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임상간호사의 욕구만족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 김화진 ; 신선화 1

요약 1

Abstract 1

1. 서론 2

1.1. 연구의 필요성 2

1.2. 연구목적 3

2. 연구방법 3

2.1. 연구설계 3

2.2. 연구대상 3

2.3. 연구도구 3

2.4. 자료수집 및 윤리적 고려 4

2.5. 자료분석 4

3. 연구결과 4

3.1. 일반적 특성 4

3.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생리적 욕구, 안전 욕구, 소속감 욕구, 존중 욕구 및 자아실현 욕구 4

3.3. 임상간호사 욕구만족,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의 상관관계 6

3.4. 임상간호사 욕구만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6

3.5. 임상간호사 욕구만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7

3.6. 임상간호사 욕구만족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직무 만족의 매개효과 7

4. 논의 8

5. 결론 10

REFERENCES 11

[저자소개] 12

초록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임상간호사를 대상으로 Maslow의 욕구위계이론에 근거한 5가지 욕구만족이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욕구만족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확인한 융합연구이다. 연구참여자는 서울에 소재한 종합병원의 임상간호사 239명이었다. 수집한 자료는 위계적 회귀분석과 PROCESS Macro (Model 4)를 이용하여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생리적 욕구와 안전 욕구는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소속감 욕구, 존중 욕구 및 자아실현 욕구가 직무만족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반면, 생리적 욕구와 존중 욕구가 이직의도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쳤다. 임상간호사의 욕구만족(생리적 욕구, 안전 욕구, 소속감 욕구 및 자아실현 욕구)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변수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임상간호사의 5가지 욕구만족이 증가하면 직무만족을 매개로 하여 의직의도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간호사의 욕구만족과 직무만족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음을 논의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심리학적 언어분석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융합연구 : A convergence study for development of psychological language analysis program : comparison of existing programs and trend analysis of related literature / 기존 프로그램의 비교와 관련 문헌의 동향 분석 김영준, 최원일, 김태훈 p. 1-18

보기
AMI 사업에 민간투자를 유인하기 위한 우크라이나 배전서비스 요금정책 연구 = A study on the electricity distribution tariff regulation of Ukraine to encourage private investment on the AMI 김철년 p. 19-26

보기
자기조직화지도를 통한 아파트 가격의 패턴 분석 = Pattern analysis of apartment price using self-organization map 이지영, 유재필 p. 27-33

보기
Zero-Shot 기반 기계번역 품질 예측 연구 = Study on zero-shot based quality estimation 어수경, 박찬준, 서재형, 문현석, 임희석 p. 35-43

보기
딥러닝 기반의 Multi Scale Attention을 적용한 개선된 Pyramid Scene Parsing Network = Modified pyramid scene parsing network with deep learning based multi scale attention 김준혁, 이상훈, 한현호 p. 45-51

보기
(A) study on the acceptability for mobile payment platforms by China's early elder people = 중국 초로(初老) 집단의 모바일 결제 플랫폼에 대한 수용성 연구 Li Yuan Bao, Younghwan Pan p. 53-67

보기
인공신경망 기계번역에서 디코딩 전략에 대한 연구 = Study on decoding strategies in neural machine translation 서재형, 박찬준, 어수경, 문현석, 임희석 p. 69-80

보기
하모니 탐색 알고리즘의 선도 연구에 관한 최첨단 기술 동향과 사례 분석 = State of the art technology trends and case analysis of leading research in harmony search algorithm 김은성, 신승수, 김용혁, 윤유림 p. 81-90

보기
데이터 확장 기법에서 손실값을 대치하는 확률 추정 방법 = Probability estimation method for imputing missing values in data expansion technique 이종찬 p. 91-97

보기
주성분 분석 기법을 활용한 시계열 데이터 분석 및 예측 시스템 = Time series data analysis and prediction system using PCA 진영훈, 지세현, 한군희 p. 99-107

보기
Back TranScription(BTS)기반 데이터 구축 검증 연구 = A study on verification of back transcription(BTS)-based data construction 박찬준, 서재형, 이설화, 문현석, 어수경, 임희석 p. 109-117

보기
Dose customized apron micro functional design using convergence shielding sheet = 융합 차폐시트를 이용한 선량 맞춤형 에이프런 마이크로 기능성 디자인 Seon-Chil Kim p. 119-126

보기
청소년의 구강건강 특성이 주관적 행복에 미치는 융합 요인 : Convergence factors of influencing subjective happiness of oral health characteristics in adolescents : the 16th(2020) Korea Youth Risk Behavior Survey / 제16차(2020년) 청소년건강행태조사 이성림 p. 127-134

보기
장시간 스마트폰 사용으로 VDT증후군을 가진 20대 성인의 체외충격파적용이 목-어깨의 복합적 통증지수에 대한 효과 = The effects of the extracorporeal shock wave therapy on complex pain scales of neck-shoulder in 20s adults with VDT syndrome due to prolonged smartphone use 서교철, 박승환, 조미숙 p. 135-142

보기
집단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self-esteem and stress of school maladjusted adolescents 김은지, 김미현 p. 143-154

보기
IPA를 이용한 물리치료사 감염관리의 인지도 및 수행도에 융복합적인 분석 연구 = A convergence analysis study on the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physiotherapist's infection control using IPA 김정건, 김명철, 김해인, 이홍준 p. 155-160

보기
Preceding research on comparative analysis of the validity of game based cognitive training program for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지적장애 아동을 위한 게임형 인지훈련 프로그램의 타당도 선행 연구 비교 분석 Seon-Chil Kim p. 161-168

보기
Human sense-based simulation-experience model for interactive art production = 인터랙티브 아트 제작을 위한 인간의 감각 기반 시뮬레이션-체험 결합 모델 Ting-Ting Liu, Young-Hoon Lim, Joon-Ki Paik p. 169-184

보기
플립드러닝 기반 PBL 모형 중학교 영어 수업의 효과 = Effectiveness of PBL based on flipped learning for middle school English classes 원영미, 박양주 p. 185-191

보기
"Hey Alexa, would you create a color palette?" UX/UI designers' perspectives on using natural language to interact with future intelligent design assistants = "알렉사, 색상 팔레트를 만들어줄 수 있어?" 지능형 디자인 비서와 자연어로 협업을 수행할 UX/UI 디자이너의 생각 Renato Antonio Bertao, Jaewoo Joo p. 193-206

보기
Extensibility of visual expression in projection mapping installation art : 프로젝션맵핑 기반 영상 설치 미술의 시각적 표현 확장성 : 사례 분석 및 작품 <Domino>을 중심으로 / focused on examples and projection mapping installation artwork Domino Bin-Zhou Fang, Young-Hoon Lim, Joon-Ki Paik p. 207-220

보기
모바일 VR 디바이스의 사용편의성 평가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nvenience evaluation tool for mobile VR device 서지영, 장중식 p. 221-228

보기
한국 소셜 미디어에서 폐기물 순환 관련 동영상 콘텐츠의 특성 = Characteristics of video contents related to waste cycle in Korean social media 신오영, 정상규, 반영운 p. 229-234

보기
(A) study on the teaching method of team teaching in academia and industry for the innovation of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department convergence education = 광고홍보학과 융합교육 혁신을 위한 학계와 업계의 팀티칭 교수법에 관한 연구 Sang-pil Han, Yun-Seul Choi p. 235-245

보기
초콜릿 패키지 디자인이 소비자 구매 조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Research on the influence of chocolate packaging design on consumers' purchase conditions 장효, 장청건 p. 247-256

보기
코로나 19로 인한 온라인 수업에서 시간적 기대 효익, 학습효과 기대 효익, 기술적 친숙도가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In COVID-19, the effect of expected benefit of time, expected benefit of learning, and technology familiarity in online class on class satisfaction 유상희 p. 257-263

보기
체면 민감성과 SNS 사회자본이 윤리적 소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Influences of social-face sensitivity and SNS social capital on ethical consumption in Korea 최윤우, 한상필 p. 265-273

보기
페미니스트 잡지 표지 사진의 여성 이미지에 대한 시각 문법 분석 = Analysis on visual grammar of female images in cover of feminist magazine covers 주혜린, 박수진 p. 275-284

보기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 기술의 항공 인증 제안 = Air certificcation[실은 certification] proposal of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technology 최정호 p. 285-289

보기
열변색성 염료를 이용한 도심 공기 유동 시각화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visualization of urban wind flow by using thermochromic pigment 김홍석 p. 291-299

보기
COVID-19 상황 중 사회복지현장실습에 참여한 예비사회복지사의 실습경험에 관한 연구 = Study on experience of prospective social workers participated in social welfare field practice during COVID-19 pandemic 배나래, 김지운 p. 301-310

보기
법우 송재섭 승무의 가치 연구 = A study on the Seungmu of Bup Woo Song Jae-Sub 최석권 p. 311-317

보기
델파이 조사를 통한 영재교육 핵심역량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A study on developing and validating core competencies for gifted education based on delphi technique 박혜진, 차승봉, 김용영 p. 319-328

보기
구성주의 요소를 활용한 현대 장신구 특성 연구 =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jewelry using constructivist elements 정지은, 고승근 p. 329-334

보기
코칭 리더십의 구성요소와 척도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components and scales of coaching leadership : focusing on academic journals in Korea(2011∼2020) / 국내 학술지(2011년~2020년)를 중심으로 조성진 p. 335-346

보기
Exploring what effects on vaccination for COVID-19 : 코로나 19 백신 접종영향 요인의 탐색 : 건강통제소재와 건강신념모형의 융합 / converging health locus of control and health belief model Jihyuk Joo p. 347-357

보기
만성질환 노인의 활동 제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Factors affecting activity restriction in the elderly with chronic disease : using data from the 8th period of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8기 자료를 활용하여 황호성, 최지현, 김수경 p. 359-369

보기
장애인복지관 전문인력의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이직의도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the turnover intention between empowerment and job satisfaction of professionals in welfare centers for the handicapped 이병록 p. 371-376

보기
중장년 장애인의 소득지위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income status on life satisfaction of middle-aged and disabled persons :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 / 우울과 사회적 지지의 다중매개효과 이형하 p. 377-389

보기
인터넷중독이 2030세대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Internet addiction on self-esteem of the 2030 generation : the moderating effects of stress coping styles / 스트레스 대처 방식의 조절효과 강선경, 차유정 p. 391-401

보기
누룩에서 분리한 Saccharomycopsis fibuligera 미강발효물의 효소활성 및 항산화능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enzyme activit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fermented rice bran of Saccharomycopsis fibuligera isolated from Nuruk 박용원 p. 403-410

보기
태권도 전공 학생들의 태권도에 대한 전문지식과 전문 실기 능력 향상을 위한 개선 방향 = Directions to improve specialized knowledges and practical abilities for Taekwondo majoring university students 진승태, 이윤정, 한아름, 박세혁, 서희정 p. 411-418

보기
동결농축법을 이용한 고산도 복분자 농축식초 제조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high-acidity Rubus coreanus concentrated vinegar production using freeze concentration method 성지연, 이익희 p. 419-426

보기
산성 아미노산 후처리가 헤어컬러링 시 모발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post-treatment using acidic amino acids during hair coloring on hair condition 이진영, 이상현 p. 427-434

보기
향유신념과 긍정정서의 관계에 미치는 반추의 매개효과 = Mediating effect of rumin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avoring beliefs and positive emotion 주해원, 홍지웅 p. 435-444

보기
임상간호사의 욕구만족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 Mediation effect of job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eed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clinical nurses 김화진, 신선화 p. 445-456

보기
갱년기 중년여성을 위한 앱 기반 인지훈련 프로그램의 효과 = Effect of mobile app-based cognitive training program for middle-aged women 김지현 p. 457-466

보기
플립러닝 학습법이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 비판적 사고성향,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 of flip learning learning method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of nursing students 양지원 p. 467-473

보기
기혼직장여성의 우울에 미치는 융합적 요인 분석 : Analysis of the convergence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of married working women : the 7th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2017) / 제7차 여성가족패널조사를 중심으로 이신애, 송혜영 p. 475-485

보기
Factors related to suicidal ideation i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 한국 고등학생의 자살생각 관련 요인 Moon-Ji Choi, Kyeng-Jin Kim, Seungwoo Han p. 487-499

보기
노인의 배우자 유무가 신체와 정신건강에 미치는 융합 요인 분석 : Analysis of convergence factors on physical and mental health status according to existence of spouses of the elderly : the 8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2019) / 국민건강영향조사 제8기 조사를 이용하여 박정민, 김성민 p. 501-510

보기
병원간호사의 직무배태성과 조직애착이 잔류의도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job embeddedness and organization attachment on intention to stay in hospital nurses 고영혜, 정현 p. 511-519

보기
COVID-19 상황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가 감성지능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stress on emotional intelligence of nursing students experienced COVID-19 situation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 회복탄력성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임현숙, 류정림 p. 521-531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