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상사의 감성리더십과 LMX가 미용서비스 종사자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 Emotional leadership, LMX, and attitudes of beauty service workers : focusing on the mediation effect of empowerment /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허지영, 김상수 p. 1-28
서비스 자기효능감과 책임감이 서비스지향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perceived service self-efficacy, service responsibility on service-orient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 the authentic leadership as a moderator / 진성리더십의 조절효과 임희윤, 조윤형 p. 29-57
델파이 기법을 이용한 항공서비스학과의 교육서비스품질 측정도구 개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measuring instrument of educational service quality for the department of airline services using delphi method 배신영, 홍석기 p. 58-83
의료기관 종사자의 그린헬스케어 인식도 조사 = A study on healthcare workers’ perception of green healthcare 이상식, 이돈희 p. 84-111
의료서비스조직에서 중간관리자의 코칭리더십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aching leadership of middle manager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medical service organizations 양진영, 김기영, 박종우 p. 112-132
(A) study on emotions and purchasing behavior of duty-free store in Korea : 고객 감정과 구매 행동에 대한 연구 : 한국 면세점에 대한 중국인 관광객을 중심으로 / focusing on Chinese tourists An, Di, Kim, Eunmi, Kim, Jin-Young, Koo, Chulmo p. 133-164

정부의 규제와 규제개선정책이 물류기업의 혁신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 of government regulations and regulatory improvement policies on the innovation efficiency of logistics companies 김영준, 강세원, 김창희 p. 165-185
조직공정성과 신뢰가 지식관리 관련 갈등 및 지식축적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 justice and trust on conflicts and knowledge hoarding : analysis of moderating effect on knowledge territoriality / 지식 영역성의 조절효과 분석 황인호 p. 186-213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직무역량이 브랜드 이미지와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airline in-flight attendants’ job competency on brand image and reuse intention 첸드돌람, 김민수, 이슬기 p. 214-235
은퇴자의 긍정심리자본이 재취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the re-employment intention of retirees 권혁채, 김현화, 조동혁 p. 236-259
패션 브랜드 앱의 지속사용의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continuous use intention of fashion brand apps : comparison of gender differences / 성별 차이 비교 추혜인, 나건 p. 260-277
자원 제약을 고려한 일정 문제 : Resource constrained project scheduling problem : case with possible rework while activity / 활동 진행중 재작업이 가능한 경우 이두희, 백인섭, 김승겸, 안태호 p. 278-303
소셜 미디어 속 타인의 과시적 소비에 대한 소비자 반응 연구 : The study of consumer responses toward conspicuous consumption in social media : focusing on roles of perceived fitness and self-esteem / 지각된 적합성과 자아존중감의 역할 중심으로 이진석 p. 304-323

서비스 제공자의 심리적 주인의식이 인게이지먼트와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service provider's psychological ownership on engagement and customer orientation 윤주옥, 김민경, 서창적 p. 324-345
스마트 스피커와의 상호작용성, 의사소통 효능감, 이용자 태도 간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 An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 among interactivity with smart speaker, communication efficacy, and user attitude 김영경, 이루리, 고민정 p. 346-368
실감형 콘텐츠의 특성이 교육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 of VR contents characteristics on educational effects : focusing on the perceived characteristics of VR content / VR콘텐츠의 지각된 특성을 중심으로 김기윤 p. 369-390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시대의 6차산업 소비자의 특성과 만족도 분석 = Analysis of consumer characteristics and satisfaction in the 6th industry of digital transformation 백창화, 손은일 p. 391-407

참고문헌 (62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경란, 박철우 (2017), 경력지향성이 창·재취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사회적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벤처창업연구, 12(5), 177-189. 미소장
2 강인주, 정철영 (2015),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이직의도와 경력학습, 고용가능성, 조직몰입 및 경력몰입의 관계,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7(2), 149-175. 미소장
3 권석만 (2008), 긍정심리학, 17, 서울: ㈜학지사. 미소장
4 김강훈, 김정기, 박상만 (2012), 긍정심리자본, 서울: 럭스미디어. 미소장
5 김대영, 이수영 (2020), 중소기업 초기 경력자의 만화경 경력 태도, 경력 계획, 경력몰입의 관계, 직업능력개발연구, 23(1), 1-37. 미소장
6 김동철, 김대건 (2012), 긍정조직행태 주요 요인 간 관계에 관한 연구: 진성리더십, 심리적 자본, 심리적 주인의식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46(4), 27-51. 미소장
7 김성국, 이용주, 박경희 (1998), 여성관리자의 경력선택과 문제점-경력계획 접근법을중심으로, 한국인사조직학회 발표논문집, 64-85. 미소장
8 나기현 (2015), 경력계획과 경력성공의 관계에 미치는 경력몰입의 매개역할, 전문경영인연구, 18(1), 47-67. 미소장
9 라진구 (2008), 고령자 재취업 및 직종 선택의 결정요인과 정책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10 미래에셋은퇴연구소 (2019), 5060 일자리 노마드족이 온다: 5060 퇴직자의 재취업 일자리 경로분석, 서울: 미래에셋은퇴연구소. 미소장
11 박보겸, 이경님 (2019), 어린이집 조직건강성과 영아교사의 긍정심리자본 및 소진이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 코칭연구, 12(5), 5-25. 미소장
12 박정영 (2009), 코칭학의 유형분류를 위한 기초적 접근-코칭형태분류를 중심으로, 코칭연구, 2(1), 61-77. 미소장
13 박종우 (2007), 경영관리능력과 품질경영수준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생산관리학회지, 18(1), 129-149. 미소장
14 배을규, 김대영, 이윤진, 강선희 (2020), 경력단절여성의 사회적 지지, 하향 취업 의향과 적극적 구직 행동의 관계에 대한 경력 계획의 조절된 매개 효과, Andragogy Today, 23(1), 1-29. 미소장
15 성소영 (2019), 공연예술단체 단원의 주도적 경력계획이 경력만족 및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 대한무용학회논문집, 77(5), 151-166. 미소장
16 손정현, 이영민 (2011), 중고령 여성인력의 취업 결정요인 분석, 인적자원관리연구, 18(4), 69-88. 미소장
17 서연희 (2020), 체조지도자의 긍정심리자본과 경력몰입, 직무만족의 구조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29(1), 265-278. 미소장
18 원상봉, 이지현 (2011), 리더의 코칭리더십이 구성원의 경력계획 및 태도에 미치는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3(2), 147-157. 미소장
19 이상훈, 변미희, 여인주 (2014), 컨벤션산업종사자의 역할스트레스요인이 이직의도에미치는 영향, MICE 관광연구 (구 컨벤션연구), 37(0), 135-156. 미소장
20 이소희, 길영환, 도미향, 김혜연 (2014), 코칭학개론, 서울:도서출판 신정. 미소장
21 이응목, 유기웅 (2017), 퇴직한 중년남성의 재취업과정 탐색, 사회과학연구, 28(2), 59-78. 미소장
22 이한석, 이영균 (2019), 신중년의 긍정심리자본이 재취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17(5), 33-40. 미소장
23 임숙빈, 이미영, 김세영 (2015), 일개 종합병원 간호사의 조직몰입, 간호업무환경, 사회적지지, 간호행정학회지, 21(1), 1-9. 미소장
24 전수진, 나정미 (2013),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긍정심리자본과 경력계획에 미치는영향, 관광경영연구, 17(3), 319-342. 미소장
25 정선정, 정진철 (2014), 실업자 직업훈련생의 사회심리적 특성과 훈련프로그램 특성, 학습몰입 및 경력계획이 고용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6(4), 61-89. 미소장
26 정주환, 양동우 (2018), 중소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프로틴 경력태도, 사회적지지, 경영자에 대한 신뢰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창업학회 춘계학술대회발표집, 2018, 20-49. 미소장
27 정지아 (2017), 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이 전공만족도와 경력계획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비스경영학회지, 18(1), 217-244. 미소장
28 조윤서, 강순희 (2015), 긍정심리자본, 조직풍토, 수행직무특성, 조직유효성의 구조적관계분석, 진로교육연구, 28(3), 123-153. 미소장
29 조혜신 (2018), 사회적지지가 특수교사의 교직적응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30 최소연, 장현숙 (2012),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사회복지사의 업무관련특성과 소진 및이직의도의 관계, 한국지역사회복지학, 43, 297-318. 미소장
31 탁진국 (2019), 코칭심리학, 서울: ㈜학지사. 미소장
32 한국고용정보원 (2018), 신중년 경력개발 상담자를 위한 역량강화서: 이제는 신중년으로(路), 충북: 한국고용정보원. 미소장
33 한영석, 탁진국, 한태영, 김미희, 유태용, 김태은, 최종길 (2006), 장년층 구직자의 구직강도에 대한 재취업 제한요건의 영향: 구직효능감과 경력계획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06(1), 474-475. 미소장
34 한희승, 이근모 (2016), 체육계열학과 대학생들의 긍정심리자본과 경력계획 및 취업준비행동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55(3), 59-69. 미소장
35 Aryee, S., & Tan, K. (1992), Antecedents and outcomes of career commitm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40(3), 288-305. 미소장
36 Avey, J. B., Wernsing, T. S. & Luthans, F. (2008), Can positive employees help positive orgaizational change, Impact of Psychological Capital and Emotions on Relevant Attitudes and Behaviors, Journal of Applied Behavioral Science, 44(1), 48-70. 미소장
37 Bandura, A. (1977), Self-efficacy ;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215. 미소장
38 Bandura, A. (1986), Social Foundational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 J. Prentice-hall. Inc., USA. 미소장
39 Bandura, A. (1989), Human Agency in Social Cognitive Theory, Am Psychol, 44(9), 1175-1184. 미소장
40 Bench, M. (2003), Career coaching, Mountain View, CA: Davis Black Publishing. 미소장
41 Blau, G. (1985), The measurement and prediction of career commitment,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58(4), 277-288. 미소장
42 Caplan, R. D., Vinokur, A. D., Price, R. H., & Van Ryn, M. (1989), Job seeking reemployment, and mental health: A randomized field experiment in coping with job los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4(5), 759-769. 미소장
43 Chung, Y. B., & Gfroerer, M. C. A.(2003), Career coaching: Practice, training, professional, and ethical issues, The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52(2), 141-152. 미소장
44 Cobb, S. (1976),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lif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38(5), 300-314. 미소장
45 Cohen, S., & Hoberman, H. M. (1983),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s as buffers of life change stress 1,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13(2), 99-125. 미소장
46 Gould, S. (1979), Characteristics of career planners in upwardly mobile occupation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22(3), 539-550. 미소장
47 Hall, D. T. (1971), A Theoretical Model of Career Sub-identity Development in Organizational Settings, Organization Behavior and Human Performance, 6(1), 50-76. 미소장
48 Hall, D. T. (1976), Careers in organizations, Pacific Palisades, CA: Goodyear Publishing. 미소장
49 Hube, K. (1996), A coach may be the guardian angel you need to rev up your career, Money, 25(12), 43-45. 미소장
50 House, J. S. (1981), Work, stress and social support, and Health: The promise and The Problems, Reading, MA: Addison Wesley Pub. Co. 31. 미소장
51 Kaplan, H. B., Cassel, J. C., & Gore, S. (1977), Social support, and health, Medical Care, 15(5), 47-58. 미소장
52 Luthans, F. (2002), The need for and meaning of positive organizational behavior,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and Behavior, 23(6), 695-706. 미소장
53 Luthans, F., & Avolio, B. J. (2003), Authentic leadership development, New York: Positive organizational scholarship. 미소장
54 Luthans, F., Avolio, B. J., Walumbwa, F. O., & Li, W. (2005), The psychological capital of Chinese workers: Exploring the relationship with performance, Management and Organization Review, 1(2), 247-269. 미소장
55 Luthans, F., Youssef C. M., & Avolio, B. J. (2007), Psychological capital,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미소장
56 McLean, G. N., Yang, B., Kuo, M. C., & Tolbert, A. S. (2005), Development &Initial Validation of an Instrument Measuring Managerial Coaching Skill,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rterly, 16(2), 157-178. 미소장
57 Scheier, M. F., Carver, C. S.(1992), Effect of optimism on psychological and physical well-being: Theoretical overview and empirical update,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16, 201-228. 미소장
58 Seligman, M. E. (1998), Building human strength: Psychology's forgotten mission, New york: American Psychological Assiciation. 미소장
59 Snyder, C. R., Rand, K. L., & Sigmon, D. R. (2002), Hope theory,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NY: Oxford University Press. 미소장
60 Stajkovic, A. D. (2006), Development of a core confidence-higher order construc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1(6), 1208. 미소장
61 Van Hooft, E. A., & De Jong, M. (2009), Predicting job seeking for temporary employment us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ur,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82(2), 295-316. 미소장
62 Wangensteen, S., Johansson, I. S., & Nordström, G. (2008), The first year as a graduate nurse–an experience of growth and development,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7(14), 1877-1885.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