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김홍진(2006). 교육과정 패러다임 이동과 대학 예술교육, 조형예술교육, 15, 143-150. | 미소장 |
2 | 김황기(2013). 분석에 반대한다. 미술교육논총, 24(3). 21-40. | 미소장 |
3 | 김황기(2016). 미술적 사고에 대한 탐구. 미술교육논총, 24(3). 21-40. | 미소장 |
4 | 이승종(2009). 문자, 영상, 인문학의 위기. 철학, 101. 139-160. | 미소장 |
5 | 이찬웅(2020). 들뢰즈, 괴물의 사유. 서울: 이학사. | 미소장 |
6 | 전인환(2015). 시력 약한 박쥐의 아름다운 퇴장: 새로운 인문학의 출현을 고대하며. 안과 밖, 39, 120-150. | 미소장 |
7 | 정혜진(2007). 호모 크레아토: 예술가의 조건. 서울: 학지사. | 미소장 |
8 | 한준상(2002). 호모에루디티오: 성인교육학의 사상적 토대. 서울: 학지사 | 미소장 |
9 | Caine, R., & Caine, G.(2017). Natural world for a connected world. (이찬승이한음 역). 뇌가 배우는 대로 가르치기. 서울: MBE한국뇌기반연구소. (원저출판 2011). | 미소장 |
10 | Csikszentmihalyi, M.(2003). Beyond boredom and anxiety: experiencing flow in work and play. (이삼출 역). 몰입의 기술. 서울: 더불어책. (원저 출판 2000). | 미소장 |
11 | Collingwood, G.(1958). The principle of art.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12 | Damasio, A. R.(1999). Descartes' error. (김린 역). 데카르트의 오류: 감정, 이성, 인간의 뇌. 서울: 중앙문화사. (원저출판, 1994) | 미소장 |
13 | Dewey, J.(2007). Democracy and education. (이홍우 역). 민주주의와 교육. 서울: 교육과학사. (원저출판 1916). | 미소장 |
14 | Eisner, E. W.(2005). Cognition and Curriculum Reconsidered. (박승배 역) 인지와 교육과정. 서울: 교육과학사, (원저출판 2003). | 미소장 |
15 | Fromm, E.(2007). To be or not to be? (차경아 역). 소유냐 존재냐. 서울: 까치 글방. (원저출판 1976). | 미소장 |
16 | Gardner, H.(2008). Five minds for futures. (김한영 역). 미래마인드: 미래를 성공으로 이끌 다섯 가지 마음 능력. 서울: 재인. (원저출판 2006). | 미소장 |
17 | Giddens, A.(1990). The Consequences of Modernity, Cambridge, UK: Polity. | 미소장 |
18 | Heidegger, M.(1936). The Origin of the Work of Art. (A. Hofstader, Trans.) New York: Harper & Row. | 미소장 |
19 | Huizinga, J.(1950). Homo Ludens. Boston: Beacon Press. | 미소장 |
20 | James, W.(1899). Talks to teachers on psychology, London: Longmans. | 미소장 |
21 | Knowles, M. S.(1975). Self-directed Learning: A Guide for Learners and Teachers. Chicago, IL: Follett Pub. Co. | 미소장 |
22 | Lakoff, J, & Johnson, M.(2002). Body minds. (임지룡, 윤희수, 노양진, 나익주 역). 몸의 철학. 서울: 박이정. (원저출판 1999) | 미소장 |
23 | Langer, E.(2008). On Becoming an Artist: Reinventing Yourself Through Mindful Creativity. (이모영 역). 예술가가 되려면. 서울: 학지사. (원저출판 2005). | 미소장 |
24 | Long, H. B.(1992). Philosophical, psychological and practical justifications or studying self-direction learning. In Long, H. (ed.), Self-directed learning: Application and research. Norman, OK: Oklahoma Research Center. | 미소장 |
25 | May, R.(1999). Courage to Create. (안병무 역). 창조와 용기. 서울: 범우사. (원저출판 1975). | 미소장 |
26 | Negri, A. & Hardt, M.(2008). Multitude. (조정환, 정남영, 서창현 역). 다중. 서울: 세종서적. (원저출판 2004). | 미소장 |
27 | Pinar, W. F.(1976). The trial. In W. Pinar, Autobiography, politics and sexuality: Essay in curriculum theory 1972-1992. NY: Peter Lang. 29-62. | 미소장 |
28 | Pinar, W. F.(2005). What is curriculum theory? (김영천 역). 교육과정이론이란 무엇인가?. 서울: 문음사. (원저출판 2004). | 미소장 |
29 | Pintrich, P. R., & De Groot, E. V.(1990). Motivational and self-regulated learning components of classroom academic performa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1), 33-40. | 미소장 |
30 | Read, H.(2007). Education through art. (황향숙, 김성숙, 김지균, 김향미, 김황기 역). 예술을 통한 교육. 서울: 학지사. (원저출판 1958). | 미소장 |
31 | Robinson, K.(2016). The element. (정미나 역). 엘리먼트. 서울: 21세기북스. (원저출판 2009). | 미소장 |
32 | Sahlberg, P.(2016). More opportunities for students. The Korea Times, 2016. 08. 31. | 미소장 |
33 | Shernoff, D., & Vandell, D.(2007). Engagement in after-school program activities.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36. 891-903. | 미소장 |
34 | Smart, A.(2014). Autopilot : the art and science of doing nothing. (윤채경 역). 뇌의 배신. 서울: 미디어윌. (원저출판 2011). | 미소장 |
35 | Steiner, R.(2005). Allgemeine menschenkunde als grundlage der padagogik. (김성숙 역). 교육의 기초로서 일반인간학. 서울: 물병자리. (원저출판 1919).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5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