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오늘날 맹인 독경은 거의 사라졌지만, 전통사회의 독경은 사실상 대부분 맹인들이 했다.
본 고는 전통사회 경북지역 맹인 독경을 연구, 소개하고자 한다. 오늘날 이 지역의 맹인 독경이 사실상 사라졌지만, 이러한 연구가 가능했던 것은 본 연구자는 이 지역의 경문집인 『해액길창(解厄吉昌) 불보유집(佛寶遺集)』(1937)과 역시 이 지역의 독경 영상물인 ‘전통 경주 불경 본체 수집’(1995)을 확보하고, 그동안 이 지역 맹인 독경인 6명을 면담 조사해 두었기 때문이다.
안택경은 부정경, 조왕경, 세존경, 성주경, 조상경, 지신경, 시식 등으로 이뤄진다. 이 중 부처를 위한 세존경을 하고, 석가의 일대기를 우리말로 노래하는 세존풀이가 있다는 것이 독특하다.
병경에서는 다른 지역 경들에서 흔히 쓰는 옥갑경, 옥추경에 있어, 옥추경만 부분적으로 사용했다. 또 병의 원인인 사귀를 잡아 가두기보다 내어쫓는 쪽을 선호했다.
해원경은 독경자가 연화관이란 불교적 관을 쓰고, 경쇠를 울리며 시작한다. 뒷부분에서는 2명 이상이 참가하여 회심곡 등과 같은 우리말 노래를 선창자가 메기면 나머지 사람들은 후렴으로 ‘나무아미타불’을 부른다. 이때의 장단도 ‘3․2․3․2’의 불교의 화청장단이다.
그 외 당산경, 용왕경, 산왕경, 삼신경, 전염병 때의 경, 칠성경 등이 더 있다.
경북지역 맹인 독경에는 현재 알려진 다른 지역 독경들과 달리 불교적 요소들이 강하게 남아 있다. 이는 우리나라 맹인 독경의 한 유래가 되는 고려 이래 ‘맹승(盲僧)’의 전통과 일정한 관련이 있어 보인다.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고전종합DB | 미소장 |
2 | 경북경주경복조합(慶北慶州經卜組合), 「해액길창(解厄吉昌) 불보유집(佛寶遺集)」, 경주합동인쇄소, 1937. | 미소장 |
3 | 김혜숭 편, 「해동율경집」, 선문출판사, 1977. | 미소장 |
4 | (사)대한맹인역리학회 경북지회, 「전통 경주 불경 본체 수집」, 1995; 안택경 독경 영상물. | 미소장 |
5 | 안진호 편, 한정섭 주해, 「석문의범(釋門儀範)」, 법륜사, 1935:2001. | 미소장 |
6 | 이윤종, 「앉은 굿거리편 무속대백과」 1, 삼영불교출판사, 1995. | 미소장 |
7 | 구중회, 「경책 문화와 역사: 한국의 무경(巫經)」, 민속원, 2009. | 미소장 |
8 | 구중회, 「충청도 설위설경」, 금강민학회, 2002. | 미소장 |
9 | 김만태, 「한국 맹인 점복자의 전개양상」, 「역사민속학」 28, 한국역사민속학회, 2008. | 미소장 |
10 | 김영진, 「충청북도 무속 연구」, 「논문집」 10, 청주대학교, 1976. | 미소장 |
11 | 김영진, 「‘판수’ 고(攷)」, 훈민 최정여박사 송수기념논총편찬위원회, 「민속어문논총」, 계명대출판부, 1983. | 미소장 |
12 | 김인숙, 「서울지역 독경 장단의 연구」, 「한국음악연구」 39, 한국국악학회. 2006. | 미소장 |
13 | 민정희, 「조선 전기의 무속과 정부 정책」, 「학림」 21, 연세대 사학연구회, 2000. | 미소장 |
14 | 박관수, 「강원도 송경 연구」 1, 민속원, 2005. | 미소장 |
15 | 박관수, 「강원도 송경 연구」 2, 민속원, 2006. | 미소장 |
16 | 박관수, 「강원도 송경 연구」 3, 민속원, 2007. | 미소장 |
17 | 박형규, 「맹파명리학(盲派命理學)의 연원과 이론체계에 관한 연구: 뚜안젠예(段建業)의 관점을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 미소장 |
18 | 서대석, 「경무고(經巫考)」(1968), 「한국 무가의 연구」, 문학사상사, 1980. | 미소장 |
19 | 손진태, 「맹격고(盲覡考)」(1929), 「손진태선생전집」 2, 태학사, 1981. | 미소장 |
20 | 손태도, 「서울지역 맹인 독경의 역사와 그 특징」, 「우리 무형문화재의 현장에 서서」, 집문당, 2007. | 미소장 |
21 | 손태도․김인숙, 「서울맹인독경」, 서울특별시, 2020. | 미소장 |
22 | 안상경, 「앉은굿 무경(巫經)」, 민속원, 2009. | 미소장 |
23 | 오문선, 「충청도 앉은굿 연구: 충남 부여지방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 미소장 |
24 | 이능화 저, 이재곤 역, 「조선무속고(朝鮮巫俗考)」, 동문선, 1991. | 미소장 |
25 | 이능화 저, 이종은 역주, 「조선 도교사」, 보성문화사, 1991. | 미소장 |
26 | 이복규, 「묵재일기에 나타난 조선전기의 민속」, 민속원, 1999. | 미소장 |
27 | 이필영, 「충청 지방의 경무(經巫)와 앉은굿」, 「마을 생활과 신앙 풍습」, 한국역사민속학회 2차 역사민속특강 자료집, 1994. | 미소장 |
28 | 이창식․안상경, 「충북의 무가․무경」, 충북학연구소, 2002. | 미소장 |
29 | 임승범, 「충남 내포 지역의 앉은굿 연구: 태안 지역을 중심으로」, 한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 미소장 |
30 | 최종성, 「조선조 무속 국행의례 연구」, 일지사, 2002. | 미소장 |
31 | 村山智順 저, 최길성․박호원 공역, 「조선의 무격」, 민속원, 1932:2014. | 미소장 |
32 | 秋葉隆 저, 심우성․박해순 역, 「춤추는 무당과 춤추지 않는 무당」, 한울, 1946:2000. | 미소장 |
33 | 赤松智城․秋葉隆 공저, 심우성 역, 「조선 무속의 연구」(상․하), 동문선, 1937‧1938:1991. | 미소장 |
34 | 村山智順, 「석전(釋奠)․기우(祈雨)․안택(安宅)」, 조선총독부, 1938. | 미소장 |
35 | Hulbert, H.B., “Korean Mudang and P’ansu”, The Korea Review, Vol. 3, No. 4․5․6․7․8․9, Seoul: The Methodist Publishing House, 1903.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