2015 curriculum-based 3rd-4th grade and the 2009 curriculum-based 5th-6th grade English textbooks, respectivel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With regard to cultural topics in the 2015 curriculum-based English textbooks, topics about the daily lives of people of various cultures accounted for a total of 83.8% of cultural topics, marginalizing other culture topics suggested in the 2015 curriculum for English and worsening the imbalance that already existed in the 2015 curriculum-based 3rd 4th grade and the 2009 curriculum-based 5th-6th grade English textbooks. 2) Concerning cultural backgrounds, English textbooks contained cultural contents of the expanding circle the most, followed by those in the inner circle, the outer circle and universal culture in order across the grade groups and the curriculum. 3) Regarding cultural dimensions, practices and products were responsible for 91.7% and 91.9% of cultural contents in the 2015 curriculum-based 3rd-4th and 5th-6th grade English textbooks, respectively, worsening the imbalance in cultural dimensions of the 2009 curriculum-based 5th-6th grade English textbooks. Based on these findings, suggestions were made for the curriculum for elementary English and the development of elementary English textbooks. (209 words)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순여, 홍경선. (2016). 2009개정 교육과정용 초등 5-6학년 영어교과서의 문화요소. 영어영문학, 21(1), 339-365. | 미소장 |
2 | 강주경. (2020). 초등학교 5, 6학년 영어교과서의 문화내용 분석과 문화 교육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인식.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 미소장 |
3 | 교육부. (2015). 영어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14]. 교육부. | 미소장 |
4 | 교육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6).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용도서 개발을 위한 편찬상의 유의점 및 검정기준. 교육부. | 미소장 |
5 | 나금효. (2015). 영어교과서에 반영된 문화 분석: 중학교부터 고등학교까지 연계하여.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 미소장 |
6 | 박은상. (2018). 2015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3-4학년군 영어교과서 문화 분석. [석사학위논문]. 부경대학교. | 미소장 |
7 | 임보현, 허근. (2020). 5-6학년군 영어교과서의 문화내용 분석연구: 2009년과 2015년 개정 교육과정의 비교.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 99-106. | 미소장 |
8 | 임소혜. (2020).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5, 6학년 영어교과서 문화내용 분석.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 미소장 |
9 | 장나래, 김정렬. (2018). 초등학교 3, 4학년 영어교과서 문화내용 분석: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컨텐츠학회논문지, 18(8), 1-8. | 미소장 |
10 | 정다빈. (2019).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3, 4학년 영어교과서의 문화 영역 분석 및 지도 방안. [석사학위논문]. 춘천교육대학교. | 미소장 |
11 | 홍다혜, 손중선. (2018).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3, 4학년군 영어교과서의 문화 다양성 분석. 언어과학연구, 87(87), 64-65. | 미소장 |
12 | Barnlund, D. C. (1999). Communicating in a global village. Wadsworth Publishing. | 미소장 |
13 | Bierstedt, R. (1970). The social order: An introduction to sociology. McGraw-Hill. | 미소장 |
14 | Brown, D. E. (1991). Human universals. McGraw-Hill. | 미소장 |
15 | Brown, H. D. (1994). Principles of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Pearson Education. | 미소장 |
16 | Byram, M. (1997). Teaching and assessing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Multilingual Matters. | 미소장 |
17 | Canale, M., & Swain, M. (1980). Theoretical bases of communicative approaches to second language teaching and testing. Applied Linguistics, 1(1), 1-47. | 미소장 |
18 | Chaika, E. (1994). Language: The social mirror. Heinle & Heinle. | 미소장 |
19 | Chastain, K. (1976). Developing second language skills: Theory and practice. Rand McNally College Publishing. | 미소장 |
20 | Finocchiaro, M. (1989). English as a second or foreign Language: From theory to practice. Prentice-Hall. | 미소장 |
21 | Finocchiaro, M., & Bonomo, M. (1973). The foreign language learner: A guide for teachers. Regents Publishing Company. | 미소장 |
22 | Geertz, C. (1973). The Interpretation of cultures. Basic Books. | 미소장 |
23 | Hadley, A. O. (1993). Teaching language in context: Proficiency-oriented instruction. Heinle & Heinle. | 미소장 |
24 | Hall, E. T. (1959). The Silent Language. Doubleday & Company. | 미소장 |
25 | Halverson, R. J. (1985). Culture and vocabulary acquisition: A proposal. Foreign Language Annals, 18(4), 327-332. | 미소장 |
26 | Kachru, B. B. (1997). World Englishes and English-using communities. Annual Review of Applied Linguistics, 17(1), 66-87. | 미소장 |
27 | Koester, J., & Lustig, M. W. (2015). Intercultural communication competence: Theory, measurement, and appli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cultural Relations, 48(8), 20-21. | 미소장 |
28 | Kohls, L. R., & Knight, J. M. (1994). Developing intercultural awareness: A cross-cultural training handbook. Intercultural Press. | 미소장 |
29 | Moran, P. R. (2001). Teaching culture: Perspectives in practice. Heinle & Heinle.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