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도시표면의 물리적 요소가 대기질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physical factors on urban surfaces on air quality : Chang Chun, China as an example / 중국 창춘을 사례로 진촨핑, 김태경 p. 1-11
모더니즘 조경에 미친 르 코르뷔지에의 영향 = Le Corbusier’s influence on modern landscape architecture 김영민 p. 12-26
김현옥 서울시장(1966~1970년)의 공원녹지 정책 경로에서 나타난 하이 모더니즘 특성 = Characteristics of high modernism in the path of policy for urban parks and greenbelts under the Kim Hyeon-Ok’s mayoralty (1966-1970), Seoul 오창송, 김근호 p. 27-45
공원 이슈에 대한 주요 언론의 담론변화분석 : Analysis of changes in discourse of major media on park issues : focusing on newspaper articles published from 1995 to 2019 / 1995년부터 2019년까지 신문 기사를 중심으로 고하정 p. 46-58
한국 조경수목 근원직경 측정의 합리적위치 설정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reasonable measurement point of root collar diameter of landscape trees in Korea 한용희, 김화정, 김도균 p. 59-70
방위에 따른 벽면녹화식물의 생육 비교 = Comparison of plant’s growth in wall greening depending on orientations 김다윤, 조용현, 손인기, 김윤호 p. 71-78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그린인프라 계획요소 도출 : Derivation of green infrastructure planning factors for reducing particulate matter : using text mining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하여 석영선, 송기환, 한효주, 이정아 p. 79-96
제2차 세계대전 전쟁 묘지에 나타난 기념성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ommemoration in the World War Ⅱ cemeteries : focus on the military cemeteries of United States, the commonwealth, and Germany in Western Europe / 서유럽에 있는 미국군, 영연방군, 독일군 묘지를 대상으로 이상석 p. 97-111
민간공원특례사업의 추진에 따른 사업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rojects following the promotion of private park special projects 권영달, 박현빈, 김동필 p. 112-124
도심 골목상권으로서 샤로수길 가로 경관의 미적 경험 = Aesthetic experience of streetscape in Syarosu-gil as urban commercial alleyway 임한솔, 배정한 p. 125-137
커뮤니티 주도 시민농장의 특징과 박탈감 지역의 시민농장 활성화 방안 :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ty-driven allotments and revitalisation of allotments in deprived areas : focusing on the case of Sheffield, UK / 영국 셰필드 시민농장을 사례로 남진보 p. 138-150
국내 유통 관상용 그라스의 현황 및 특징 분석 = The current state and characteristics of ornamental grasses in South Korea 김장훈 p. 151-1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