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벌꿀에서 잔류 DNA의 분리를 위한 과정의 최적화 = Optimization of practical protocol for residual DNA from honey / 김선미 ; 김세건 ; 한상미 ; 윤병수 1

Abstract 1

서론 1

재료 및 방법 2

1. pGEM-sugarcane-cp(pSc) plasmid DNA 희석을 통한 특이유전자 검출한계 2

2. 용해용액(Lysis buffer)의 최적화 2

3. DNA binding column의 선발 3

4. Washing buffer의 선발 3

5. DNA Elution buffer 선정 3

결과 및 고찰 4

1. pGEM-sugarcane-cp(pSc) plasmid DNA를 이용한 특이유전자 검출한계 4

2. Guanidine hydrochloride(GnHCl)과 guanidine thiocyanate(GuSCN) 결합력 비교 4

3. DNA binding column 선발 4

4. Washing buffer 선정 5

5. DNA Elution buffer 선정 5

적요 6

1. 벌꿀에서 잔류 DNA의 순수분리법 6

2. 잔류 DNA 분리에 사용되는 시약 및 그 조성 6

인용문헌 6

[Fig.] 8

[Table] 10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꿀벌 탈분 활동 구역과 환경요인에 대한 상관 분석 연구 = A study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feces activity area and environment factors against western honeybee(Apis mellifera) 박보선, 최용수, 강은진, 박희근, 올가 프런제, 김경문, 김동원 p. 77-87

보기
실내 월동 온도 조건에 의한 양봉꿀벌의 월동 능력과 면역 관련 유전자 발현 분석 = Analysis of the honey bee, Apis mellifera, wintering ability and immune-related genes expression depending on the thermal conditions of the warehouse 김경문, 박보선, 김주경, 강은진, 최용수, 이만영, 김동원 p. 89-96

보기
디지털 센서를 이용한 겨울철 양봉꿀벌(Apis mellifera) 봉군 월동 종료 시기 분석 = Analysis of termination timing of over-wintering in honey bee (Apis mellifera) using digital sensors 박보선, 김경문, 김주경, 김동원, 최용수, 이만영, 강은진 p. 97-104

보기
착농약송환법 적용을 위한 살충 화합물의 말벌류 방제 효율 평가 = Evaluation of control efficiency against Vespa spp.(Family: Vespadae) using method of release after applying pesticide to the vespa body 김주경, 최용수, 강은진, 김수배, 김경문, 박보선, 김동원 p. 105-110

보기
국내 과채류에서 화분매개곤충 이용현황 = Current status of insect pollinators use for horticultural crops in Korea, 2020 윤형주, 이경용, 이영보, 이만영, Kathannan Sankar, 박정동 p. 111-123

보기
중부지역 주요 밀원식물에 대한 꿀벌의 방화활동 및 시기별 밀원조성 = Foraging activity of honeybee and seasonal composition of major honey plants in central area of South Korea 최진영, 임가윤, 오민석, 이승환 p. 125-139

보기
매실나무의 화밀분비량, 유리당 함량 및 꿀 생산량 추정 = Estimation of nectar secretion, sugar content and honey production of Prunus mume (Siebold) Siebold & Zucc. 김영기, 유희원, 권해연, 나성준 p. 141-147

보기
남부권역 유망 밀원수종 동백나무의 밀원가치 평가 = Evaluation of honey production of Camellia japonica L. 김영기, 유희원, 박문수, 권해연, 김만조, 나성준 p. 149-159

보기
명자나무의 꿀벌 방화와 밀원가치 평가 = Honeybee foraging activity and evaluation of honey value from Chaenomeles speciosa (sweet) Nakai 김영기, 유희원, 권해연, 나성준 p. 161-168

보기
국산 프로폴리스 추출물에 의한 Tau 과인산화 저해 및 세포 기전 탐색 = Inhibition of tau hyperphosphorylation and its molecular mechanism by Korean propolis extracts 김성국, 한상미, 김세건, 김효영, 유식, 우순옥 p. 169-176

보기
서양종꿀벌이 수집한 소나무 화분의 항산화 활성 = Antioxidant activity of Pinus densiflora pollen collected by Apis mellifera 이혜진, 한상미, 우순옥, 김효영, 김선미, 최홍민, 문효정, 김세건 p. 177-181

보기
국산 밤꿀 중 kynurenic acid의 UPLC 신속 분석법 = A rapid method for determination of kynurenic acid in Korean chestnut(Castanea crenata) honey by UPLC 김세건, 김효영, 최홍민, 이혜진, 문효정, 한상미 p. 183-188

보기
수벌번데기 추출물에서 알코올분해효소 활성조사 = Detection of alcohol dehydrogenase activity in extract of drone pupa 김선미, 김세건, 김효영, 우순옥, 최홍민, 문효정, 한상미 p. 189-194

보기
벌꿀에서 잔류 DNA의 분리를 위한 과정의 최적화 = Optimization of practical protocol for residual DNA from honey 김선미, 김세건, 한상미, 윤병수 p. 195-206

보기
벌꿀의 잔류 DNA에서 사탕수수 또는 사탕무 고유 유전자 검출을 위한 표준 유전자 검사법 = Standard protocols for molecular detection of specific genes originated sugar-cane or sugar-beet among residual DNA in honey 윤철기, 김선미, 윤민희, 윤병수 p. 207-220

보기
로열젤리 생산기술 개선을 통한 생산성 증대 비교 평가 = Comparative evaluation of productivity increase through improvement of royal jelly production technique 최홍민, 김세건, 김효영, 우순옥, 김선미, 문효정, 한상미 p. 221-228

보기

참고문헌 (1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AOAC. 1995. Official Method of Analysis of AOAC Intl. 20th ed. Method 998-12.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Arlington, VA, USA. 미소장
2 CODEX. 2001. CODEX STANDARD FOR SUGARS. CODEX STAN 212-1999. European Commission.2015. Official controls and enforcement. Honey 2015-16. Brussels, Belgium. 미소장
3 Elflein, L. and K. P. Raezke. 2008. Improved detectopm of honey adulteration by measuring differences between 13C/12C stable carbon isotope ratios of protein and sugar compounds with a combination of elemental anTable alyzer-isotope ratio mass spectrometry and liquid chromatomraphy-isoptope ratio mass spectrometry (δ13CEA/LC-IRMS). Apidologie 39: 574-587 미소장
4 Gadgil, H., S. A. Oak and H. W. Jarrett. 2001. Affinity purification od DNA-binding proteins. Journal of Biochemical and Biophysical Methods 49(1-3): 607-624. 미소장
5 Jain, S. A., F. T. de Jesus, G. M. Marchioro and E. D. de Araújo. 2013. Extraction of DNA from honey and its amplification by PCR for botanical identification. Food Sci. Technol. 33(4): 753-756. 미소장
6 Kim, B., J. Kim, S. Kim, M. Kim, A. T. Truong, K. Cho and B. Yoon. 2019. Detection of chronic bee paralysis virus using ultra-rapid PCR and nested ultra-rapid PCR. Journal of Apicultural Reserach 58(1): 133-140. 미소장
7 Kim, B., S. Kim, M. Kim, J. Kim, A. T. Truong and B. Yoon. 2018a. Detection of Sugar Cane (Saccharum officinarum)-specific Gene from Sugar and Sugar-honey. J. Apic. 33(3): 221-226. 미소장
8 Kim, S., B. Kim, M. Kim, J. Kim, A. T. Truong and B. Yoon. 2018b. Detection of Sugar Beet (Beta vulgaris)-Specific Gene from Honey Made by Sugar of Sugar Beet. J. Apic. 33(3): 213-219. 미소장
9 Kim, J. M., S. J. Lim, S. Kim, M. Kim, B. Kim, A. T. Truong, S. Kim and B. Yoon. 2020. Rapid detection of deformed wing virus in honeybee using ultra-rapid qPCR and a DNA-chip. J. Vet. Sci. 20(1): e4. DOI: 10.4142/jvs. 2020.21.e4. 미소장
10 MFDS. 2014, Food Standard Cod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Cheongju, Korea. 미소장
11 Ruppert, K. M., R. J. Kine and M. S. Rahman. 2019. Past, present, and future perspectives of enviromental DNA (eDNA) metabarcoding: a systematic review in methods, monitoring, and application of global eDNA. Glob. Ecol. Conserv. 17. DOI: 10.1016/j.gecco.2019.e00547. 미소장
12 Soaresa, S., J. S. Amaral, M. B. P. P. Oliveira and I. Mafra. 2015. Improving DNA isolation from honey for the botanical origin identification. Food Control 48: 130-136. 미소장
13 Sobrino-Gregorio, L., S. Vilanova, J. Prohens and I. Escriche. 2018. Detection of honey adulteration by conventional and real-time PCR. Food Control 95: 57-62. 미소장
14 Sung, H. J., C. Jung, J. Kwon and H. Y. Sohn. 2018. Evaluation of Commercial Korean Honey Quality and Correlation Analysis of the Quality Parameters. J. Life Sci. 28(12):1489-1500. 미소장
15 Truong, A. T., S. Sevin, S. Kim, M. S. Yoo, Y. S. Cho and B. Yoon. 2021. Rapidly quantitative detection of Nosema ceranae in honeybees using ultra-rapid real time quantitative PCR. J. Vet. Sci. 22(3): e40. DOI: 10.4142/jvs.2021.22.e40.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