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세 행동 체계 기반 가정교과 의생활 자유학기제 프로그램과 수행평가 개발 = Development of a program and assessment in clothing section applying three systems of action in home economics education / 정혜진 ; 유난숙 1
요약 1
I. 서론 2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2. 연구내용 3
II. 이론적 배경 4
1. 가정교과 자유학기 프로그램 개발 현황 4
2. 가정교과의 세 행동 체계 4
3. 의생활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선행 연구 6
III. 연구 방법 7
1. 연구 방법 개요 7
2. 연구 절차 7
IV. 연구 결과 9
1. 분석 결과 9
2. 설계 결과 10
3. 개발 결과 14
4. 평가 결과 17
5. 평가 후 수정된 결과 18
V. 요약 및 결론 21
참고문헌 23
Abstract 26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고재윤(2019). 자유학기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식행동 및 식생활에 미치는 효과.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 | 곽현지(2020). 중학교 가정교과의 남북한 통합 교육과정 모듈 개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3 | 교육부(2015).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교육과학 기술부 고시 제 2015-74호. | 미소장 |
4 | 교육부(2013). 중학교 자유학기제 시범 운영계획(안). | 미소장 |
5 | 교육부(2015). 중학교 자유학기제 시행계획(안). | 미소장 |
6 | 김경숙(2017). 자유학기제에서 의생활 영역의 활동과 요구도.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9(4), 105-121. | 미소장 |
7 | 김남은, 이혜자(2010). 주제 중심 통합적 접근에 의한 가정 교과 의생활 영역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22(3), 163-188. | 미소장 |
8 | 김민채, 김영환(2019). 자유학기제 관련 연구에서 나타난 활동 프로그램 경향 분석. 교육문화연구, 25(1), 359-378. | 미소장 |
9 | 김샛별(2019). 고등학교 가정과 메이커교육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한복과 창의적인 의생활’ 내용 요소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31(4), 63-79. | 미소장 |
10 | 김성숙, 김정현, 정인경(2017). 자유학기제 운영에 대한 가정과 교사의 인식 분석.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29(1), 111-124. | 미소장 |
11 | 김영심, 이성숙(2014). 초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을 활용한 의생활주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7(2), 173-195. | 미소장 |
12 | 김영애, 유난숙(2013). 스마트교육을 기반으로 한 의생활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25(1), 155-172. | 미소장 |
13 | 김정은, 이윤정(2014). 창의인성 의생활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창의성과 인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7(3), 93-114. | 미소장 |
14 | 김주웅(2014).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초등 의생활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5 | 김준영, 이윤정(2012). 실과 의생활 영역을 활용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다문화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5(1), 269-287. | 미소장 |
16 | 남궁정(2020). 그림책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 개발: 중학교 가정과 자유학기제 주제선택활동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7 | 류솔님, 이윤정(2014). 실과 의생활 영역을 활용한 진로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인식에 미치는 효과. 실과교육연구, 20(3), 83-104. | 미소장 |
18 | 박선영(2018). 중학교 자유학기의 가정교과 연계 주제선택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9 | 박은미(2016). 자유학기제 운영에 대한 학교구성원들의 만족도 조사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0 | 박지혜, 이성숙(2010). 실과 의생활 영역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3(2), 479-498. | 미소장 |
21 | 배현영(2012). 문화예술교육과 경험을 중심으로 한 중학교 의생활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22 | 백은미(2018). 자유학기제 운영실태에 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비교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3 | 송효정(2013). 실과 의생활 영역을 활용한 창의성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4 | 송효정, 이윤정(2013). 실과 의생활 영역을 활용한 창의성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6(1), 63-82. | 미소장 |
25 | 신재미(2020). 자유학기 운영 실태 및 만족도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6 | 신철균(2015). 자유학기제 운영 개선 방안연구: 일반학기와의 연계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RR 2015-24. | 미소장 |
27 | 신철균, 황은희, 김은영(2015). 자유학기제 운영 실태 분석 연구. 아시아교육연구, 16(3), 27-55. | 미소장 |
28 | 신현석, 이예슬, 정양순(2018). 역사적 신제도주의와 정책흐름모형을 활용한 교장임용제도 변화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35(3), 455-490. | 미소장 |
29 | 양소윤, 이윤정(2013) 녹색 의생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환경 행동에 미치는 효과, 실과교육연구, 19(1), 147-166. | 미소장 |
30 | 양용(2016). 지속가능한 패션교육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연구: 중・고등학교 의생활교육을 중심으로. 디자인융복합연구, 15(6), 56-72. | 미소장 |
31 | 양현숙, 이연희, 어미경(2017). 업사이클링 주제의 가정과 의생활 영역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9(2), 49-61. | 미소장 |
32 | 유인영(2019). 고등학교 가정과 ‘건강한 커플관계’ 교육과정(안)의 개발 및 실행: 백워드 디자인에 기초하여.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33 | 유태명, 이수희(2010). 실천적 문제 중심 가정과 수업: 이론과 실제. 북코리아. | 미소장 |
34 | 이경숙, 유태명, 양지선(2018). 교육과정, 수업, 평가의 일체화를 위한 가정과 과정 중심 수행과제 개발.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30(4), 165-185. | 미소장 |
35 | 이윤정(2013a). 초등 실과 의생활영역에서의 인성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실과교육학회, 19(3), 65-84. | 미소장 |
36 | 이윤정(2013b). 실과 의생활영역에서의 발명교육가능성 탐색 및 발명교육프로그램 개발. 실과교육학회지, 19(4), 25-47. | 미소장 |
37 | 이윤정(2014). 실과 의생활영역을 중심으로 한 소비자교육프로그램개발.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7(2), 53-72. | 미소장 |
38 | 이윤정, 최경은(2013). 창의적 체험활동을 위한 의생활영역의 창의・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6(1), 83-100. | 미소장 |
39 | 이현승, 이윤정(2016). 의생활영역에서의 감성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감성지능에 미치는 효과. 실과교육연구, 22(1), 1-15. | 미소장 |
40 | 장봉옥, 이윤정(2009). 재량활동 시간을 활용한 의생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의생활 태도에 미치는 효과. 실과교육연구, 15(1), 87-108. | 미소장 |
41 | 전경희(2016). 과정 중심 수행평가의 방향과 과제. 한국 교육 개발원, 이슈 페이퍼 CP 2016-02-4. | 미소장 |
42 | 조윤주(2015). 창의인성 함양을 위한 실과 의생활 단원 프로그램 개발.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8(4), 255-269. | 미소장 |
43 | 조윤주(2016). 예비 초등교사를 위한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기초한 의생활영역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9(4), 43-62. | 미소장 |
44 | 주수언(2014). 숙의를 통한 비판과학 관점의 통합 지향적 가정교과 교육과정 개발. 경상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45 | 주수언, 유태명(2016). 가정교육의 핵심 개념과 세 행동 체계를 통합한 교육과정 설계. 실과교육연구, 22(2), 123-141. | 미소장 |
46 | 천정훈, 조윤주(2010). 초등학생의 의생활 태도 함양을 위한 의복관리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3(3), 101-121. | 미소장 |
47 | 최경은, 이윤정(2013). 창의적 체험활동을 위한 실과 의생활영역의 창의ㆍ인성교육프로그램 개발. 한국실과교육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3.01, 117-137. | 미소장 |
48 | 최성연(2020). 세 행동체계를 통합한 초‧중등 가정교과 식생활 교육과정 개발: Habermas의 ‘인식과 관심’에 기초하여.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49 | 최예지(2020).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을 위한 가정교과 의생활 자유학기제 주제선택활동 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50 | 하정희, 김명희, 조영아, 김상희(2018). 중학생들의 자유학기제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학교사회복지, 42(1), 139-162. | 미소장 |
51 | Brown, M. M., Paolucci, B. (1979). Home Economics: A definition. Washington, DC: Americ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미소장 |
52 | Habermas, J. (1971). Knowledge and human interests. Translated by J. Shapiro. Boston, MA: Beacon Press. | 미소장 |
53 | National Association of State Administrators for Family and Consumer Sciences (1998). National Standards for Family and Consumer Sciences Education. | 미소장 |
54 | Nitko, A. J., Brookhart, S. M. (2011). Educational Assessment of Students. Boston, MA: Pearson/Allyn & Bacon.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