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이야기이자 실천으로서의 성경 : The bible as a narrative and practice : the doctrine of bible in the John Yoder's theology / 존 요더의 성경론 | 김기현 | p. 7-31 | ||
아브라함 카이퍼의 현대 개혁주의 미학 = Reformed aesthetics of Abraham Kuyper | 안용준 | p. 33-65 | ||
폴 틸리히에게 있어 믿음의 실존적 의미 : The existential meaning of faith for Paul Tillich : in a relationship with love, power, and justice / 사랑, 힘, 정의와의 관계 속에서 | 윤성련 | p. 67-89 | ||
자크 엘륄의 사상의 영향과 현시대에서의 적용 = Influence de la pensée de Jacques Ellul et l'application de sa pensée à notre époque | 이상민 | p. 91-145 | ||
모세의 윤리적 리더십 = Moses' ethical leadership | 조영호 | p. 147-173 | ||
해방 후 1세대 한국 기독교철학자들의 생각. Ideas of the first generation of Korean Christian philosophers after liberation. 1 / 1 | 최태연 | p. 175-194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김형석, 『나의 인생 나의 신앙』, (서울: CLC, 2004). | 미소장 |
2 | 김하태, 『自我와 無我』, (서울: 연세대학교 출판부, 1974). | 미소장 |
3 | 김하태, 『東西哲學의 만남』, (서울: 종로서적, 1985). | 미소장 |
4 | 안병욱, 『인생론』, (서울: 철학과 현실사, 1992) | 미소장 |
5 | 안병욱, 『논어인생론』, (서울: 자유문화사, 1996) | 미소장 |
6 | 안병욱, 『아름다운 창조』(안병욱에세이선집, 증보 4판), (서울: 삼성출판사, 1979) | 미소장 |
7 | 조요한, 『지혜를 사랑하는 마음』, (서울: 한길사, 1996) | 미소장 |
8 | 조요한, 『예술을 사랑하는 마음』, (서울: 한길사, 1996). | 미소장 |
9 | 송촌문화모임(편), 『영원과 사랑 – 김형석 교수의 삶과 철학』, (철학과 현실사, 2019). | 미소장 |
10 | 한얼모임(편), 『궁극의 실재를 찾아서』,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5)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