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알렉산드르 소쿠로프 감독의 <파우스트>는 괴테의 『파우스트』를 영화화하였다. 영화화 과정에서 문학의 구원에 관한 주제는 전복된다. 영화는 괴테의 중세적 분위기를 영상으로 구현하면서 종교적 구원이 아니라 인간의 정신에 내재화된 악의 기원을 구현한다. 괴테의 『파우스트』의 비극적 요소는 형이상학적 고뇌와 진리의 탐구, 그리고 감각적 욕망에서 비롯된다. 이러한 비극적 요소는 끊임없이 무엇인가 추구하려는 파우스트의 의지적 행동과 생성으로 연결된다. 괴테는 극의 전개 과정에서 무한한 생성의 의욕과 변화를 구현한다. 한편 소쿠로프 감독의 <파우스트>에서 비극적 요소는 정신적, 물질적 곤궁과 결핍이다. 곤궁과 결핍은 생성과 변화가 아니라 이미 소멸되거나 파괴된 굳음과 정체를 추구한다.
소쿠로프 감독의 <파우스트>는 권력에 관한 4부작 시리즈 중 마지막 작품이다. 그의 영화 속 파우스트는 4부작 시리즈주인공(레닌, 히틀러, 히로히토)의 욕망을 투영하고 있다. 영화는 사랑과 구원에 대한 실천과 노력이 부재하고, 끊임없이 노력하는 인간의 구원이 아니라 악마를 유혹하는 인간 욕망의 기원을 이야기한다.
소쿠로프는 정치적, 역사적 이념에 대한 비판과 논쟁 보다는 인간의 육체와 죽음에 주목하는 것처럼 이 작품 역시 문학에서 발견할 수 있는 생성과 변화가 아니라 권력 욕망의 기원을 육체와 죽음에서 찾으려 한다. 그 과정에서 곤궁과 결핍은 죄악과 근심으로 연결되지만 문학작품과 연관되지 않고 인간의 악마성으로 연결된다. 즉 영화에서 발견할 수 있는 악마는 곤궁과 결핍에서 시작하여 스스로 악마를 처단함으써 신이 되려는 인간 모습으로 마무리된다. 인간의 내재화된 악의 기원은 곤궁과 결핍에서 비롯되었다. 소쿠로프 감독의 영화가 열린 구조로 마무리되면서 다양한 해독 가능성이 있지만 이 논문은 문학작품 속 생성과 변화가 영화 속 굳음과 정체로 연결되는 지점을 독해하면서 문학 속 인물의 틀을 유지하면서 주제를 전복하는 작품 속 상징들을 발견할 수 있다.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니체, 김정현 옮김, 『선악의 저편⋅도덕의 계보』, 니체전집 14, 책세상, 2013. | 미소장 |
2 | 안진태, 『불멸의 파우스트』, 열린책들, 2020. | 미소장 |
3 | 오순희, 「소리없는 이미지들의 표현력 – 프리드리히 빌헬름 무르나우의 무성영화 『파우스트』를 예로」, 독일어 문화권 연구 28, 2019. | 미소장 |
4 | 요한 볼프강 폰 괴테, 이인웅 옮김, 『파우스트 1』, 문학동네, 2010. | 미소장 |
5 | 요한 볼프강 폰 괴테, 이인웅 옮김, 『파우스트 2』, 문학동네, 2010. | 미소장 |
6 | 이채원, 『소설과 영화, 매체의 수사학』, 국학자료원, 2012. | 미소장 |
7 | 이지연⋅홍상우 엮음, 『알렉산드르 소쿠로프 : 폐허의 시간』, 한국외국어대학교 러시아연구소HK연구사업단 학술연구총서, 한울아카데미, 2015. | 미소장 |
8 | 자크 오몽, 김호영 옮김, 『영화 속의 얼굴』, 마음산책, 2006. | 미소장 |
9 | 정미숙, 『영화 속 인문학 여행』, 경성대학교 출판부, 2015. | 미소장 |
10 | 제프리 버튼 러셀, 김영범 옮김, 『근대세계의 악마 : 메피스토펠레스』, 악의 역사4권, 2006. | 미소장 |
11 | http://magazines.russ.ru/zvezda/2012/8/ku18.html | 미소장 |
12 | http://old.kinoart.ru/2002/7/5.html | 미소장 |
13 | http://anthropology.ru/ru/texts/ustyugova/sokurov_11.html | 미소장 |
14 | 알렉산드르 소쿠로프, <파우스트>, 2011. | 미소장 |
15 | 무르나우, <파우스트>, 1926.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6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