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15세 이하 입원 진료비 본인부담 경감 정책이 평균재원일수 및 입원 진료비 변화에 미친 영향 분석 = The Effect of Co-insurance Reduction Policy on the Average Length of Stay and the Cost of Hospital Admission of Patients under Age of 15 / 김현화 ; 김희년 ; 정효정 ; 서영준 1
Abstract 1
I. 서론 1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 목적 2
II. 선행연구 고찰 2
III. 연구방법 3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3
2. 변수의 정의 4
3. 분석방법 5
IV. 연구결과 5
1. 의료이용량 및 진료비에 대한 정책 전후의 차이 분석 5
2. 의료이용량 및 진료비에 대한 정책 효과 분석 5
V. 고찰 및 결론 8
1. 연구 결과에 대한 고찰 및 제언 8
2. 연구의 한계점 10
3. 결론 11
Reference 11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김계현. 정부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방안의 현황과 과제. 의료정책포럼, 2018, 16.2: 66-74. | 미소장 |
2 | 서남규, et al. 한국의료패널 자료를 활용한 재난적 의료비 발생 가구 분석 연구.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2015, 21.1: 79-102. | 미소장 |
3 | 김윤. 문재인 케어의 평가와 성공전략. 월간 복지동향, 2017, 228: 39-47. | 미소장 |
4 | 보건복지부 (2017). 보건복지부 길잡이 통계, 2017; 세종 | 미소장 |
5 | 김지혜. 건강보험 본인부담금 면제 정책 효과성 분석: 6세 미만 아동 입원을 중심으로. 응용경제, 2017, 19.2:5-39. | 미소장 |
6 | Kill, A; Kurt, H. How does copayment for health care services affect demand, health and redistribution? A systematic review of the empirical evidence from 1990 to 2011. The European Journal of Health Economics, 2014, 15.8:813-828. | 미소장 |
7 | Arrow, KJ. Uncertainty and the welfare economics of medical care. Uncertainty in economics, 1978, 345-375. | 미소장 |
8 | Pauly, MV. The economics of moral hazard:comment. The American Economic Review, 1968, 58.3: 531-537. | 미소장 |
9 | Kowalski, A. Censored quantile instrumental variable estimates of the price elasticity of expenditure on medical care. Journal of Business &Economic Statistics, 2016, 34.1: 107-117. | 미소장 |
10 | Scoggins, JF.; Weinberg, DA. Healthcare coinsurance elasticitcCoefficient estimation using monthly cross‐sectional, time‐series claims data. Health Economics, 2017, 26.6: 795-801. | 미소장 |
11 | Duarte, F. Price elasticity of expenditure across health care services. Journal of Health Economics, 2012, 31.6: 824-841. | 미소장 |
12 | Brot-Goldberg ZC. et al.. What does a deductible do? The impact of cost-sharing on health care prices, quantities, and spending dynamics. The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2017, 132.3: 1261-1318. | 미소장 |
13 | 김수연. 보장성 강화정책에 따른 15세 이하 입원 아동의 의료이용 분석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2018 | 미소장 |
14 | 최연희. 중증질환 보장성강화가 심·뇌혈관질환자의의료이용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2009. | 미소장 |
15 | 김지은. 산정특례제도에 따른 건강보험 보장성강화가의료이용에 미치는 영향-희귀난치성질환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2014. | 미소장 |
16 | 장수목. 암 본인부담률 인하정책이 의료이용과 의료비부담에 미친 영향-건강보험 빅데이터를 이용하여-[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2018. | 미소장 |
17 | 강경화. 본인부담금 변화에 따른 6세미만 입원 아동의의료이용 변화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2011. | 미소장 |
18 | 김진환. 6세 미만 영유아 입원 진료비 감면정책 평가-베이지안 구조적시계열 모형을 사용하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2019. | 미소장 |
19 | Currie, J. Decker, S. Lin, W. Has public health insurance for older children reduced disparities in access to care and health outcomes?. Journal of Health Economics, 2008, 27.6: 1567-1581. | 미소장 |
20 | Cassedy, A, Fairbrother, G, Paul W. The impact of insurance instability on children's access, utilization, and satisfaction with health care. Ambulatory Pediatrics, 2008, 8.5: 321-328. | 미소장 |
21 | 신영석, 강희정, 신현웅, 황도경, 김수진, 김소운 et al. 제3차 상대가치 개편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9 | 미소장 |
22 | 곽숙영. ʻ6세 미만 아동 본인부담금 면제정책ʼ 효과평가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2008.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5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