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벌꿀의 잔류 DNA에서 사탕수수 또는 사탕무 고유 유전자 검출을 위한 표준 유전자 검사법 = Standard protocols for molecular detection of specific genes originated sugar-cane or sugar-beet among residual DNA in honey / 윤철기 ; 김선미 ; 윤민희 ; 윤병수 1
Abstract 1
서론 1
재료 및 방법 2
1. 국내 벌꿀 8종의 수집 2
2. 사탕수수 고유 유전자를 탑재한 표준물질(standard DNA) 2
3. 사탕무 고유 유전자를 탑재한 표준물질(standard DNA) 2
4. 벌꿀시료에서 잔류 유전자(residual DNA)의 분리 3
5. 사탕수수 고유 유전자 증폭을 위한 프라이머들 3
6. 사탕무 고유 유전자 증폭을 위한 프라이머들 3
7. 사탕수수 또는 사탕무 고유 유전자 증폭을 위한 초고속 PCR의 조성 3
8. 사탕수수 또는 사탕무 고유 유전자 증폭을 위한 4종 초고속 PCR의 조건들 4
9. 일반 PCR 기기를 사용한 사탕수수 또는 사탕무 고유 유전자 증폭 4
결과 및 고찰 4
1. Beet-specific Detection PCR의 특이성 및 정량성 4
2. 8개 벌꿀시료의 잔류 DNA에 대한 Cane-specific Detection PCR 4
3. 8개 벌꿀시료의 잔류 DNA에 대한 Beet-specific Detection PCR 5
4. 8개 벌꿀시료의 Cane detection PCR product에 대한 Cane-specific Nested PCR 6
5. 8개 벌꿀시료의 Beet detection PCR product에 대한 Beet-specific Nested PCR 8
6. 8개 벌꿀시료의 잔류 DNA에 대한 사탕수수 및 사탕무 유전자 검사의 판정 10
7. 일반 PCR 기기를 사용한 사탕수수 또는 사탕무 고유 유전자 증폭 11
적요 11
인용문헌 11
[Fig.] 13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Baksay, S., A. Pornon, M. Burrus, J. Mariette, C. Andalo and N. Escaravage. 2020. Experimental quantification of pollen with DNA metabarcoding using ITS1 and trnL. Sci. Rep. 10: 4202: DOI: 10/1038/s41598-020-61198-6. | 미소장 |
2 | Bell, K. L., N. de Vere, A. Keller, R. T. Richardson, A. Gous, K. S. Burgess and B. J. Brosi. 2016. Pollen DNA barcoding:current applications and future prospects. Genome 59: 629-640. | 미소장 |
3 | de Vere, N., L. E. Jone, T. Gilmore, J. Moscrop, A. Lowe, D. Smith, M. J. Hegarty, S. Creer and C. R. Ford. 2017. Using DAN metabarcoding to investigate honey bee foraging reveals limited flower use despite high floral availability. Sci. Rep. 7: 42838. DOI:10.1038/srep42838. | 미소장 |
4 | Kim, B. H., S. Kim, M. Kim, J. Kim, A. T. Truong and B. S. Yoon. 2018a. Detection of Sugar Cane (Saccharum officinarum)-specific Gene from Sugar and Sugar-honey. J. Apic. 33(3): 221-226. | 미소장 |
5 | Kim, B. H., S. Kim, M. Kim, J. Kim, A. T. Truong, K. J. Cho and B. S. Yoon. 2019. Detection of chronic bee paralysis virus using ultra-rapid PCR and nested ultra-rapid PCR. J. Apic. Res. 58(1): 133-140 | 미소장 |
6 | Kim, J. M., S. J. Lim, S. Kim, M. Kim, B. H. Kim, A. T. Truong, S. Kim and B. S. Yoon. 2020. Rapid detection of deformed wing virus in honeybee using ultra-rapid qPCR and a DNA-chip. J. Vet. Sci. 20(1): e4. DOI:10.4142/jvs.2020.21.e4. | 미소장 |
7 | Kim, S. M., B. H. Kim, M. Kim, J. Kim, A. T. Truong and B. S. Yoon. 2018b. Detection of Sugar Beet (Beta vulgaris)-Specific Gene from Honey Made by Sugar of Sugar Beet. J. Apic. 33(3): 213-219. | 미소장 |
8 | Kim, S. M., S. G. Kim, S. M. Han and B. S. Yoon. 2021. Optimization of practical protocol for residual DNA from honey (unpublished paper). | 미소장 |
9 | Ruppert, K. M., R. J. Kine and M. S. Rahman. 2019. Past, present, and future perspectives of enviromental DNA (eDNA) metabarcoding: a systematic review in methods, monitoring, and application of global eDNA. Glob. Ecol. Conserv. 17. DOI: 10.1016/j.gecco.2019.e00547. | 미소장 |
10 | Sobrino-Gregorio, L., S. Vilanova, J. Prohens and I. Escriche. 2018. Detection of honey adulteration by conventional and real-time PCR. Food Control 95: 57-62. | 미소장 |
11 | Truong, A.-T., B. H. Kim, J. Kim, S. Kim and B. S. Yoon. 2019. Rapid detection of Israeli acute paralysis virus using multi-point ultra-rapid real-time PCR (UR-qPCR). J. Apic. Res. 58(5): 746-753. DOI: 10.1080/00218839.2019.1653424. | 미소장 |
12 | Truong, A.-T., S. Kim and B.S. Yoon. 2021c. Determination of honey adulterated with corn syrup by quantitative amplification of maize residual DNA using ultra-rapid realtime PCR. J. Sci. Food Agric. 2021. DOI: 10.1002/jsfa. 11411. | 미소장 |
13 | Truong, A.-T., S. M. Kim, M. S. Yoo, Y. S. Cho and B. S. Yoon. 2021b. Susceptibility of Apis mellifera Larvae of Different Ages to Infection from Melissococcus plutonius, an European Foulbrood Disease-causing Pathogen. J. Apic. 36(2): 47-54. | 미소장 |
14 | Truong, A.-T., S. Sevin, S. M. Kim, M. S. Yoo, Y. S. Cho and B. S. Yoon. 2021a. Rapidly quantitative detection of Nosema ceranae in honeybees using ultra-rapid real time quantitative PCR. J. Vet. Sci. 22(3): e40. DOI:10.4142/jvs.2021.22.e40. | 미소장 |
15 | Wang, X., D. M. Morgan, G. Wang and N. M. Mozier. 2012. Residual DNA analysis in biologics development: review of measurement and quantitation technologies and future directions. Biotechnol. Bioeng. 109(2): 307-317. | 미소장 |
16 | Zheng, W., L. Jiang, Q. Lei, J. Yang, X. Gao, W. Wang, Y. Zhang, T. Kong, Q. Chen and G. Li. 2019.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Quantitative Real-Time PCR for the Detection of Residual CHO Host Cell DNA and Optimization of Sample Pretreatment Method in Biopharmaceutical Products. Methodology 21: 17. DOI:10.1186/s12575-019-0105-1.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3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