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論語』 | 미소장 |
2 | 『論語集注』 | 미소장 |
3 | 『論語古今註』 | 미소장 |
4 | 『孟子』 | 미소장 |
5 | 『孟子集註』 | 미소장 |
6 | 『孟子要義』 | 미소장 |
7 | 『史記』 | 미소장 |
8 | 『書經』 | 미소장 |
9 | 『詩經』 | 미소장 |
10 | 『易經』 | 미소장 |
11 | 『爾雅』 | 미소장 |
12 | 『禮記』 | 미소장 |
13 | 『儀禮』 | 미소장 |
14 | 『莊子』 | 미소장 |
15 | 『周禮』 | 미소장 |
16 | 『春秋左氏傳』 | 미소장 |
17 | 『春秋公羊傳』 | 미소장 |
18 | 『春秋穀梁傳』 | 미소장 |
19 | 『韓非子』 | 미소장 |
20 | 『漢書』 | 미소장 |
21 | 『孝經』 | 미소장 |
22 | 『後漢書』 | 미소장 |
23 | 『栗谷全書』 | 미소장 |
24 | 『人政』 | 미소장 |
25 | 신정근, 「유교경전의 확립과 전개」열린연단 2020, 5/16 강연원고 | 미소장 |
26 | 안외순, 『五倫과 三綱의 전개과정을 통해서 본 유가정치사상의 역사적 성격』, 『동양철학연구』 44, 2005. | 미소장 |
27 | 안외순, 『정치, 함께 살다』, 글항아리, 2016. | 미소장 |
28 | 안외순, 「공자의 행복관」 『동양고전연구』 41집, 2013. | 미소장 |
29 | 유봉학, 「한국사학에서 바라본 중화주의」, 『중국문학』 44, 2005. | 미소장 |
30 | 이승환, 『유가사상의 사회철학적 재조명』, 고려대출판부, 1998 | 미소장 |
31 | 임헌규, 『3대 주석과 함께 읽는 논어』(1-3), 모시는사람들, 2020 | 미소장 |
32 | 정용화, 「조선의 조공체제 인식과 활용」, 『한국정치외교사논총』 27-2, 2006 | 미소장 |
33 | 楊伯峻, 『經典淺談』, 이종호 편, 『유교경전의 이해』, 중화당, 1994 | 미소장 |
34 | 蘇公權, 『中國政治思想史』 (1947), 최명 역, 법문사, 1988. | 미소장 |
35 | 배리, Wm, 시어도어드. 표정훈 역, 『중국의 ‘자유’ 전통』, 이산, 1998 | 미소장 |
36 | Bongrae Seok, “Moral Psychology of Shame in Early Confucian Philosophy”, Frontiers of Philosophy in China, Vol.10, No. 1, 2015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